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현장]더 일찍 뜨거워진 바다, 양식장은 비상대기

[앵커] 예년보다 일찍 찾아온 고수온으로 남해안 양식장에 비상이 걸렸습니다. 양식업계 최악의 해로 해로 기록된 지난해 악몽이 재현되지 않을까, 어민들은 밤잠마저 설치고 있습니다. 경남 거제의 양식장 현장을 안형기 기자가 직접 돌아봤습니다. [리포트] 다음달 출하를 앞둔 경남 거제의 한 육상양식장입니다. 600평 규모의 양식장 수조에 넙치 15만 마리가 자라고 있습니다. 실내다보니 해상보다는 영향이 적지만 벌써부터 뜨거워진 수온이 걱정입니다 지난해 고수온으로 키우던 넙치의 95%가 폐사한만큼 안심할 수가 없습니다. {최재봉/양식 어민/"(넙치가) 비교적 저수온에도 강하고 고수온에도 강하지만, 30도 이상 올라갔을 때... 고수온이 유지가 되버리면, 유지만 안하고 떨어져주면 문제가 없어요. 올해는 작년처럼 안되기를 기도를 합니다.} 내리쬐는 햇볕마저 못 피하는 해상 양식장은 더 걱정이 클수밖에 없습니다. "이곳 가두리 양식장에는 조피볼락 20만 마리가 자라고 있습니다. 고수온에 특히 약한 어종인데, 경남 앞바다에서 양식되는 어류 가운데 절반 이상이 이렇게 고수온에 취약한 한류성 어종입니다." 이 양식장 역시 지난해 키우던 조피볼락 20만 마리가 모두 폐사했습니다. 수온이 28℃가 넘으면 폐사하기 시작하는데, 올해도 이대로면 폐사위험온도까지 얼마 남지 않은 상황입니다. {황덕성/양식 어민/"(걱정이) 저 뿐만 아니라 모든 어민이 다 마찬가지입니다. 자연에 맡기는 수밖에 없는 실정입니다. 대체할 수 있는 어종이 있으면 다른 걸로 할텐데, 마땅히 없다보니까..."} 올 7월부터 9월까지 여름기간, 남해안 연안 평균 표층수온이 평년보다 1도 더 높을거라는 전망까지 나왔습니다. 지난 3일 통영시 욕지면부터 하동군 앞바다까지 고수온 예비특보가 내려졌는데, 지난해보다 8일이나 빠릅니다 수협에는 비상이 걸렸습니다. {엄준/거제수협 조합장/"고수온 예찰이라던지 이런 부분들을 강화를 해서 피해가 나지 않도록 적극적으로 어업인들 지원을..."} 지자체 역시 대책마련에 부심하고 있습니다. {변광용/거제시장/"사전에 우리 시가 할 수 있는 지원 그리고 대비 그리고 또 어민들과 함께할 수 어떤 부분이 있는지 잘 찾아서 적극적으로 대응을..."} 매년 뜨거워지는 바다에 마땅한 대책마저 없는 상황에 집단 폐사의 악몽이 재현되지 않을까 어민들의 시름은 깊어지고 있습니다. KNN 안형기입니다. 영상취재:정창욱
안형기
2025.07.14 20:48

K-방산 전천후 타격 능력 입증, 개발 착착

[앵커] 한국항공우주산업, KAI가 개발한 해병대 상륙공격헬기가 무장시험을 통해 전천후 타격 능력을 입증했습니다. 차세대 한국형 전투기 KF-21 역시 무장 발사 시험과 함께 현재 양산 작업이 이뤄지고 있는데요. 실제 발사시험 현장을 이태훈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KAI가 개발한 해병대 상륙공격헬기가 유도로켓을 잇따라 발사합니다. 이 상륙공격헬기는 유도로켓과 공대지,공대공 미사일까지 갖췄습니다. 주간과 야간에 걸쳐 기관총 발사 시험도 이뤄졌습니다. 2022년 개발에 착수한 상륙공격헬기가 지난해 12월 첫 시험비행에 이어 무장 발사 시험까지 성공한 것입니다. {박진석/KAI 회전익사업관리실 상무(지난 1월)/"23년 전력화된 마린온과 함께 공*지 기동 해병대의 핵심 전력 축이 될 수 있도록 개발에 만전을 다하겠습니다."} 내년 하반기 해병대에 납품되는 상륙공격헬기는 해병대 상륙기동헬기인 마린온을 엄호하는 역할을 맡습니다. 지상부대의 전투를 지원하는 임무도 담당합니다. 상륙공격헬기에는 현대전장에서 게임 체인저로 부상한 드론 등 유*무인 복합체계기술도 적용될 것으로 보입니다 {최기일 상지대 군사학과 교수/"현존하는 유인 헬기의 한계나 제한 사항을 이러한 유무인 복합체계 기술(MUM-T)를 활용함으로써 이를 적극 보완하고..."} 최근 40대 도입이 확정된 한국형 전투기 KF-21도 현재 기총 발사시험 등 순조로운 진행을 보이고 있습니다. 무장 시험과 함께 현재 양산 1호기가 최종 조립에 들어간만큼, 내년 하반기부터 공군에 인도될 예정입니다. KNN 이태훈입니다. 영상편집 김범준 화면제공 방위사업청, 공군, KAI
이태훈
2025.07.14 20:49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