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기사모아보기

이민재기자
이민재  기자
""

잦은 오보에 시민 '허탈'..갈수록 기상예보 안 맞는 이유는?

[앵커] 요새 날씨가 참 오락가락하죠. 비가 온다더니 해가 쨍하니 뜨고, 갑자기 비가 내리고 그치기까지. 상황이 이렇다보니 기상청은 예보가 맞지 않는다고 오보청, 예보가 아닌 중계를 한다고 중계청 등 으로 불리기도 합니다. 하지만 기상청 직원들도 할 말은 있는데요. 이민재 기자가 기상청 직원들을 만나 봤습니다. [기자] 오늘도 틀렸습니다. 뜨거운 태양이 내리쬐는 하늘. 부산*경남 일부 지역에 내려졌던 비 예보가 무색합니다. 기껏 들고나온 우산은 지팡이 신세가 됐습니다. {서정욱/일본 교토/"짐이 꽤 많은데, 우산까지 챙겨나오면 좀 많이 번거롭긴 하죠. 그래도 비 맞는 것 보단 나으니까..."} "비소식이 있을 거라던 예보에 따라 저도 아침 출근길에 이렇게 장화와 우산을 챙겨나왔는데요. 보시다시피 화창한 날씨가 계속되다보니 기껏 챙겨나온 것들은 사실상 무용지물이 됐습니다." {인터뷰:} {수퍼:우도윤/경북 김천/"기상청 체육대회를 해도 비가 온다는 농담을 할 정도로 신뢰도가 높진 않은 것 같습니다."} 실제로 지난달 광주는 하루에 4백mm 넘는 괴물폭우로 큰 수해를 입었는데, 당시 기상청은 5분의 1수준의 비를 예보해 지탄을 받았습니다. 예보가 맞는 일이 없다고 '오보청' 예보가 아니라 중계를 한다고 해서, '중계청'이라는 오명을 얻었습니다. 아예 해외 날씨예보 앱을 쓰는 시민들도 제법 됩니다. 하지만 기상청도 할 말은 있습니다. {박준혁/부산기상청 예보과 사무관/"시민들께서는 '예보가 틀렸다, 바뀌었다'고 하시지만 계속해서 바뀌는 최신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저희 주임무입니다. 예측하기 힘든 부분도 많기 때문에, 그런 부분은 좀 이해해주셨으면..."} 최근에는 마치 게릴라처럼 만들어졌다가 비를 뿌리고 금방 사라지는 구름덩어리들이 오보의 주원인입니다. 지구온난화 여파로 인한 것이라 기습적 폭우를 예측하기 쉽지않다는 것입니다. 기상청은 슈퍼컴퓨터와 위성레이더 등 최첨단 장비를 활용해 머리를 맞대고 있다지만, 갈수록 더 조석변개하는 날씨 앞에 난감한 실정입니다. KNN 이민재입니다. 영상취재 권용국
2025.08.13

부산 곳곳에 숨겨진 일제동굴... 다크투어리즘 박차

[앵커] 부산 곳곳에 일본이 조선인을 강제동원해 만든 포진지나 방공호가 있다는 것 아시나요? 일제의 수탈 흔적이 고스란히 남아있는 것인데, 이곳을 관광자원화하는 방안이 추진되고 있습니다. 제 80주년 광복절을 앞두고, 이민재 기자가 그 현장을 다녀왔습니다. [기자] 국가 지정유산 명승지인 부산 태종대입니다. 잘닦인 도로 옆 수풀을 헤치고 조금만 걸어 들어가보니, 거대한 콘크리트 구조물이 나옵니다. 기록에 따르면 1904년, 일제강점기에 일본이 부산 곳곳에 지은 군사구조물입니다. 척 보기에도 두꺼운 콘크리트, 외벽 두께만 족히 60cm가 넘습니다. "태종대 곳곳에는 이런 포구대가 3곳이나 있습니다. 이곳은 일제가 조성한 해안포진지 탄약고인데, 이런 포구대는 가덕도와 오륙도 등에도 있지만 이곳처럼 원형이 잘 보존된 곳은 보기 드뭅니다." 곡사포를 보관하던 거치대도 옛 형태를 고스란히 갖추고 있습니다. {권영주/부산초량왜관연구회 학술이사/"1910년 한일합방이 되잖아요. 한일합방이 되기 전의 역사까지 우리가 여기 오면 다 알수 있는 거예요. 이곳은 살아있는 교과서죠."} '수국 명소'로 유명한 태종사 인근에도 일제동굴이 있습니다. 길이만 40미터에 달하는데, 일본군 방공호로 쓰이던 곳입니다. 이곳은 일제강점기 후반기에 지어져 군수물자가 부족한 탓에, 콘크리트를 바르지도 못했습니다. 모양은 다르지만, 하나같이 일제가 조선인을 강제동원한 수탈의 흔적입니다. 하지만 부산시민들은 지역에 이런 동굴이 존재한다는 사실조차 알지 못하는 경우가 태반입니다. 사실상 우리 한민족의 아픈 역사가 부산의 동굴에 매몰된 셈인데, 최근 역사자원화가 시작됐습니다. {권해옥/부산시설공단 태종대유원지사업소 소장/"일제 잔재물이 원형그대로 보관돼있는 곳이 태종대 이곳이거든요. 이것을 잘 개발해서 관광자원화 할 수 있도록, 정밀안전진단 용역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동굴에 갇힌 역사를 끄집어내는 발굴작업은 이제 시작입니다. 아픈 역사의 흔적을 다루는 '다크 투어리즘'이 관광도시 부산의 새로운 관광 아이템이 될 수 있을지 기대가 쏠립니다. KNN 이민재입니다. 영상취재 전재현
2025.08.12

폭염 속 '극한 출동' 소방관... 순식간에 '땀범벅'

<앵커> 요즘 같은 더위엔 얇은 옷차림을 하더라도 땀이 줄줄 흐르기 일쑤인데요. 두꺼운 방화복에 20Kg이 넘는 장비를 챙겨 출동하는 소방관들의 여름은 더 힘들 수밖에 없습니다. 폭염과 사투를 벌이는 소방관들의 일상, 이민재 기자가 동행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구급차 가고 있으니까, 도착할 때까지 가슴을 눌러주세요. 하나! 둘! 셋! 넷! 다섯!} 119종합상황실에 신고 전화가 쏟아집니다. 심정지 환자부터 화재 신고까지, 일분 일초가 급한 위급상황입니다. "이곳 소방종합상황실에는 하루 평균 2천 건 넘는 신고가 접수됩니다. 평소에도 화재, 구조, 구급 등 신고가 빗발치는데, 여름철이면 온열질환부터 벌집제거까지 일이 더 늘어나 눈코 뜰 새 없이 바빠집니다." {박경민/부산소방재난본부 119종합상황실 상황분석조정관/"여름에는 호우나 태풍 등이 있을 경우 신고건수가 순간적으로 폭등할 수 있고. 온열질환자가 많이 늘어나고, 온도에 따라서 벌집이 많이 증가하기 때문에."} 낮 기온이 35도에 육박하는 여름철, 가만히 있어도 땀이 줄줄 흐르는데 화재 현장은 더 뜨겁습니다. "소방관들이 실제 화재현장에 출동할 때 입는 방화복입니다. 화마와 맞서기 위한 중요한 보호장비지만 마치 겨울외투처럼 두텁고, 무거운데다 통풍도 땀 배출도 되지 않는 어려움이 있습니다." 잠깐 입었을 뿐인데 온몸이 땀범벅, 열화상카메라로 측정해보니 방화복 내부온도는 40도를 오갑니다. 가뜩이나 높은 기온에 20kg에 달하는 무거운 장비, 뜨거운 화염까지 더해져 현장의 어려움은 배가 됩니다. {정만균/부산 동래소방서 온천119안전센터/"아주 그냥 찜통입니다. (방화복) 입으면 땀이 줄줄 나고, 사우나에 온 것 같은 그런 기분이 듭니다."} 여름마다 기승을 부리는 말벌도, 소방관들을 괴롭힙니다. {"집 옥상에 벌집이 있다고요? 얼마나 큰가요? 축구공 크기요?"} 날씨가 더워지면 말벌류 개체수가 늘고, 활동도 활발해기 때문입니다. "안전하게 말벌집을 제거하기 위해 벌집안전복을 입었는데요. 바람조차 잘 통하지 않다보니, 안에서는 땀이 비오듯 쏟아지고 있습니다." 불 끄랴, 환자 이송하랴, 벌집 제거까지 해야해 몸이 열개라도 모자를 지경입니다. 소방청은 현장대원들의 안전을 위해 온열질환대책을 마련하고 있지만 연일 이어지는 폭염을 이겨내기엔 역부족입니다. 소방대원들은 시민의 목숨을 지킨다는 사명감 하나로 폭염과 사투를 벌이며, 안전을 책임지고 있습니다. KNN 이민재입니다. 영상취재 황태철
2025.08.07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