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부산 '공연예술마켓' 시도, 기대와 우려

<앵커> 영국 에든버러나 프랑스 아비뇽 같은 도시는 도시 전체에서 펼쳐지는 공연예술 축제로 유명합니다. 부산도 올해 이런 축제를 열어 직접 공연 유통까지 연결하는 모델을 시도하는데요, 기대 반 우려 반입니다. 표중규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올해 76회째인 영국 에든버러 페스티벌은 크고 작은 공연을 묶은 축제 20여개가 한꺼번에 열립니다. 4백만명 이상이 방문하는데, 선보인 공연들은 전세계로 유통됩니다. 에든버러 같은 축제가 올 10월 부산에서도 열립니다. 코미디부터 음악, 무용, 연극 등 다양한 분야에서 검증된 공연을 유통시킬 공연예술 아트마켓을 만든다는 것입니다. 시민회관을 중심으로 서면, 센텀 등 전역에서 100여개 공연을 마련합니다. {김기환/부산시 문화체육국장/30개국 100여명의 공연 산업관계자와 예술단체 천명,관광객 1만명을 목표로 하고 있는데 산업관계자 중에서는 이미 영국 에든버러 프린지 총감독이라든지 캐나다 시나르, 프랑스 아비뇽 등의 대표자들이 참여하게 되어있습니다. } 공연도 판매하고 관광객도 끌어들이면서 도시 브랜드도 높이는 1석 3조를 기대합니다 . {박형준/부산시장/부산 곳곳에 좋은 공연장들이 많이 생기고 여기에 우리 부산뿐 아니라 전국, 나아가 세계의 좋은 공연들이 속속 들어와 공연을 한다면 그게 관광에도 굉장히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내년 5월 부산에서 열리는 K-아트 페스티벌과 합쳐 규모도 키울 예정입니다 하지만 이미 중국은 물론 서울에서 선점한 아시아 아트마켓을 과연 후발주자인 부산이 얼마나 빼앗아올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기대반 우려반입니다. 또 팔릴만한 공연만 지원하지는 않을지, 척박한 부산의 토양에서 제대로 성장할지에 대한 우려도 적지 않습니다. 부산시는 비슷한 시기 부산국제영화제와 시너지를 노리는 등 다양한 복안을 내놔, 공연예술마켓으로서 부산의 꿈이 얼마나 현실로 나타날지 주목됩니다. KNN 표중규입니다.
표중규
2023.09.10 18:43

도심속 영화의전당에서 즐기는 음악축제

<앵커> 영화의 도시 부산을 대표하는 공간인 영화의 전당에서 음악 축제가 열렸습니다. 관객 2천명이 몰려 성황을 이뤘습니다. 최혁규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친구들과 연인들이 돗자리를 펴놓고 음악에 몸을 맡깁니다. 공연장 주변에는 다채로운 먹거리를 판매하는 푸드트럭도 있습니다. 보시는 것처럼 영화의전당 그늘 아래에서 수많은 관객들이 먹거리와 함께 음악을 즐기고 있습니다. 부산 영화의 전당에서 열린 음악 축제 2023빅루프뮤직페스티벌에 2천명 넘는 관객들이 몰렸습니다. {강지아, 강한수/부산 화명동, 거제동/"가수 라인업도 되게 화려하고, 축제처럼 해서 피크닉 존도 있고 (해서) 와보게 됐습니다. 이런 시설이 있어서 깔끔하게 놀기 좋은 것 같아요."} 폴킴, 카더가든 등 부산에서 흔히 볼 수 없었던 국내외 가수 16팀이 참여한 이번 공연은 낮 12시반부터 9시간 동안 이어집니다. 좋아하는 가수들의 공연을 실제로 본 관객들은 공연을 영상으로 남기기에 여념없습니다. {한로로 가수/"페스티벌인만큼 많은 사람들이 모여주셨는데, 날이 더운데도 불구하고 많이 호응해주셔서 아티스트로서 기분 좋은 무대를 할 수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영화의전당에선 앞으로 영화제 외에도 다채로운 문화행사를 계획하고 있습니다. {김민찬 초코뮤직 대표/"저희는 부산을 기점으로 부산 락페스티벌 이상의 페스티벌을 할 수 있도록 성장하는 게 목표구요. 이번 페스티벌에는 부산,서울,해외 팀들이 함께 교류할 수 있는 장을 만들어 냈습니다.} 앞으로 영화의전당이 부산국제영화제 무대라는 고정관념에서 벗어나 부산을 대표하는 전천후 문화공간이 될지 기대를 모으고 있습니다. KNN 최혁규입니다.
최혁규
2023.09.09 19:54

기후위기 주제 '하나뿐인 지구영상제' 성황리 폐막

<앵커> 국내 최초로 기후위기를 다룬 영화제인 '하나뿐인 지구영상제'가 올해 2회 행사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했습니다. 해가 갈수록 심각해지는 기후위기를 피부로 느끼면서 영화제에 대한 시민들의 관심도 높아졌습니다. 박명선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세계 최초로 기후위기를 다룬 영화제가 막을 내렸습니다. 폐막작으로 필리핀의 팔라완 숲을 지키기 위해 목숨까지 걸어야하는 투쟁기를 그린 다큐멘터리 '델리카토'가 상영됐습니다. 올해 첫 도입된 경쟁 부문에서 심사위원들은 본선에 오른 16개 작품 가운데 대상 작품을 폐막작으로 선정했습니다. {칼 말라쿠나스/영화감독/"환경을 지키기 위해 우리 모두가 토론하고 실천하는 가치는 저희 영화 델리카토를 만든 모든 제작진과 다르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생생한 다큐멘터리 영상을 통해 관객들은 기후위기의 심각성을 공유했습니다. {장영자/지구영상제 프로그래머/"그린피스 캠페인처럼 짧으면서도 임팩트 있는 작품 등 다양한 방식으로 관객들이 환경이슈에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노력한 작품이 많이 선정됐습니다."} 닷새동안 열린 이번 영상제는 전세계 저명한 환경영화와 다큐멘터리 52여 편을 한자리에서 만나볼수 있는 장이 됐습니다. 위기의식을 바탕으로 실천방향을 모색하는 다양한 행사도 열렸습니다. 친환경메이커를 한자리에서 만나볼 수 있는 그린라이프쇼 등 체험행사에는 가족단위 참가자들로 북적였고, ESG 국제컨퍼런스에는 국내외 전문가들이 함께 기후위기시대 기업의 역할 등을 고민하기도 했습니다. {장제국/자연의권리찾기 이사장 /"국제 컨퍼런스를 개최했는데 AI를 접목해서 기후변화를 어떻게 극복할 수 있을까에 대해 이야기를 했었는데 문제제기 뿐 아니라 대안도 찾아보는 시간이었습니다."} 기후위기에 민감한 해양도시 부산에서 하나뿐인 지구영상제가 성황리에 개최되면서, 기후 문제 극복 선도 도시로 새로운 발걸음을 내디뎠다는 평가입니다. KNN 박명선입니다.
박명선
2023.09.06 08:03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