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기사모아보기

김민욱기자
김민욱  기자
""

가덕신공항 설계비 600억원, 현대건설 '나몰라라'에 지역업체 피해

[앵커] 현대건설이 가덕신공항 건설을 포기하면서 설계비로 쓰였던 600억원도 허공에 날리게 됐습니다. 문제는 컨소시엄을 구성한 지역업체들도 돈을 날리게 됐다는 점입니다. 현대건설의 독단적 판단으로 지역업체들이 피해를 입게 됐습니다. 김민욱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현대건설은 가덕신공항 공사에 설계비 600억원을 투입했는데 공사 포기 선언을 하면서 기본설계와 관련한 보유 권리도 모두 포기했습니다. "설계비를 낸 곳은 현대건설이 아닌 현대건설 컨소시엄입니다. 즉 지분에 따라 지역건설업체들도 설계비를 냈는데, 현대건설이 일방적으로 가덕신공항 공사를 포기하면서 지역 업체들은 투입 비용을 돌려받을 수 있을지 걱정이 큰 상황입니다." 지분율은 현대건설이 25%로 가장 높고 대우건설 18%, 포스코이앤씨 13% 순이고, 부산경남 지역업체 14곳도 각 0.5~1% 씩 지분 참여를 했습니다. 때문에 불똥은 지역업체들에도 튀었습니다. 한 지역 업체는 취재진과의 통화에서 '설계비를 돌려받고 싶지만 현대건설이 모르쇠로 일관한다'며 하소연했습니다. 또 다른 업체도 현대건설이 손실처리를 할 것 같다며, 이렇게되면 설계비를 돌려받을 방법이 없다고 한숨을 쉬었습니다. 지역업체는 한푼이 아쉬운데 현대건설은 언제 사업을 포기했냐는 듯 벡스코 제3전시장, 고리1호기 등 돈되는 사업에 적극 나서고 있습니다. {오문범/부산YMCA 사무총장/"(현대건설이) 고리 1호기(해체 사업 참여) 문제라든지 벡스코 제3전시장 건설 이런 부분들에 대해 욕심을 내면서 지역의 업체들이 가질 수 있는 (설계비) 부담에 대해서는 무책임한 행동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현대건설에 대한) 필요한 조치들이 반드시 있어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현대건설은 새 컨소시엄이 설계도면을 승계하면 문제될 것이 없지 않겠냐는 입장을 보내왔습니다. 하지만 새 컨소시엄이 구성되더라도 정부 입찰 기준에 맞는 설계 보완은 불가피해 추가 비용 등 지역업체 부담은 계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KNN 김민욱입니다. 영상취재 오원석 영상편집 정은희 CG 이선연
2025.07.11

지역 무시하는 현대건설, 또 돈되는 '고리 1호기 해체' 눈독

<앵커> 가덕신공항 공사 수의계약을 일방적으로 철회한 현대건설이 잇따라 여론의 물매를 맞고 있습니다. 창원 대상공원 개발사업에서 기부채납하기로 한 초대형 인공나무 '빅트리'가 계획과 다른 부실한 외형으로 논란에 휩싸였고, 벡스코 제3전시장 공사에 이어 1조원이 넘는 고리 1호기 해체 사업에 뛰어들겠다고 밝히면서 지역의 반발을 자초하고 있습니다. 김민욱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지난달 원자력안전위원회가 고리 1호기 해체를 승인하면서 원전 해체 시장이 본격화되고 있습니다. 2050년까지 전 세계 원전 해체 시장은 500조원으로 추산됩니다. 당장 고리 1호기 해체 비용만 1조원이 넘습니다. 이달에서 다음 달 사이 한수원이 고리 1호기 내 방사선 영향이 없는 비관리구역에 200억원 공사 발주를 계획하는 상황! 현대건설은 자사 홈페이지를 통해 고리 1호기 원전 해체 사업 참여 의사를 드러냈습니다. 현대건설이 1971년 고리 1호기를 시작으로 한국형 원전 24기를 시공했고, 미국 원전 해체 시장에도 진출했다는 이유라고는 하지만 여론은 싸늘합니다. "가덕신공항 공사를 일방적으로 포기한 현대건설이 벡스코 제3 전시장 공사에 이어 고리 1호기 해체 시장에 까지 눈독을 들인 것으로 나타나면서 지역 사회 반발이 점차 커지고 있습니다." 도한영/부산 경실련 사무처장/"이번 가덕신공항 수의계약에서 현대건설이 계약을 포기함으로써 나타난 그 뒤의 일이기 때문에 결국은 대형 건설사가 자본 이익을 쫓아가는 그런 모습이라는 말씀을 드리고 싶고요." 정치권에서도 현대건설에 제재를 촉구하고 나섰습니다. 김정호/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경남 김해시을)/"달면 삼키고 쓰면 뱉는 대기업들의 횡포 갑질에 대해서 제재하지 않으면 계속 그럴 것 아닙니까?" 이에 대해 취재진은 현대건설에 입장을 여러 차례 물었지만 답변을 들을 수 없었습니다. 필수 국책사업은 포기하고 지역의 수익 사업에만 골몰하는 현대건설을 지켜보는 지역의 민심은 갈수록 싸늘해지고 있습니다. KNN 김민욱입니다.
2025.07.08

지역 무시하는 현대건설, 또 돈되는 '고리 1호기 해체' 눈독

<앵커> 현대건설은 국토부와의 가덕신공항 공사 수의계약을 일방적으로 철회하면서 지역민의 오랜 염원을 무시하고, 신공항의 미래를 불투명하게 했다는 비판을 받고 있습니다. 하지만 돈이 되는 벡스코 제3전시장 공사에는 적극적인 입찰 의향을 드러내며 지역 사회의 지탄을 받았고, 창원 대상공원 개발 사업에서는 기부채납하기로 한 초대형 인공나무 '빅트리'가 계획과 다른 부실한 외형으로 논란에 휩싸였습니다. 그런데 여기에 더해 현대건설은 1조원이 넘는 고리 1호기 해체 사업에 뛰어들겠다고 밝혀 또 한번 지역의 반발을 자초하고 있습니다. 김민욱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지난달 원자력안전위원회가 고리 1호기 해체를 승인하면서 원전 해체 시장이 본격화되고 있습니다. 2050년까지 전 세계 원전 해체 시장은 500조원으로 추산됩니다. 당장 고리 1호기 해체 비용만 1조원이 넘습니다. 이달에서 다음 달 사이 한수원이 고리 1호기 내 방사선 영향이 없는 비관리구역에 200억원 공사 발주를 계획하는 상황! 현대건설은 자사 홈페이지를 통해 고리 1호기 원전 해체 사업 참여 의사를 드러냈습니다. 현대건설이 1971년 고리 1호기를 시작으로 한국형 원전 24기를 시공했고, 미국 원전 해체 시장에도 진출했다는 이유라고는 하지만 여론은 싸늘합니다. "가덕신공항 공사를 일방적으로 포기한 현대건설이 벡스코 제3 전시장 공사에 이어 고리 1호기 해체 시장에 까지 눈독을 들인 것으로 나타나면서 지역 사회 반발이 점차 커지고 있습니다." {도한영/부산 경실련 사무처장/"이번 가덕신공항 수의계약에서 현대건설이 계약을 포기함으로써 나타난 그 뒤의 일이기 때문에 결국은 대형 건설사가 자본 이익을 쫓아가는 그런 모습이라는 말씀을 드리고 싶고요."} 정치권에서도 현대건설에 제재를 촉구하고 나섰습니다. {김정호/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경남 김해시을)/"달면 삼키고 쓰면 뱉는 대기업들의 횡포 갑질에 대해서 제재하지 않으면 계속 그럴 것 아닙니까?"} 이에 대해 취재진은 현대건설에 입장을 여러 차례 물었지만 답변을 들을 수 없었습니다. 필수 국책사업은 포기하고 지역의 수익 사업에만 골몰하는 현대건설을 지켜보는 지역의 민심은 갈수록 싸늘해지고 있습니다. KNN 김민욱입니다. 영상취재 오원석 전재현 영상편집 박서아 CG 이선연
2025.07.0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