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자랑스런 부산경남 더 자랑스럽게-우주항공 수도 경남
최한솔
입력 : 2025.08.24 18:08
조회수 : 203
0
0
[앵커]
지역의 자랑스런 자원과 인물을 소개하는 '자랑스런 부산경남 더 자랑스럽게!'
오늘은 우주항공 수도라 불리는 경남의 미래 먹거리인 우주항공 산업을 소개합니다.
국내 대표기업과 수천곳의 관련업체들을 중심으로 경남은 세계 우주항공 시장에 과감히 도전장을 내고 있습니다.
최한솔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남해 하늘을 가르는 전투기.
기체는 수직으로 세운 뒤 1만2천 미터 상공을 돌파하고선 평온하게 수평비행으로 전환합니다.
사천에 본사를 둔 한국우주항공산업 KAI의 초음속 전투기 KF-21입니다.
2천회가 넘는 시험비행 동안 최고 성능의 공대공 미사일 '미티어'사격까지 성공하면서 전력화를 앞두고 있습니다
2030년까지 120대, 12조원 규모를 공군에 납품할 계획입니다.
KF-21 이전에 개발한 경공격기 FA-50도 필리핀 등 동남아 시장을 선점하는 등 이미 세계의 관심이 뜨겁습니다.
이런 성과를 바탕으로 경남 사천의 KAI는 세계 7위 우주항공기업에 도전하고 있습니다.
{홍성훈/KAI 미래전략팀장/"이제는 유인 플렛폼간의 싸움이 아니라 유인기와 무인기가 하나의 팀인 종합적인 체계간의 싸움이 되는 것으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저희도 KF-21을 기반으로 한 유*무인 복합체계를 개발 중이고 이를 통해서 세계시장에 진출할 수 있는 경쟁력을 가질 수 있을 것이라 확신합니다."}
거대한 연삭기가 알루미늄 기둥을 깎아내면서 여객기 뼈대를 만듭니다.
이 항공기 한 대에 들어가는 부품만 자그마치 3백만 개입니다.
항공 부품 생산하는 경남 진주의 하이즈항공입니다.
진주와 사천 공장에서 힝공기의 모든 외형을 만들내는데 핵심은 초정밀입니다.
만분의 1 오차도 허용하지 않는 항공기 시장에서 기술력을 인정받아 미국 보잉 767의 후방동체를 단독납품하고 있습니다.
이런 항공기 부품업체만 경남 사천과 진주에만 수백곳에 이릅니다.
이 클러스터안에서 서로의 기술력을 공유하며 해외 시장에서 경쟁력을 높이고 있습니다.
{문현철/하이즈항공 상무/"무엇보다도 지리적 근접성에 따른 협업 효율성이 큽니다.
사천을 비롯한 진주 창원에는 국내 대표적인 우주항공업체들이 집적되어 있어 협력사간의 커뮤니케이션과 물류 기술지원이 신속하게 이뤄질 수 있습니다."}
단단해진 경남의 항공산업은 이제 차세대 우주로 향하고 있습니다.
높이 7미터, 접시 모양의 거대한 원판 리플렉터가 돌아갑니다.
움직이는 위성과 통신하는 저궤도 위성안테나입니다.
정지 위성 통신에서 나아가 차세대 통신으로 주목받는 기술인데, 국내에사 제작에 성공한 곳은 단 두곳뿐입니다.
세계적으로도 20개 업체가 전부인데 창원의 지티엘이 대형 저궤도 위성안테나 개발에 성공한 것입니다.
2019년부터 연구끝에 독자개발에 성공했고 최근 카자흐스탄국영기업과 파트너십을 맺으며 수출길을 열었습니다.
{황건호/GTL 대표/"실제로 10년 이내에 필요한 안테나 숫자만해도 수만개에 이르고 있습니다.
우리는 그 안테나 중에 전세계 점유율 1%만 가져가도 연 매출 1천억 이상 할 수 있는 업체로 성장할 수 있습니다."}
우주항공업체들의 경쟁력을 키워낼 우주항공청까지 사천에 개청하며 본격적인 우주항공수도에 시동을 걸었습니다
경남도는 이를 중심으로 지역의 미래를 설계하겠다는 각오입니다.
{문병춘/경남도 우주항공산업과장/"오픈 이노베이션 플렛폼을 앞으로 만들어나갈 계획입니다.
이곳에서는 기술개발과 시험인증, 제조, 인재교육까지 산업의 전 과정을 연결하는 관계형 생태계를 만들 것입니다.
해외기업과 해외 연구기관과의 공동 프로젝트도 수행할 것입니다."}
대한민국 우주항공 수도를 선언한 경남, 조선산업에 이어 이제는 K-우주항공이란 성과를 낼 수 있을지 기대를
모으고 있습니다.
KNN 최한솔입니다.
영상취재 박영준
화면제공 KAI, 방사청, 하이즈항공
지역의 자랑스런 자원과 인물을 소개하는 '자랑스런 부산경남 더 자랑스럽게!'
오늘은 우주항공 수도라 불리는 경남의 미래 먹거리인 우주항공 산업을 소개합니다.
국내 대표기업과 수천곳의 관련업체들을 중심으로 경남은 세계 우주항공 시장에 과감히 도전장을 내고 있습니다.
최한솔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남해 하늘을 가르는 전투기.
기체는 수직으로 세운 뒤 1만2천 미터 상공을 돌파하고선 평온하게 수평비행으로 전환합니다.
사천에 본사를 둔 한국우주항공산업 KAI의 초음속 전투기 KF-21입니다.
2천회가 넘는 시험비행 동안 최고 성능의 공대공 미사일 '미티어'사격까지 성공하면서 전력화를 앞두고 있습니다
2030년까지 120대, 12조원 규모를 공군에 납품할 계획입니다.
KF-21 이전에 개발한 경공격기 FA-50도 필리핀 등 동남아 시장을 선점하는 등 이미 세계의 관심이 뜨겁습니다.
이런 성과를 바탕으로 경남 사천의 KAI는 세계 7위 우주항공기업에 도전하고 있습니다.
{홍성훈/KAI 미래전략팀장/"이제는 유인 플렛폼간의 싸움이 아니라 유인기와 무인기가 하나의 팀인 종합적인 체계간의 싸움이 되는 것으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저희도 KF-21을 기반으로 한 유*무인 복합체계를 개발 중이고 이를 통해서 세계시장에 진출할 수 있는 경쟁력을 가질 수 있을 것이라 확신합니다."}
거대한 연삭기가 알루미늄 기둥을 깎아내면서 여객기 뼈대를 만듭니다.
이 항공기 한 대에 들어가는 부품만 자그마치 3백만 개입니다.
항공 부품 생산하는 경남 진주의 하이즈항공입니다.
진주와 사천 공장에서 힝공기의 모든 외형을 만들내는데 핵심은 초정밀입니다.
만분의 1 오차도 허용하지 않는 항공기 시장에서 기술력을 인정받아 미국 보잉 767의 후방동체를 단독납품하고 있습니다.
이런 항공기 부품업체만 경남 사천과 진주에만 수백곳에 이릅니다.
이 클러스터안에서 서로의 기술력을 공유하며 해외 시장에서 경쟁력을 높이고 있습니다.
{문현철/하이즈항공 상무/"무엇보다도 지리적 근접성에 따른 협업 효율성이 큽니다.
사천을 비롯한 진주 창원에는 국내 대표적인 우주항공업체들이 집적되어 있어 협력사간의 커뮤니케이션과 물류 기술지원이 신속하게 이뤄질 수 있습니다."}
단단해진 경남의 항공산업은 이제 차세대 우주로 향하고 있습니다.
높이 7미터, 접시 모양의 거대한 원판 리플렉터가 돌아갑니다.
움직이는 위성과 통신하는 저궤도 위성안테나입니다.
정지 위성 통신에서 나아가 차세대 통신으로 주목받는 기술인데, 국내에사 제작에 성공한 곳은 단 두곳뿐입니다.
세계적으로도 20개 업체가 전부인데 창원의 지티엘이 대형 저궤도 위성안테나 개발에 성공한 것입니다.
2019년부터 연구끝에 독자개발에 성공했고 최근 카자흐스탄국영기업과 파트너십을 맺으며 수출길을 열었습니다.
{황건호/GTL 대표/"실제로 10년 이내에 필요한 안테나 숫자만해도 수만개에 이르고 있습니다.
우리는 그 안테나 중에 전세계 점유율 1%만 가져가도 연 매출 1천억 이상 할 수 있는 업체로 성장할 수 있습니다."}
우주항공업체들의 경쟁력을 키워낼 우주항공청까지 사천에 개청하며 본격적인 우주항공수도에 시동을 걸었습니다
경남도는 이를 중심으로 지역의 미래를 설계하겠다는 각오입니다.
{문병춘/경남도 우주항공산업과장/"오픈 이노베이션 플렛폼을 앞으로 만들어나갈 계획입니다.
이곳에서는 기술개발과 시험인증, 제조, 인재교육까지 산업의 전 과정을 연결하는 관계형 생태계를 만들 것입니다.
해외기업과 해외 연구기관과의 공동 프로젝트도 수행할 것입니다."}
대한민국 우주항공 수도를 선언한 경남, 조선산업에 이어 이제는 K-우주항공이란 성과를 낼 수 있을지 기대를
모으고 있습니다.
KNN 최한솔입니다.
영상취재 박영준
화면제공 KAI, 방사청, 하이즈항공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최한솔 기자
choi@knn.co.kr
많이 본 뉴스
주요뉴스
-
조국, 부산서 첫 정치 행보..초심 다지며 ‘재시동’2025.08.24
-
자랑스런 부산경남 더 자랑스럽게-우주항공 수도 경남2025.08.24
-
물질나선 해녀 2명 숨져..수난사고 잇따라2025.08.23
-
합리적인 소비 트랜드, 얼리버드가 대세2025.08.23
-
용도변경이나 숙박업 신고안한 '생숙' 부산에 3천3백여가구2025.08.23
-
고시텔 화재로 중태빠졌던 30대 남성 숨져2025.08.23
-
[단독]부산 강서구, '정치적편향' 교회 위해 무상임대 특혜논란2025.08.22
-
흠뻑쇼 '무단 관람'한 경찰들..기강 해이 논란 확산2025.08.22
-
낙동강 녹조 '경계'...식수 안전 비상2025.08.22
-
극한의 기후 재난..위기 속 희망 찾는 영화제2025.08.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