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현장]폭염*짧은 장마에 낙동강 녹조 비상
안형기
입력 : 2025.07.10 19:17
조회수 : 638
0
0
<앵커>
요즘 폭염은 낙동강마저 녹조로 뒤덮었습니다.
역대급 짧은 장마까지 겹치면서 낙동강 녹조도 기승을 부리고 있습니다.
당분간 비 소식도 없어 이대로면 안전한 식수공급까지 위협받지 않을까 불안이 커지고 있습니다.
안형기 기자가 직접 현장을 다녀왔습니다.
<기자>
경남 함안, 칠서취수장 주변입니다.
강가를 따라 짙은 초록색 녹조 띠가 선명합니다.
예년 같으면 장마로 녹조가 잠잠해야할 시기지만 있는듯 없는듯 지나간 장마에 녹조가 더 빨리 뒤덮었습니다.
"보시다시피 강 가장자리는 페인트를 풀어놓은 듯 진한 녹색을 띄고 있습니다. 가까이 가보면 악취까지 나는데, 이렇게 물을 떠보면 초록색 알갱이인 남조류가 떠있는 걸 볼 수 있습니다."
지난 5월 일찌감치 발령된 조류경보 '관심' 단계도 여전합니다.
예년에 비해 한 달이나 빨리 발령된건데, 짧은 장마에 폭염까지 더 빨리 찾아오면서 앞으로가 더 걱정입니다.
6월 말 기준으로 물 1ml당 1천2백개를 웃돌던 칠서의 유해남조류는 7월 2주차에 3만2천여개로 훌쩍 뛰었습니다.
2018년 녹조대발생처럼 최악의 사태를 우려하는 목소리까지 나옵니다.
임희자/낙동강네트워크 공동집행위원장/"(2018년과) 기상조건도 올해와 비슷한 40도 이상의 폭염이 온다든지 이러한 조건이었는데, 올해도 그 못지 않은 녹조 대발생이 일어날 수 있는..."
특히 칠서와 물금*매리지점은 지역의 식수원인만큼 걱정도 커지고 있습니다
김미정/창녕군 남지읍/"녹조가 독성과 관련이 있고 정수장도 지금 바로 코 앞에 있는데, 건강에도 굉장히 침해할 우려가 있다는 것에 굉장히 걱정스럽습니다."
여기에 7월 중순까지는 비소식도 없어 수질 관리에도 비상이 걸렸습니다.
낙동강유역환경청 수생태관리팀장/"짧은 장마 이후 폭염이 지속되고 있어서 남조류 세포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안전한 먹는물 공급을 위해서 정수장 점검을 지속적으로 실시하고 녹조저감 설비를 적극 가동해서...
빠른 폭염에 짧은 장마로 기세가 더 무서워진 녹조에 매년 반복되는 낙동강 식수의 불안은 갈수록 커지고 있습니다.
KNN 안형기입니다.
영상취재:정창욱
요즘 폭염은 낙동강마저 녹조로 뒤덮었습니다.
역대급 짧은 장마까지 겹치면서 낙동강 녹조도 기승을 부리고 있습니다.
당분간 비 소식도 없어 이대로면 안전한 식수공급까지 위협받지 않을까 불안이 커지고 있습니다.
안형기 기자가 직접 현장을 다녀왔습니다.
<기자>
경남 함안, 칠서취수장 주변입니다.
강가를 따라 짙은 초록색 녹조 띠가 선명합니다.
예년 같으면 장마로 녹조가 잠잠해야할 시기지만 있는듯 없는듯 지나간 장마에 녹조가 더 빨리 뒤덮었습니다.
"보시다시피 강 가장자리는 페인트를 풀어놓은 듯 진한 녹색을 띄고 있습니다. 가까이 가보면 악취까지 나는데, 이렇게 물을 떠보면 초록색 알갱이인 남조류가 떠있는 걸 볼 수 있습니다."
지난 5월 일찌감치 발령된 조류경보 '관심' 단계도 여전합니다.
예년에 비해 한 달이나 빨리 발령된건데, 짧은 장마에 폭염까지 더 빨리 찾아오면서 앞으로가 더 걱정입니다.
6월 말 기준으로 물 1ml당 1천2백개를 웃돌던 칠서의 유해남조류는 7월 2주차에 3만2천여개로 훌쩍 뛰었습니다.
2018년 녹조대발생처럼 최악의 사태를 우려하는 목소리까지 나옵니다.
임희자/낙동강네트워크 공동집행위원장/"(2018년과) 기상조건도 올해와 비슷한 40도 이상의 폭염이 온다든지 이러한 조건이었는데, 올해도 그 못지 않은 녹조 대발생이 일어날 수 있는..."
특히 칠서와 물금*매리지점은 지역의 식수원인만큼 걱정도 커지고 있습니다
김미정/창녕군 남지읍/"녹조가 독성과 관련이 있고 정수장도 지금 바로 코 앞에 있는데, 건강에도 굉장히 침해할 우려가 있다는 것에 굉장히 걱정스럽습니다."
여기에 7월 중순까지는 비소식도 없어 수질 관리에도 비상이 걸렸습니다.
낙동강유역환경청 수생태관리팀장/"짧은 장마 이후 폭염이 지속되고 있어서 남조류 세포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안전한 먹는물 공급을 위해서 정수장 점검을 지속적으로 실시하고 녹조저감 설비를 적극 가동해서...
빠른 폭염에 짧은 장마로 기세가 더 무서워진 녹조에 매년 반복되는 낙동강 식수의 불안은 갈수록 커지고 있습니다.
KNN 안형기입니다.
영상취재:정창욱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안형기 기자
ahk@knn.co.kr
많이 본 뉴스
주요뉴스
-
3만 명 찾은 전국체전, 부산 관광 '방긋'2025.10.19
-
<자랑스러운 부산경남>기술력으로 세계 공략... 향토기업의 글로벌 도전2025.10.19
-
국제수로기구 인프라센터 부산 유치2025.10.19
-
김민석 국무총리, 산청 산불*산사태 피해 지역 방문2025.10.19
-
가을 왔지만 축제장은 '텅'... 가을장마에 발길 끊겨2025.10.18
-
수도권 규제 여파... 부산 동서 격차 더 벌어지나2025.10.18
-
양산 밭에 멧돼지 그물에 걸려... 사살2025.10.18
-
창원-동대구 KTX 반영 범시민추진위 발족2025.10.18
-
맹견 핏불테리어에 80대 여성 물려 숨져2025.10.17
-
25년 만의 '부산 전국체전', 전국 3만여 선수단 참가2025.1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