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신공항 예정지 가덕도 가봤더니..보상 갈등 심각
조진욱
입력 : 2025.09.24 20:49
조회수 : 349
0
0
<앵커>
이처럼 가덕신공항과 관련해 여러 말들이 나오고 있는데요.
그렇다면 지금 가덕도는 어떤 상황일까요.
보상 절차에 불복하고 비대위가 발족하는 등 갈등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조진욱 기자가 현장을 둘러봤습니다.
<리포트>
가덕도 초입부터 현수막이 나붙었습니다.
지난 6월 공개된 토지보상 결과를 받아들일 수 없단 내용입니다.
가덕도의 유일한 대로변.
주 관광지인 이곳 펜션과 카페 감정평가액은 700만 원 안팎입니다.
반면 바닷가 앞 마을의 평가액은 많게는 1500만 원 정도.
두 배 정도 차이난다 말합니다.
{이한진/ 숙박업소 대표/ "온 바다가 보이고 마을이 보이는데, 같은 동네에서 어떻게 400만 원, 1500만 원 차이가 나는지... 세금은 더 많이 받아가면서 왜 돈은 절반도 안 되게 준다는 말입니까."}
땅을 살 때보다 더 낮은 보상액이 나온 곳도 있습니다.
"바다가 보이고 주차공간이 많은 한 대형 카페입니다.
주말이면 사람들로 북적였을 정도로 인기 공간인데 그런데 이번 토지보상 결과에 불복해서 아예 영업을 중단했습니다."
{ 윤현구/ A카페 대표 /"실제 산 가격이 330만원 되는데 평가금액이 60만 원 전후 나왔어요. 무슨 이런 평가가 있겠습니까. 너무 억울합니다."}
주민들은 감정평가의 공정성에 의문을 품습니다.
앞서 감정평가 과정에서 현장도 안 와본 대표 평가사가 보상액을 책정해 논란이 일기도 했습니다.
특히 이 과정에서 수습 감정평가사가 동원됐습니다.
{강종성/ B카페 대표/ "책상에 앉아서 평가했기 때문에 이런 현상 나왔다고 이야기합니다. 투쟁하는 수밖에 없겠죠. 제대로 보상받을 때까지..."}
원주민과 외지인 간 갈등도 불거지면서 대책위원회도 비대위와 쪼개졌습니다.
사업시행자인 가덕신공항건설공단은 주민 80% 정도가 이의신청했고, 중앙토지수용위원회 뜻에 따라 추석 이후 2차 감정에 들어간다고 밝혔습니다.
{방명희/C카페 대표/"제가 처음시작할 때는 공항과 전혀 상관없이
먹고 살기 위해서 열심히 또 이런 뷰를 가지고 여러분들한테 같이 공유한다는 마음으로 카페를 열었는데 엉터리 감정평가를 절대 수용할 수 없습니다.."}
"토지 보상이 끝나더라도 이주와 어업권 보상까지 할일이 태산입니다.
아직 시공사와 공기 조차 못정한 가운데 주민들이 납득할만한 투명하고 속도감있는 행정이 필요하단 지적입니다.
KNN 조진욱입니다.
영상취재 황태철
이처럼 가덕신공항과 관련해 여러 말들이 나오고 있는데요.
그렇다면 지금 가덕도는 어떤 상황일까요.
보상 절차에 불복하고 비대위가 발족하는 등 갈등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조진욱 기자가 현장을 둘러봤습니다.
<리포트>
가덕도 초입부터 현수막이 나붙었습니다.
지난 6월 공개된 토지보상 결과를 받아들일 수 없단 내용입니다.
가덕도의 유일한 대로변.
주 관광지인 이곳 펜션과 카페 감정평가액은 700만 원 안팎입니다.
반면 바닷가 앞 마을의 평가액은 많게는 1500만 원 정도.
두 배 정도 차이난다 말합니다.
{이한진/ 숙박업소 대표/ "온 바다가 보이고 마을이 보이는데, 같은 동네에서 어떻게 400만 원, 1500만 원 차이가 나는지... 세금은 더 많이 받아가면서 왜 돈은 절반도 안 되게 준다는 말입니까."}
땅을 살 때보다 더 낮은 보상액이 나온 곳도 있습니다.
"바다가 보이고 주차공간이 많은 한 대형 카페입니다.
주말이면 사람들로 북적였을 정도로 인기 공간인데 그런데 이번 토지보상 결과에 불복해서 아예 영업을 중단했습니다."
{ 윤현구/ A카페 대표 /"실제 산 가격이 330만원 되는데 평가금액이 60만 원 전후 나왔어요. 무슨 이런 평가가 있겠습니까. 너무 억울합니다."}
주민들은 감정평가의 공정성에 의문을 품습니다.
앞서 감정평가 과정에서 현장도 안 와본 대표 평가사가 보상액을 책정해 논란이 일기도 했습니다.
특히 이 과정에서 수습 감정평가사가 동원됐습니다.
{강종성/ B카페 대표/ "책상에 앉아서 평가했기 때문에 이런 현상 나왔다고 이야기합니다. 투쟁하는 수밖에 없겠죠. 제대로 보상받을 때까지..."}
원주민과 외지인 간 갈등도 불거지면서 대책위원회도 비대위와 쪼개졌습니다.
사업시행자인 가덕신공항건설공단은 주민 80% 정도가 이의신청했고, 중앙토지수용위원회 뜻에 따라 추석 이후 2차 감정에 들어간다고 밝혔습니다.
{방명희/C카페 대표/"제가 처음시작할 때는 공항과 전혀 상관없이
먹고 살기 위해서 열심히 또 이런 뷰를 가지고 여러분들한테 같이 공유한다는 마음으로 카페를 열었는데 엉터리 감정평가를 절대 수용할 수 없습니다.."}
"토지 보상이 끝나더라도 이주와 어업권 보상까지 할일이 태산입니다.
아직 시공사와 공기 조차 못정한 가운데 주민들이 납득할만한 투명하고 속도감있는 행정이 필요하단 지적입니다.
KNN 조진욱입니다.
영상취재 황태철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조진욱 기자
jojo@knn.co.kr
많이 본 뉴스
주요뉴스
-
[현장]주취자*노숙인에 점령당한 번화가...두려운 시민들2025.09.24
-
난민심사 못 받고 김해공항 갇힌 '기니 난민'2025.09.24
-
K-방산 흔들리나? KAI 사장 공백 장기화 우려2025.09.24
-
신공항 예정지 가덕도 가봤더니..보상 갈등 심각2025.09.24
-
대형 재난에도 지휘는 아날로그...첨단 지휘차량 '눈길'2025.09.23
-
수도권 일극체제 부추기는 '에너지 고속도로' 정책2025.09.23
-
하락세 멈춘 지역 아파트값...알짜 단지에 관심?2025.09.23
-
고리원전 2호기 수명연장 여부 '25일' 결정2025.09.22
-
고급리조트서 쏟아지는 오수...정부는 바다숲 조성?2025.09.22
-
거창 감악산 온통 보랏빛, 아스타 국화 만발2025.09.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