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한도 6억 서울 대출 규제...지역 부동산에 유탄?
김민욱
입력 : 2025.07.05 19:32
조회수 : 1012
0
0
<앵커>
대출 한도를 6억원으로 제한하는 정부의 초강력 규제책 시행 이후 지역에 미칠 영향에 대한 관심이 뜨겁습니다.
'크게 영향이 없을 것이다', '풍선효과가 나타날 것이다', 전망은 엇갈리고 있습니다.
김민욱 기자가 현장을 둘러봤습니다
<기자>
부산 수영구의 한 아파트 단지.
국민평형이라는 84㎡ 기준 평균 12억원 정도에 거래되는 곳입니다.
6억원 대출 한도 규제를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을지 인근 부동산에 찾아가 봤습니다.
새 정부 출범 직후 거래 상승을 기대했지만 규제책 발표 뒤로 관망세로 돌아섰다고 말합니다.
{김순경/공인중개사/" 아직까지 반응이 없어요. 문의 전화가 오고 있지 않고 조용하거든요."}
이번에는 원도심권으로 가봤습니다.
84㎡ 기준 5-6억원대에 거래되는 이 아파트는 올해 초부터 이어진 거래절벽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다만, 전셋집은 품귀현상을 보이고 있는데 이번에 정부가 버팀목 전세 대출 등 정책 대출 한도를 줄이면서 전세대란이 빚어지는 모습입니다.
{공인중개사/"신생아 대출이나 신혼 대출이 4억 원까지 되던 것이 3억 원으로 줄어드는 바람에 그래도 여기 기본 전세가가 있는데 못 오시는 분들이 생길 수도 있는 것이죠."}
"가뜩이나 지역 부동산은 침체가 장기화되고 있는데, 이번 정부의 초강력 수도권 규제책으로 지역은 더 어려워지진 않을지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대출 한도 6억원 제한으로 서울도심15억원대 아파트 대신 시세차익 가능성이 있는 외곽으로 몰리고 있는데,
이 수요가 부산이나 경남에도 올 것인가가 관심거리입니다.
전문가 전망도 다소 엇갈립니다.
{강정규/동아대 부동산대학원장/"일부 풍선 효과에 의해서 특정 인기 주거지역 몇 군데 지역을 중심으로 해서는 최소한의 거래량이 늘어나는 반사이익도 일부 나타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서정렬/영산대 부동산학과 교수/"서울만 지금 소위 똘똘한 한 채 효과 때문에 상승하는 것이기 때문에 서울 규제를 하니까 지방이 반사 효과로 풍선 효과로 조금 상승을 기대할 수 있다는 것으로 연결 시키기에는 조금 무리가 있는 것이죠. "}
정부에서 항상 수도권 맞춤형 정책만 내놓다보니 지역은 그 불똥이 어떤식으로 튀게될지 일단 지켜봐야만 하는 답답한 상황을 맞고 있습니다.
KNN 김민욱입니다.
영상취재 전성현
대출 한도를 6억원으로 제한하는 정부의 초강력 규제책 시행 이후 지역에 미칠 영향에 대한 관심이 뜨겁습니다.
'크게 영향이 없을 것이다', '풍선효과가 나타날 것이다', 전망은 엇갈리고 있습니다.
김민욱 기자가 현장을 둘러봤습니다
<기자>
부산 수영구의 한 아파트 단지.
국민평형이라는 84㎡ 기준 평균 12억원 정도에 거래되는 곳입니다.
6억원 대출 한도 규제를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을지 인근 부동산에 찾아가 봤습니다.
새 정부 출범 직후 거래 상승을 기대했지만 규제책 발표 뒤로 관망세로 돌아섰다고 말합니다.
{김순경/공인중개사/" 아직까지 반응이 없어요. 문의 전화가 오고 있지 않고 조용하거든요."}
이번에는 원도심권으로 가봤습니다.
84㎡ 기준 5-6억원대에 거래되는 이 아파트는 올해 초부터 이어진 거래절벽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다만, 전셋집은 품귀현상을 보이고 있는데 이번에 정부가 버팀목 전세 대출 등 정책 대출 한도를 줄이면서 전세대란이 빚어지는 모습입니다.
{공인중개사/"신생아 대출이나 신혼 대출이 4억 원까지 되던 것이 3억 원으로 줄어드는 바람에 그래도 여기 기본 전세가가 있는데 못 오시는 분들이 생길 수도 있는 것이죠."}
"가뜩이나 지역 부동산은 침체가 장기화되고 있는데, 이번 정부의 초강력 수도권 규제책으로 지역은 더 어려워지진 않을지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대출 한도 6억원 제한으로 서울도심15억원대 아파트 대신 시세차익 가능성이 있는 외곽으로 몰리고 있는데,
이 수요가 부산이나 경남에도 올 것인가가 관심거리입니다.
전문가 전망도 다소 엇갈립니다.
{강정규/동아대 부동산대학원장/"일부 풍선 효과에 의해서 특정 인기 주거지역 몇 군데 지역을 중심으로 해서는 최소한의 거래량이 늘어나는 반사이익도 일부 나타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서정렬/영산대 부동산학과 교수/"서울만 지금 소위 똘똘한 한 채 효과 때문에 상승하는 것이기 때문에 서울 규제를 하니까 지방이 반사 효과로 풍선 효과로 조금 상승을 기대할 수 있다는 것으로 연결 시키기에는 조금 무리가 있는 것이죠. "}
정부에서 항상 수도권 맞춤형 정책만 내놓다보니 지역은 그 불똥이 어떤식으로 튀게될지 일단 지켜봐야만 하는 답답한 상황을 맞고 있습니다.
KNN 김민욱입니다.
영상취재 전성현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김민욱 기자
uk@knn.co.kr
많이 본 뉴스
주요뉴스
-
[현장]더 일찍 뜨거워진 바다, 양식장은 비상대기2025.07.14
-
이번엔 '대량 침수'..본격 장마에 우려 커지는 사상하단선2025.07.14
-
왜 부산에만 참변 이어지나?..또 다시 불거진 스프링클러2025.07.14
-
K-방산 전천후 타격 능력 입증, 개발 착착2025.07.14
-
부산,경남 200mm 집중호우..130여건 피해 접수2025.07.14
-
연일 폭염에 해충까지...타들어가는 농심2025.07.12
-
폐업 검토 거제씨월드, 제2의 삼정더파크 되나2025.07.11
-
[현장]장구벌레 우글우글 하수관...방역작업 구슬땀2025.07.11
-
새끼 향고래 부산 연안에..먼바다 유도 시도2025.07.13
-
창해개발 영도 AI데이터센터 GPU 5만장 확보2025.07.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