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가덕신공항 설계비 600억원, 현대건설 '나몰라라'에 지역업체 피해

[앵커] 현대건설이 가덕신공항 건설을 포기하면서 설계비로 쓰였던 600억원도 허공에 날리게 됐습니다. 문제는 컨소시엄을 구성한 지역업체들도 돈을 날리게 됐다는 점입니다. 현대건설의 독단적 판단으로 지역업체들이 피해를 입게 됐습니다. 김민욱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현대건설은 가덕신공항 공사에 설계비 600억원을 투입했는데 공사 포기 선언을 하면서 기본설계와 관련한 보유 권리도 모두 포기했습니다. "설계비를 낸 곳은 현대건설이 아닌 현대건설 컨소시엄입니다. 즉 지분에 따라 지역건설업체들도 설계비를 냈는데, 현대건설이 일방적으로 가덕신공항 공사를 포기하면서 지역 업체들은 투입 비용을 돌려받을 수 있을지 걱정이 큰 상황입니다." 지분율은 현대건설이 25%로 가장 높고 대우건설 18%, 포스코이앤씨 13% 순이고, 부산경남 지역업체 14곳도 각 0.5~1% 씩 지분 참여를 했습니다. 때문에 불똥은 지역업체들에도 튀었습니다. 한 지역 업체는 취재진과의 통화에서 '설계비를 돌려받고 싶지만 현대건설이 모르쇠로 일관한다'며 하소연했습니다. 또 다른 업체도 현대건설이 손실처리를 할 것 같다며, 이렇게되면 설계비를 돌려받을 방법이 없다고 한숨을 쉬었습니다. 지역업체는 한푼이 아쉬운데 현대건설은 언제 사업을 포기했냐는 듯 벡스코 제3전시장, 고리1호기 등 돈되는 사업에 적극 나서고 있습니다. {오문범/부산YMCA 사무총장/"(현대건설이) 고리 1호기(해체 사업 참여) 문제라든지 벡스코 제3전시장 건설 이런 부분들에 대해 욕심을 내면서 지역의 업체들이 가질 수 있는 (설계비) 부담에 대해서는 무책임한 행동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현대건설에 대한) 필요한 조치들이 반드시 있어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현대건설은 새 컨소시엄이 설계도면을 승계하면 문제될 것이 없지 않겠냐는 입장을 보내왔습니다. 하지만 새 컨소시엄이 구성되더라도 정부 입찰 기준에 맞는 설계 보완은 불가피해 추가 비용 등 지역업체 부담은 계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KNN 김민욱입니다. 영상취재 오원석 영상편집 정은희 CG 이선연
김민욱
2025.07.11 16:51

수박 한통 선풍기 한 대 값

<앵커> 무더위에 시원한 수박 한통이 생각나는 요즘이지만, 막상 시장이나 마트를 가보면 수박 가격에 깜짝 놀라고 맙니다. 비싼 녀석이 3,4만원 꼴, 선풍기 한대값 수준까지 뛰었기 때문인데요. 과일과 채소, 수산물 등 여름철 밥상물가가 올라도 너무 올라 가뜩이나 힘든 서민들의 일상을 더욱 지치게하고 있습니다. 김동환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한 대형마트의 과일코너에 여름의 대표 과일 수박이 깔렸습니다. 장보러 나온 사람들이 만져도 보고, 두드려보기도 하지만 고민하다 돌아서는 이들이 꽤 많아 보입니다. 전미성/부산 재송동/"여름 나려면 수박을 먹어야 되는데 지난주만 해도 한 1만 9천 원 정도 했는데 이번 주에는 더 올랐네요. 소비자 입장에서는 많이 비싼 것 같습니다. 폭염이 수요에도 공급에도 영향을 미친 측면이 큽니다. 너무 더우면 수박의 질이 떨어지기쉽고, 반면 수박을 찾는 소비자는 늘어나기 때문입니다. 일부 프리미엄급 최상품은 한통에 3만원을 훌쩍 넘습니다. 선풍기 한대값과 맞먹는 가격입니다. "마트가 기획상품으로 내놓은 3만원대 선풍기 입니다. 인기가 많아 물량이 빠르게 소진되고 있는데 이 수박 한통과 가격 차이가 불과 천원 남짓 입니다." 또 다른 제철 과일인 복숭아 값도 들썩이고 있고 오이와 깻잎, 고추를 비롯한 채소값은 많게는 30% 가량 올랐습니다. 박병주/대형마트 청과 구매담당/"30% 이상 수박 가격이 상승하였고 해결 방법을 위해서 산지를 다방면으로 찾아다니며 저렴한 가격으로 고객에게 공급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국민생선 고등어와 오징어 등 수산물가격도 만만치 않습니다. 상품성이 높은 고등어 중대형 사이즈냉장 상품의 경우 지난해 같은 기간 보다 27%가량 올랐습니다. 송진호/대형마트 홍보부장/"먹거리 물가가 높아지면서 고객분들의 가격에 대한 민감도도 높아지고 있고, 이에 따라 보다 저렴하거나 행사 상품을 찾는 고객분들도 이전보다 더 많아지고 있습니다." 물건살때 가격부터 본다는 말이 일상이 된 요즘 소비자들은 물가 폭염을 체감하며 무더운 여름을 나고 있습니다. knn김동환입니다.
김동환
2025.07.09 20:4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