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단독>기장군, 무책임한 사용승인 또 있었다?
이민재
입력 : 2025.02.24 20:56
조회수 : 307
0
0
<앵커>
부산 반얀트리 공사현장에서 사용승인을 받은 뒤에도 무리한 공사가 이어진 정황, 보도해드렸는데요.
책임감리라는 명분으로 제대로 실태확인도 하지않은 채, 사용승인을 하는 것은 비단 반얀트리 뿐만이 아닙니다.
지자체 사용승인의 허점, 이민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현장 작업자 6명이 숨진 반얀트리 공사현장은 지난해 12월 사용승인을 받고 막바지 공사가 한창이었습니다.
'건축을 다 마치고 사용을 승인받는다'는 의미의 사용승인을 받았다는게 도저히 이해하기 어려울 정도로 여러 공사가 진행되고 있었던 것입니다.
기장군은 감리업체 완료보고서만 받고 승인을 내주었습니다.
{기장군 관계자(지난20일)/"공사감리 완료보고서도 적정했고, 공무원이 현장확인 할 사항이 아니고..."}
하지만 반얀트리 뿐만이 아닙니다.
같은 기장군 안에 위치한 한 고가의 타운하우스도 사용승인을 두고 분쟁이 한창입니다.
"고급 타운하우스입니다.
지난해 4월 사용승인을 받고 입주까지 시작했지만, 여전히 일부 세대 내부에서는 공사가 한창이라 입주를 하지 않은 집도 많습니다."
천장에 수도꼭지가 달린 듯 물이 쏟아져 바닥 곳곳에 대야를 받쳐두지 않으면 안될 정도입니다.
{입주 예정자/"비가 많이 오면 물이 떨어지니까, 대야에 물을 받고 있는데. 이런 상황에서 어떻게 입주할 수 있나요."}
시공사는 하자보수 공사일 뿐, 사용승인과는 관계없다는 주장을 하면서 맞서고 있습니다.
공사가 끝나 제대로 거주할 수 있을 때까지만이라도 사용승인을 미뤄달라고 기장군에 요청했지만, 소용없었다고 입주민들은 말합니다.
{입주 예정자/"(기장군청에서) '지금 우리가 승인 안해주면 건설사 도산하니까 어쩔 수 없다'고 얘길하는 거예요. '그걸 왜 걱정해주는지, 우릴 걱정해줘야 하는 것 아니냐'고 했더니 '서류상으론 다 맞으니까 해줄 수밖에 없다'고 하더라고요."}
지자체가 현장을 둘러보고 판단했다면 극단적 갈등은 피했을 수도 있습니다.
감리전문회사에 위임해 공정을 맡기는 책임감리라는 제도의 허점 뒤에 지자체가 숨어 있는 셈입니다.
책임감리제도 전반에 대한 재검토와 보완책 마련이 시급해보입니다.
KNN 이민재입니다.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이민재 기자
mash@knn.co.kr
많이 본 뉴스
주요뉴스
-
청년유출 막아라! 부산시 청년지원책 강화2025.02.24
-
<단독>기장군, 무책임한 사용승인 또 있었다?2025.02.24
-
코인으로 받는 '고수익알바'..마약 밀수 가담하는 20대2025.02.24
-
탄핵 심판 종료, 교육감 재선거 날짜 바뀌나?2025.02.24
-
명태균 의혹 얼룩 창원제2국가산단 정상추진 될까2025.02.24
-
부산경남 건조특보 지속...화재 주의 비상2025.02.23
-
분산에너지특구 경쟁치열, 부산의 전략은2025.02.23
-
탄저병 보험 사과는 되고 단감은 NO?2025.02.23
-
국민의힘, 거제시장 재선거 후보에 박환기2025.02.23
-
체류 지역 이탈 알선 베트남 선원들 징역형2025.0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