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랜드마크라더니 흉물 '빅트리' 현대건설 또 물의
최한솔
입력 : 2025.07.05 19:33
조회수 : 266
0
0
<앵커>
가덕신공항 공사를 외면해 비난받는 현대건설이 지역에서 추진하는 또다른 사업에서도 물의를 빚고 있습니다.
창원 대상공원 특례사업을 추진하며 아파트를 짓는 대신 기부체납하기로 한 초대형 인공나무 빅트리가, 부실한 외형으로 논란에 휩싸이며 시민 비난이 쏟아지고 있습니다.
최한솔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현대건설이 주관하는 대상공원개발사업단이 창원 대상공원에 조성하고 있는 초대형 인공나무 '빅트리'입니다.
현대건설이 대상공원에 아파트를 짓는 대신 기부채납하기로 한 공원시설로, 공정률이 90%를 넘어섰습니다.
그런데, 드러난 외형이 당초 시민들에게 공개된 것과 확연히 다릅니다.
싱가포르 명소를 참고했다던 조감도와 달리 상부 메인 인공나무가 빠지면서 마치 거대한 굴뚝처럼 돼버렸습니다.
엉성한 면모에, 창원의 새 랜드마크를 기대했던 시민들은 실망을 넘어 속았다며 원성을 쏟아냅니다.
{인근 주민/"무슨 의미로 지었는지 이해가 안돼요. 흉물이라고 생각돼요. 산 속에서 봉화도 아니고..."}
현대건설 등 공원개발사업단은 2022년 건축허가를 받고 착공에 나섰다가 설계를 바꿔 메인나무를 뺐습니다.
뒤늦게 안전 문제 등을 들고 나온 겁니다.
{창원시 관계자/"나중에 유지관리라든지 강풍이나 이런 거에 견디지 못한다(는 이유로) 사업 시행자들이 다른 걸로 변경하자는 제안이 있어서 (시간 변경을 승인했습니다.)"}
"도심의 랜드마크로 추진하던 건물 흉물로 전락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가운데, 빅트리 설계를 발주하고 건축허가까지 받아놓은 상황에서 뒤늦게 설계 변경을 제안한 사업 시행단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도 나옵니다."
돈 안 되는 사업은 엉망으로 한다는 지적입니다.
현대건설은 아파트만 맡았다면서, 공원 개발은 사업단의 다른 업체 담당이라며 책임을 떠넘기고 있습니다.
부실한 시설이 들어서는 사이, 현대건설이 공원에 지은 1천7백세대 아파트는 완판돼 입주를 앞두고 있습니다.
가덕신공항 공사를 외면한 현대건설이 지역에서 또 물의를 일으키며 돈만 쫓는다는 비판이 커지고 있습니다.
KNN 최한솔입니다.
영상취재 박영준
가덕신공항 공사를 외면해 비난받는 현대건설이 지역에서 추진하는 또다른 사업에서도 물의를 빚고 있습니다.
창원 대상공원 특례사업을 추진하며 아파트를 짓는 대신 기부체납하기로 한 초대형 인공나무 빅트리가, 부실한 외형으로 논란에 휩싸이며 시민 비난이 쏟아지고 있습니다.
최한솔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현대건설이 주관하는 대상공원개발사업단이 창원 대상공원에 조성하고 있는 초대형 인공나무 '빅트리'입니다.
현대건설이 대상공원에 아파트를 짓는 대신 기부채납하기로 한 공원시설로, 공정률이 90%를 넘어섰습니다.
그런데, 드러난 외형이 당초 시민들에게 공개된 것과 확연히 다릅니다.
싱가포르 명소를 참고했다던 조감도와 달리 상부 메인 인공나무가 빠지면서 마치 거대한 굴뚝처럼 돼버렸습니다.
엉성한 면모에, 창원의 새 랜드마크를 기대했던 시민들은 실망을 넘어 속았다며 원성을 쏟아냅니다.
{인근 주민/"무슨 의미로 지었는지 이해가 안돼요. 흉물이라고 생각돼요. 산 속에서 봉화도 아니고..."}
현대건설 등 공원개발사업단은 2022년 건축허가를 받고 착공에 나섰다가 설계를 바꿔 메인나무를 뺐습니다.
뒤늦게 안전 문제 등을 들고 나온 겁니다.
{창원시 관계자/"나중에 유지관리라든지 강풍이나 이런 거에 견디지 못한다(는 이유로) 사업 시행자들이 다른 걸로 변경하자는 제안이 있어서 (시간 변경을 승인했습니다.)"}
"도심의 랜드마크로 추진하던 건물 흉물로 전락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가운데, 빅트리 설계를 발주하고 건축허가까지 받아놓은 상황에서 뒤늦게 설계 변경을 제안한 사업 시행단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도 나옵니다."
돈 안 되는 사업은 엉망으로 한다는 지적입니다.
현대건설은 아파트만 맡았다면서, 공원 개발은 사업단의 다른 업체 담당이라며 책임을 떠넘기고 있습니다.
부실한 시설이 들어서는 사이, 현대건설이 공원에 지은 1천7백세대 아파트는 완판돼 입주를 앞두고 있습니다.
가덕신공항 공사를 외면한 현대건설이 지역에서 또 물의를 일으키며 돈만 쫓는다는 비판이 커지고 있습니다.
KNN 최한솔입니다.
영상취재 박영준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최한솔 기자
choi@knn.co.kr
많이 본 뉴스
주요뉴스
-
한도 6억 서울 대출 규제...지역 부동산에 유탄?2025.07.05
-
랜드마크라더니 흉물 '빅트리' 현대건설 또 물의2025.07.05
-
하반기 분양시장, 내집 마련 전략은?2025.07.04
-
남해 체류형 관광 기대2025.07.04
-
부산 세븐브릿지를 자전거로2025.07.04
-
부모 없는 집에서 잇단 비극..대책 마련 나선다2025.07.04
-
사직야구장 재건축 본 궤도..북항야구장은 희망고문2025.07.03
-
이 대통령 "해수부 부산 이전 적정, 해사법원은 부산*인천 모두"2025.07.03
-
제2의 반얀트리 화재 시한폭탄…구멍 뚫린 사용승인2025.07.03
-
하반기 분양시장 대어 잇따라...지역 부동산 가늠자되나?2025.07.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