TOP

사상하단선 2공구 땅꺼짐, 부실 시공*감독 탓

<앵커> 부산 사상~하단선 공사현장 주변의 반복되는 땅꺼짐이 불안감을 키우고 있는데요. 그간 부산시와 부산교통공사는 공사와의 직접적인 연관성을 부인해왔는데, 부실시공도 원인이라는 부산시 감사결과가 나왔습니다. 최혁규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해 9월 부산 사상하단선 2공구 현장, 트럭 두 대가 빠질 정도의 깊이 8미터 규모 초대형 땅꺼짐이 발생했습니다. 부산시와 부산교통공사는 집중호우와 물막이벽 유실을 원인으로 지목했습니다. "물막이벽이 충분히 설치되지 못해 넘치는 물을 감당하지 못했다는 것, 공사에는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였습니다." 하지만 부산시 감사 결과는 달랐습니다. 물막이벽 품질 자체도 문제인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감리단은 차수 품질시험자격이 없는 하도급업체가 작성한, 품질보고서도 제대로 확인하지 않았습니다. 물막이벽이 불량한 탓에 지난 2022년에도 공사가 중단된 사실도 드러났습니다. 사정이 이런데도 발주처인 부산교통공사는 지도*점검을 제대로 안했습니다. {윤희연/부산시 감사위원장/"시공을 맡은 하수급 업체가 본인이 시험*평가를 합니다. 차수벽을 만들고, 안에 굴착을 하게 되는 겁니다. (그런데) 차수기능이 안되니까, 지하수들이 계속 쏟아져 내려온 겁니다."} 공사 자체엔 문제가 없다던 교통공사는 부산시 감사가 나오자 직원 30여 명에게 뒤늦게 주의*훈계 처분을 내렸습니다. 하지만 이번 감사 역시 사상~하단선 땅꺼짐에 원인을 밝히는 데 한계가 크다는 지적입니다. "지금까지 사상하단선 일대에서 발생한 땅꺼짐 현상만 모두 13건, 이번 감사는 2공구에서 발생한 2건만을 확인하는데 그쳤습니다." "지반침하TF를 구성한 부산시는 땅꺼짐 원인과 대책안을 살펴본 뒤, 추가 감사여부를 결정할 예정입니다. KNN 최혁규입니다." 영상편집 이소민
최혁규
2025.04.22 20:54

[단독]'위기 심화' 대형선망업계..EEZ 침범하다 적발

<앵커> 국내 수산업계의 어려움이 일본의 배타적경제수역까지 넘는 무리한 조업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올해 초 대형선망 소속 어선이 나포 위험까지 무릅쓰고 조업을 하다 당국에 적발된 사실이 뒤늦게 드러났습니다. 최혁규 기자의 단독보도입니다. <기자> "대형선망 소속 어선이 EEZ를 넘어 조업을 하다 관계당국에 적발된 건 올해만 세 번입니다. 1월 두 번, 4월 한 번인데, 같은 업체가 연거푸 적발되기도 했습니다." 위반 선박은 고의적으로 EEZ를 침범한 것은 아니고, 조류로 인해 잠깐 EEZ를 넘어간 것이라 해명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문제는 EEZ를 넘어 조업하다 일본 순시선에 나포될 경우, 국내 어업허가가 취소될 수도 있다는 점입니다." "수협법에 따라 대형선망은 조합원이 15명 밑으로 떨어지면 조합이 해산됩니다." 지난해 제주에서 침몰한 금성호의 어업허가가 유예된 상태에서, 추가 어업취소로 조합원 수가 줄어들 경우 자칫 조합이 해산될 수도 있습니다. 대형선망조합의 해산은 국내 수산업계 붕괴까지 이어질 수 있는 상황. 그럼에도 대형선망이 EEZ 주변 조업에 나섰다는 건 그만큼 국내 수산업계가 어렵다는 걸 뜻합니다. {동해어업관리단 관계자/"자주있는 일은 아닌데, 특히나 대형선망 같은 경우는. 다른 어선들이 좀 한번씩 들어곤 했었거든요. (적발장소가) 일본 측 수역이라서 일본 측에서 이제 나포를 할 수 있는 상황이에요."} "대형선망의 경우 연간 조업가능 일수가 6년 만에 67%로 감소했습니다." 조업 가능한 날 자체가 줄다보니, 조업이 가능한 날에 위험을 무릅쓰고 어획량이 풍부한 EEZ 주변 조업이 반복되는 겁니다. {한창은/대형선망수협 상임이사/"그만큼 우리가 어장지가 없다보니, 한국선망같은 경우에는 어장지 확보를 위해서라도 일본 EEZ 입어를 해야겠다는 입장이고...} 여기에다 지난 20일 제주 선적 어선이 일본 순시선에 나포되기도 해 경각심을 한층 더 키우고 있습니다. KNN 최혁규입니다. 영상취재 전성현 영상편집 정은희
최혁규
2025.04.21 20:50

김해 공장 화재*통영 선박 충돌..사건 사고 잇따라

<앵커> 주말인 오늘(19) 경남 김해의 한 공장에서 큰 불이 나고, 통영에서는 선박 충돌 사고로 4명이 다치는 등 사건사고가 잇따랐습니다. 휴일 사건 사고 소식, 안형기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시커먼 연기가 금새 인근 상공을 뒤덮습니다. 오늘 오후 2시쯤, 불이 난 곳은 경남 김해시 생림면의 한 유리 가공 공장. 다행히 인근 야산으로 불이 번지지는 않았고, 인명피해 없이 1시간 반 만에 꺼졌습니다. 비슷한 시각, 경남 통영시 한산면 추봉도 북쪽 1.8KM 해상에서 113톤급 유람선과 3톤급 어선이 출동했습니다. 이 사고로 어선에 타고 있던 승선원 4명이 부상을 입고 인근 병원으로 옮겨졌습니다. 선박 화재도 잇따랐습니다. 어제(18) 오후 6시 반쯤 부산 감천항 입구 인근 해상 예인선에서 불이 났습니다. {부산해경 관계자/"연료밸브 차단하고, 선장부터 내려올 수 있도록 조치할 것"} 이 불로 선원 1명이 연기를 마쳤으며, 불은 10시간 만에 꺼졌습니다. 오늘(19) 아침 7시 반쯤에는 부산 다대동의 한 조선소 폐선박에서 불이 나 작업자 2명이 2도 화상을 입고 병원으로 옮겨졌습니다. {수퍼:} 소방당국은 폐선박 해체 작업을 하다 불티가 튀어 불이 난 것으로 보고 정확한 화재 원인을 조사하고 있습니다. KNN 안형기입니다. 영상편집 김민지, 화면제공 시청자, 부산해경, 통영해경, 부산소방재난본부
안형기
2025.04.19 18:58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