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늑장' 엑스포 백서... 반성없이 2040 엑스포?

<앵커> 2030 부산 엑스포 유치 참패에 대한 백서가 오늘 공개됐습니다. 사우디아라비아에 119대 29로 충격적인 패배했던 만큼 제대로 된 실패 원인 분석이 중요한데요. 1년이나 늦게 발표된데다 내용까지 부실하다는 지적이 나오는데, 이런 상태에서 2040엑스포 재추진이 가능할지 우려가 나옵니다. 김민욱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2030 부산세계박람회 유치활동 백서가 나왔습니다. 유치 실패 2년만에 나온 늑장 반성문입니다. 예산 1억여원을 들인 백서는 당초 지난해 12월 공개 예정이었습니다. 하지만 중앙부처의 뒤늦은 참여에다 계엄까지 겹치며 1년이 미뤄졌습니다. 내용도 실망스럽다는 평가입니다. 참패 원인을 진단하는 중요한 항목인 '총평, 시사점'은 단 18 페이지에 불과했습니다. 예산 설명도 고작 2페이지 뿐입니다. 부산시와 정부 유치위원회 예산 1,217억원이 어떻게 쓰여있는지는 나와있지 않습니다. 대신 보도자료, 활동 사진 등이 담긴 부록이 백서 전체의 3분 1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최규환/동아대 관광경영학과 교수/"어떤 전략 수립을 해서 거기에 어떤 성과를 내기 위해서 이렇게 (예산이) 투입됐다든지 이런 것이 좀 자세하게 쓰여 있어야 하는데 그렇지 못한 것 같습니다."} 실망스러운 백서를 내놓고도 부산시는 경남, 전남과 함께 2040 엑스포 재도전 검토에 들어갔습니다. {이준승/부산시 행정부시장/"어떤 식으로 재도전할 것인가에 대해서도 시민들과 소통을 하고 시민들의 뜻을 바탕으로 해서 재도전 여부를 결정하겠다 (이렇게 이해하면 될 것 같습니다.)"} 시민사회 반응은 싸늘합니다. {오문범/부산 YMCA 사무총장/"이번에 부산시가 발표한 백서 내용의 전반적인 내용을 봤을 때 ‘과연 재도전 의사가 있는 도시인가?’라고 하는 솔직히 냉철한 판단이 필요해 보입니다."} 실패에 대한 통렬한 반성없이 또 다시 범시민 차원의 동력을 모을 수 있을지는 미지수입니다. KNN 김민욱입니다. 영상취재 권용국 영상편집 정은희
김민욱
2025.11.28 20:52

<현장>인형뽑기방 불법 운영 백태... 사행성 조장

<앵커> 요즘 거리를 걷다보면 인형뽑기방이 눈에 띄게 늘어난 것 느끼실 수 있을텐데요. 현장 취재를 해보니 대부분이 운영 시간과 경품 가격 기준 등을 지키지 않은 채 불법 운영을 이어가고 있었습니다. 옥민지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밤 11시가 훌쩍 넘은 시각. 인형뽑기방은 뽑기를 하려는 사람들로 여전히 북적입니다. 인형을 놓치고 또 놓치지만, 멈출 수가 없습니다. {아!! 마지막 딱 이거 도전해볼게..} 곳곳에는 인형뽑기에 열중하고 있는 청소년들도 눈에 띕니다. {고등학교 2학년/"저는 학원 마치고 왔고, 얘는 스터디 카페 갔다가.."} 하지만 밤 10시 이후 청소년의 인형뽑기방 출입은 불법입니다. 현행법상 청소년게임시설업의 경우 오전 9시부터 밤 10시까지만 청소년 출입이 허용됩니다. 그럼에도 대부분 무인으로 운영되다보니 이를 안내해주는 사람도, 출입을 막는 사람도 없습니다. {고등학교 3학년/10시 이후에 출입이 안되는걸 아는 애들이 거의 없고요. 저도 처음 알았고..} 청소년 출입과 별개로 밤 12시가 되면 인형뽑기방은 영업을 끝내야되지만, 이 역시 지켜지지 않는 곳이 많습니다. "보시는 것처럼 지금은 밤 12시를 훌쩍 넘긴 시간인데요. 여전히 인형뽑기방은 환하게 불이 켜진데다 큰소리로 노래가 흘러나오고 있고, 인형 뽑기 기계도 버젓이 작동되고 있습니다." 소비자가로 1만 원이 넘는 경품을 사용하는 것도 불법, 현실은 다릅니다. 곳곳에 1만 원이 넘는 인형과 상품들입니다. 지자체의 지도점검과 경찰의 단속 효과는 그 때뿐입니다. {이상훈/부산경찰청 범죄예방질서계장/"올해 인형뽑기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습니다. 그래서 경찰에서는 위반 사항에 대해서 지속적으로 단속 조치를 하고 있고.."} 일부 인형뽑기방들의 불법 운영이 청소년들의 사행성을 키우진 않을지 우려됩니다. KNN 옥민지입니다. 영상취재 황태철
옥민지
2025.11.28 17:30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