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부산경남

랜드마크라더니 흉물 '빅트리' 현대건설 또 물의

랜드마크라더니 흉물 '빅트리' 현대건설 또 물의

<앵커> 가덕신공항 공사를 외면해 비난받는 현대건설이 지역에서 추진하는 또다른 사업에서도 물의를 빚고 있습니다. 창원 대상공원 특례사업을 추진하며 아파트를 짓는 대신 기부체납하기로 한 초대형 인공나무 빅트리가, 부실한 외형으로 논란에 휩싸이며 시민 비난이 쏟아지고 있습니다. 최한솔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현대건설이 주관하는 대상공원개발사업단이 창원 대상공원에 조성하고 있는 초대형 인공나무 '빅트리'입니다. 현대건설이 대상공원에 아파트를 짓는 대신 기부채납하기로 한 공원시설로, 공정률이 90%를 넘어섰습니다. 그런데, 드러난 외형이 당초 시민들에게 공개된 것과 확연히 다릅니다. 싱가포르 명소를 참고했다던 조감도와 달리 상부 메인 인공나무가 빠지면서 마치 거대한 굴뚝처럼 돼버렸습니다. 엉성한 면모에, 창원의 새 랜드마크를 기대했던 시민들은 실망을 넘어 속았다며 원성을 쏟아냅니다. {인근 주민/"무슨 의미로 지었는지 이해가 안돼요. 흉물이라고 생각돼요. 산 속에서 봉화도 아니고..."} 현대건설 등 공원개발사업단은 2022년 건축허가를 받고 착공에 나섰다가 설계를 바꿔 메인나무를 뺐습니다. 뒤늦게 안전 문제 등을 들고 나온 겁니다. {창원시 관계자/"나중에 유지관리라든지 강풍이나 이런 거에 견디지 못한다(는 이유로) 사업 시행자들이 다른 걸로 변경하자는 제안이 있어서 (시간 변경을 승인했습니다.)"} "도심의 랜드마크로 추진하던 건물 흉물로 전락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가운데, 빅트리 설계를 발주하고 건축허가까지 받아놓은 상황에서 뒤늦게 설계 변경을 제안한 사업 시행단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도 나옵니다." 돈 안 되는 사업은 엉망으로 한다는 지적입니다. 현대건설은 아파트만 맡았다면서, 공원 개발은 사업단의 다른 업체 담당이라며 책임을 떠넘기고 있습니다. 부실한 시설이 들어서는 사이, 현대건설이 공원에 지은 1천7백세대 아파트는 완판돼 입주를 앞두고 있습니다. 가덕신공항 공사를 외면한 현대건설이 지역에서 또 물의를 일으키며 돈만 쫓는다는 비판이 커지고 있습니다. KNN 최한솔입니다. 영상취재 박영준
2025.07.05
남해 체류형 관광 기대

남해 체류형 관광 기대

{앵커: 경남 남해군에 체류형 관광인프라가 빠르게 확대되고 있습니다. 기존 남해 만의 명물에 새로운 볼거리들까지 들어설 예정이어서, 지역 경제 활성화에 도움이 될 전망입니다. 이태훈 기자 취재했습니다. <기자> 경남 남해군 미조면에 새로 들어선 고급 숙박시설입니다. 계단식 논인 남해 다랑논을 본떠 만들었는데 호텔 등 450여 객실과 수영장, 사계절 아이스링크까지 갖췄습니다. {장희종 조정이 강복춘 김원근/경남 남해군/"경관도 아름답고요. 진짜 동남아에서도 저런 전망을 찾아볼 수 없더라고요."} 연간 50만명 이상이 찾을 것으로 예상되는만큼 지역 경제에 활력을 더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박완수 경남도지사/"상주, 미조면의 아름다운 해변과 금산과 어우러져서 대한민국 국민들에게 큰 사랑을 받을 것으로 확신합니다."} 오는 2028년이면, 건너 창선면에도 5성급 신라모노그램 리조트가 문을 열 예정입니다. 여기에 바다 건너 전남 여수가 보이는 남면에도 고급 리조트가 추진되는등 숙박인프라가 빠르게 늘고 있습니다. {장충남 경남 남해군수/"명실공히 우리 남해군이 체류형 고급 휴양지로서 발돋움 하게 되어서 큰 의미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천혜의 바다에 인근 독일마을과 금산 보리암, 2027년에는 대관람차인 남해아이도 들어서 볼거리를 더합니다. 여기에 오는 2031년 남해여수해저터널까지 개통되면 남해안 관광벨트를 찾는 관광객들의 유입 효과는 더욱 커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KNN 이태훈입니다. 영상취재 정창욱 영상편집 김범준
2025.07.04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