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부산 곳곳에 숨겨진 일제동굴... 다크투어리즘 박차
이민재
입력 : 2025.08.12 19:21
조회수 : 236
0
0
[앵커]
부산 곳곳에 일본이 조선인을 강제동원해 만든 포진지나 방공호가 있다는 것 아시나요?
일제의 수탈 흔적이 고스란히 남아있는 것인데, 이곳을 관광자원화하는 방안이 추진되고 있습니다.
제 80주년 광복절을 앞두고, 이민재 기자가 그 현장을 다녀왔습니다.
[기자]
국가 지정유산 명승지인 부산 태종대입니다.
잘닦인 도로 옆 수풀을 헤치고 조금만 걸어 들어가보니, 거대한 콘크리트 구조물이 나옵니다.
기록에 따르면 1904년, 일제강점기에 일본이 부산 곳곳에 지은 군사구조물입니다.
척 보기에도 두꺼운 콘크리트, 외벽 두께만 족히 60cm가 넘습니다.
"태종대 곳곳에는 이런 포구대가 3곳이나 있습니다.
이곳은 일제가 조성한 해안포진지 탄약고인데, 이런 포구대는 가덕도와 오륙도 등에도 있지만 이곳처럼
원형이 잘 보존된 곳은 보기 드뭅니다."
곡사포를 보관하던 거치대도 옛 형태를 고스란히 갖추고 있습니다.
{권영주/부산초량왜관연구회 학술이사/"1910년 한일합방이 되잖아요. 한일합방이 되기 전의 역사까지 우리가 여기 오면 다 알수 있는 거예요. 이곳은 살아있는 교과서죠."}
'수국 명소'로 유명한 태종사 인근에도 일제동굴이 있습니다.
길이만 40미터에 달하는데, 일본군 방공호로 쓰이던 곳입니다.
이곳은 일제강점기 후반기에 지어져 군수물자가 부족한 탓에, 콘크리트를 바르지도 못했습니다.
모양은 다르지만, 하나같이 일제가 조선인을 강제동원한 수탈의 흔적입니다.
하지만 부산시민들은 지역에 이런 동굴이 존재한다는 사실조차 알지 못하는 경우가 태반입니다.
사실상 우리 한민족의 아픈 역사가 부산의 동굴에 매몰된 셈인데, 최근 역사자원화가 시작됐습니다.
{권해옥/부산시설공단 태종대유원지사업소 소장/"일제 잔재물이 원형그대로 보관돼있는 곳이 태종대 이곳이거든요. 이것을 잘 개발해서 관광자원화 할 수 있도록, 정밀안전진단 용역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동굴에 갇힌 역사를 끄집어내는 발굴작업은 이제 시작입니다.
아픈 역사의 흔적을 다루는 '다크 투어리즘'이 관광도시 부산의 새로운 관광 아이템이 될 수 있을지
기대가 쏠립니다.
KNN 이민재입니다.
영상취재 전재현
부산 곳곳에 일본이 조선인을 강제동원해 만든 포진지나 방공호가 있다는 것 아시나요?
일제의 수탈 흔적이 고스란히 남아있는 것인데, 이곳을 관광자원화하는 방안이 추진되고 있습니다.
제 80주년 광복절을 앞두고, 이민재 기자가 그 현장을 다녀왔습니다.
[기자]
국가 지정유산 명승지인 부산 태종대입니다.
잘닦인 도로 옆 수풀을 헤치고 조금만 걸어 들어가보니, 거대한 콘크리트 구조물이 나옵니다.
기록에 따르면 1904년, 일제강점기에 일본이 부산 곳곳에 지은 군사구조물입니다.
척 보기에도 두꺼운 콘크리트, 외벽 두께만 족히 60cm가 넘습니다.
"태종대 곳곳에는 이런 포구대가 3곳이나 있습니다.
이곳은 일제가 조성한 해안포진지 탄약고인데, 이런 포구대는 가덕도와 오륙도 등에도 있지만 이곳처럼
원형이 잘 보존된 곳은 보기 드뭅니다."
곡사포를 보관하던 거치대도 옛 형태를 고스란히 갖추고 있습니다.
{권영주/부산초량왜관연구회 학술이사/"1910년 한일합방이 되잖아요. 한일합방이 되기 전의 역사까지 우리가 여기 오면 다 알수 있는 거예요. 이곳은 살아있는 교과서죠."}
'수국 명소'로 유명한 태종사 인근에도 일제동굴이 있습니다.
길이만 40미터에 달하는데, 일본군 방공호로 쓰이던 곳입니다.
이곳은 일제강점기 후반기에 지어져 군수물자가 부족한 탓에, 콘크리트를 바르지도 못했습니다.
모양은 다르지만, 하나같이 일제가 조선인을 강제동원한 수탈의 흔적입니다.
하지만 부산시민들은 지역에 이런 동굴이 존재한다는 사실조차 알지 못하는 경우가 태반입니다.
사실상 우리 한민족의 아픈 역사가 부산의 동굴에 매몰된 셈인데, 최근 역사자원화가 시작됐습니다.
{권해옥/부산시설공단 태종대유원지사업소 소장/"일제 잔재물이 원형그대로 보관돼있는 곳이 태종대 이곳이거든요. 이것을 잘 개발해서 관광자원화 할 수 있도록, 정밀안전진단 용역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동굴에 갇힌 역사를 끄집어내는 발굴작업은 이제 시작입니다.
아픈 역사의 흔적을 다루는 '다크 투어리즘'이 관광도시 부산의 새로운 관광 아이템이 될 수 있을지
기대가 쏠립니다.
KNN 이민재입니다.
영상취재 전재현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이민재 기자
mash@knn.co.kr
많이 본 뉴스
주요뉴스
-
'임산부 수영금지’ 대학 스포츠센터 논란2025.08.12
-
부산 곳곳에 숨겨진 일제동굴... 다크투어리즘 박차2025.08.12
-
사상하단선 또 땅꺼짐..불안해 살겠나2025.08.12
-
찬탄, 반탄 갈라진 국민의힘 부울경 전당대회2025.08.12
-
조국 특별사면... 지방선거 '태풍의 눈' 되나2025.08.11
-
사상-하단선 현장 인근서 또 땅꺼짐..3년 새 15번째2025.08.12
-
교육부 등 경남지역 폭우 피해학교 현장 점검2025.08.12
-
공공배달앱 '땡겨요' ... 배민*쿠팡 아성 흔들까?2025.08.11
-
물류단지 개발 놓고 시장*국회의원 '충돌'2025.08.11
-
콘서트홀부터 태양의 서커스까지...문화열기 이어갈까2025.08.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