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기사모아보기

최한솔기자
 최한솔 기자
""

주말 맞은 '지스타', 역대급 인파와 높아진 위상

[앵커] 국내 최대 게임전시회인 지스타가 개막 사흘째이자 주말을 맞아 입장 티켓 매진을 기록하며 역대급 흥행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한층 높아진 지스타의 위상에 정부의 관심도 이어지고 있어 게임 산업의 미래 가능성을 제시하는 중요한 자리가 되고 있습니다. 최한솔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국내 최대 규모 게임전시회 지스타가 주말을 맞아 티켓 매진을 기록하며 역대급 흥행몰이를 하고 있습니다. 엔씨 등 K-게임 업체들의 신작이 잇따라 공개되면서 전국의 게임 팬 2만여 명이 지스타를 찾았습니다. {이송희, 김민결, 김지오, 김종원/인천광역시/재밌어요, 재밌고 가족단위로 오면 되게 좋을 거 같아요. 직접 할 수 있는 게임들이 많아서 너무 재미 있었어요."} 44개 나라 1천2백여 업체들이 대표 게임 등을 선보이면서 글로벌 시장에서 지스타의 위상이 높아졌습니다. 김민석 국무총리와 정치권도 현장을 방문해 정부 차원의 높은 관심을 보였습니다. "특히 올해는 소규모 자본과 인력으로 성공을 거둔 인디 업체들이 대규모 참가하면서 이들의 성장 가능성을 증명하는 자리도 펼쳐지고 있습니다." 글로벌 게임시장을 선도하고 있는 게임 소프트웨어 업체 유니티 등이 지스타를 통해 소규모 게임 창업자들의 생태계 구축에 나서고 있습니다. {김범주/유니티 아시아태평양 본부장/"저희는 게임 제작자분들의 생태계를 건강하게 만드는 데 많은 에너지를 쏟고 있기 때문에 아주 소규모의 게임 제작자분들한테는 사용료를 받지 않고 있어요. 지금은 규모가 작지만 여기서 만들어진 새로운 장르, 새로운 시장, 새로운 유저들과의 만남이 (게임시장의 성장이 됩니다.)"} 해마다 커지고 있는 게임 시장과 이를 선보이는 축제 지스타는 게임 팬들에게 가장 큰 기쁨입니다. {정경환, 김범빈/경기도 고양시/"같이 동질감도 들고 같은 게임하는 입장으로서 즐겁죠. 즐기고 다시 (집으로) 올라갑니다."} 한편 내일(16)은 게임 속 캐릭터들의 모습을 재현하는 코스프레 어워즈가 예정되면서 축제의 대미를 장식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KNN 최한솔입니다. 영상취재 황태철 영상편집 정은희
2025.11.15

국립공원 금정산, 문화재 주변 불법 무속행위 '몸살'

<앵커>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금정산이 쓰레기와 불법 건출물들로 몸살을 앓고 있다는 소식 전해드렸는데요, 금정산의 문화재 보호구역도 무속 행위로 훼손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현장을 최한솔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기자> 금정산 양산자락 정상 부근에 우뚝 솟은 거대한 화강암이 보입니다. 이 바위에 새겨진 높이 12미터의 불상, 가산리 마애여래입상입니다. 고려시대 대표적인 암벽 불상으로 지난 1972년 경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됐습니다. 그런데 이 암벽 불상 바로 아래, 제단과 불 켜진 초가 있는 기도터가 보입니다. 무속행위의 흔적으로, 암벽 주변 틈이 있는 곳마다 이런 제단이 놓여 있습니다. 문화재 옆 산길로 들어가면 더욱 황당한 장소가 나옵니다. 집 대문처럼 만든 문을 열어보니 각종 불법 건축물들이 나타납니다. "여기 보시면 움막집 여러채가 보이는데요, 이곳 문을 열어보면 전기장판 위에 이불이 깔려 있고 조금 더 밑으로 내려가면 물길을 끌어다 만든 부엌과 가재도구들도 보입니다. 무속인들이 생활을 위해 만든 불법 건축물들로 추정됩니다." 가파른 산지에서 물건을 실어 나르려고 상공에 백여 미터 길이의 강철 밧줄까지 설치해 놨습니다. 그린벨트 지역, 그것도 문화재 보호구역에서 무단으로 기도터와 생활 공간을 만든 겁니다. {유진철/범시민금정산보존회 회장/"산림에 피해를 직접 주고 있고 마애여래입상 그 돌에도 문제가 생길 거 같고...저런 명소를 국민들한테 알려야하지 않겠습니까. 그런데 저 상태로 알린다는 건 참 부끄럽거든요."} 20년 전 행정대집행을 통해 각종 시설물들을 철거했지만 그 뒤 단속이 없자 다시 생겨났습니다. {경남 양산시 관계자/"접근하기가 어려워서 직원들이 상주하고 그럴 상황은 안 돼서...(이제는) 이행강제금을 하든지 개별법에 맞춰서 조치를 할 거거든요."} 어렵게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금정산이 제대로 보존될 수 있도록 관련 지자체 들의 철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합니다. KNN 최한솔입니다. 영상취재 정창욱
2025.11.14

퇴폐 성행 외국인 업소 우후죽순, 불법 호객 극성

<앵커> 경남 최대 번화가인 창원 상남동 일대가 불법 호객행위로 몸살을 앓고 있습니다. 불법*퇴폐 영업이 성행하는 외국인 접대부 고용 노래방이 최근 우후죽순 늘면서 손님 잡기 혈안이 된건데, 우범지대 전락 우려까지 나오고 있습니다. 최한솔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경남 최대 번화가인 창원 상남동 일대입니다. 밤이 되자 수십명의 남성들이 거리를 어슬렁거리다, 지나가는 시민들 발길을 붙잡습니다. {불법 호객꾼/4만원, 저희 가게 미시 4만원.} 주점이나 마사지숍 등으로 손님을 데려가기 위한 불법 호객 영업입니다. 매일 백 명이 넘는 호객꾼들이 남녀를 가리지 않고 호객행위를 벌입니다. 뿌리치고 돌아서도 또다시 호객꾼들에게 붙잡힐 정도입니다. {곽명진/창원시민/"아니라고 해도 이렇게 팔을 잡으면서 노래방이요, 호스트바요 이렇게 말을 건단 말이예요. 둘러가려고 해도 골목마다 다 있다 보니깐..."} 유흥업소만 3백곳이 넘는 상남동에 퇴폐 영업 등이 성행하는 외국인 접대부 고용 노래방이 가세하고 있습니다. 진주 등 농촌을 중심으로 번지던 베트남 노래방 등 외국인 노래방이 단속을 피해 창원으로 넘어오고 있는 겁니다. 가뜩이나 손님이 줄어든 상황에서, 기존 업소들과 경쟁이 붙으면서 호객행위가 갈수록 심해지고 있습니다. {인근 상인/"다른 지역들 경기가 안 좋다보니깐 창원에 단속도 없다고 해서 계속 내려오고 있는 상황입니다. 타지역 사람(호객꾼)들이..."} 외국인 접대부 고용 노래방은 집단 마약 투약 사건도 잇따르는 등 불법*퇴폐 영업 온상지로 지목받고 있습니다. 상남동 일대에 우후죽순 늘면서 전국 최대 유흥가란 꼬리표에 우범지대라는 인식까지 더해지고 있습니다. {창원 상남동 상인회 관계자/"아무래도 베트남 가게다 보니깐 외국인 손님들이 있잖아요. 외국인 손님들이 주로 마약을 해요... 그러니깐 불만과 문제가 있고..."} 연말연시 특수를 기대하는 상인들을 위해서라도 집중 단속 등 대책 마련이 시급해보입니다. KNN 최한솔입니다. 영상취재 안명환
2025.11.11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