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건사고
이번엔 '대량 침수'..본격 장마에 우려 커지는 사상하단선
하영광
입력 : 2025.07.14 20:45
조회수 : 1010
0
0
[앵커]
지난 밤 쏟아지는 폭우에 밤잠 설치신 분 많으실 겁니다.
부산경남 지역에는 200mm가 넘는 비가 쏟아지며 부산 도시철도 사상하단선 공사현장이 침수되는 등 피해가 잇따랐습니다.
여기에 땅꺼짐이 2곳이나 추가로 발생하며 시민 불안은 계속 커지고 있습니다.
하영광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부산 사상하단선 공사현장입니다.
대합실로 내려가는 길이 흙탕물로 가득차 거대한 풀장을 연상케 합니다
대략 8백미터 정도 되는 환승통로구간이 최대 5미터 깊이로 잠겼습니다.
밤 사이 200mm 가까이 내린 비가 지하로 쏟아져 고인 것입니다.
"사상하단선 공사현장입니다. 자재를 운반하기 위해 만들어놓은 구멍에서 물이 쏟아지며, 보시는 것 처럼 사상하단선 대합실은 그야말로 물바다가 됐습니다."
이렇게 고인 물은 무려 5만톤!
부산교통공사는 펌프 시설을 이용해 물 퍼내기 작업에 나섰습니다.
꼬박 24시간 밤샘작업을 해야 겨우 물을 다 뺄 수 있을 전망입니다.
{최의식/부산교통공사 시설건설처장/"낙동강 쪽으로 흘러가야 되는 물이, 그곳의 수위가 (공사현장 보다) 더 높으니까 물이 안흘러가는 영향인것으로 (추정)되는데, 자재 투입구 주변에 (벽을) 높이 쌓아가지고 물이 유입이 안되도록 (하겠습니다)"}
사상-하단선 구간에서 최근 빈발했던땅꺼짐도 또 다시 발생했습니다.
부산시가 지반침하 특별대책 까지 내놓으며 땅꺼짐 예방에 나섰지만, 무용지물이란 비판이 나옵니다.
이번주 내내 폭우가 계속될 예정이라 추가 침수는 물론 땅꺼짐 피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배재은/부산기상청 예보관/"이번주는 비가 내리는 날이 많겠는데요. 동해상에 위치한 저기압의 영향으로 15일 오후까지 부울경 지역에는 10에서 40mm의 비가 오겠지만 15일 새벽까지 소강상태를 보이는 곳이 많겠습니다."}
사상-하단선 뿐 아니라 침수와 산사태 등, 붕괴 발생 가능성에 대해 부산경남 전 지역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한 시점입니다.
KNN 하영광입니다.
영상취재:전재현
영상편집:박서아
지난 밤 쏟아지는 폭우에 밤잠 설치신 분 많으실 겁니다.
부산경남 지역에는 200mm가 넘는 비가 쏟아지며 부산 도시철도 사상하단선 공사현장이 침수되는 등 피해가 잇따랐습니다.
여기에 땅꺼짐이 2곳이나 추가로 발생하며 시민 불안은 계속 커지고 있습니다.
하영광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부산 사상하단선 공사현장입니다.
대합실로 내려가는 길이 흙탕물로 가득차 거대한 풀장을 연상케 합니다
대략 8백미터 정도 되는 환승통로구간이 최대 5미터 깊이로 잠겼습니다.
밤 사이 200mm 가까이 내린 비가 지하로 쏟아져 고인 것입니다.
"사상하단선 공사현장입니다. 자재를 운반하기 위해 만들어놓은 구멍에서 물이 쏟아지며, 보시는 것 처럼 사상하단선 대합실은 그야말로 물바다가 됐습니다."
이렇게 고인 물은 무려 5만톤!
부산교통공사는 펌프 시설을 이용해 물 퍼내기 작업에 나섰습니다.
꼬박 24시간 밤샘작업을 해야 겨우 물을 다 뺄 수 있을 전망입니다.
{최의식/부산교통공사 시설건설처장/"낙동강 쪽으로 흘러가야 되는 물이, 그곳의 수위가 (공사현장 보다) 더 높으니까 물이 안흘러가는 영향인것으로 (추정)되는데, 자재 투입구 주변에 (벽을) 높이 쌓아가지고 물이 유입이 안되도록 (하겠습니다)"}
사상-하단선 구간에서 최근 빈발했던땅꺼짐도 또 다시 발생했습니다.
부산시가 지반침하 특별대책 까지 내놓으며 땅꺼짐 예방에 나섰지만, 무용지물이란 비판이 나옵니다.
이번주 내내 폭우가 계속될 예정이라 추가 침수는 물론 땅꺼짐 피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배재은/부산기상청 예보관/"이번주는 비가 내리는 날이 많겠는데요. 동해상에 위치한 저기압의 영향으로 15일 오후까지 부울경 지역에는 10에서 40mm의 비가 오겠지만 15일 새벽까지 소강상태를 보이는 곳이 많겠습니다."}
사상-하단선 뿐 아니라 침수와 산사태 등, 붕괴 발생 가능성에 대해 부산경남 전 지역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한 시점입니다.
KNN 하영광입니다.
영상취재:전재현
영상편집:박서아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하영광 기자
hi@knn.co.kr
많이 본 뉴스
주요뉴스
-
돌아온 전어, 어시장 상권 모처럼 활기2025.08.31
-
<자랑스러운 부산경남 더 자랑스럽게>야구보다 더 뜨거운 응원... 부산*경남의 열기2025.08.31
-
김해 시내버스 SUV차량 충격...11명 경상2025.08.31
-
부산 6개 해수욕장 폐장...해운대는 다음달 14일까지2025.08.31
-
바다에 버려진 양심 '폐타이어' 수거해도 문제2025.08.30
-
경남, 제조분야 차세대 피지컬 AI 거점으로2025.08.30
-
경남 거제 앞바다 낚시배 전복 19명 전원 구조2025.08.30
-
올해 부산 해수욕장 해파리 쏘임사고 급감2025.08.30
-
'중국인 무비자 입국' 놓고 갈린 반응...환영 vs 불안2025.08.29
-
적조에 폐사 '현실로'...폭염 이어 적조 ‘비상’2025.08.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