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인구 10만 무너진 '밀양'... 마지막 응급실 '중단'
안형기
입력 : 2025.08.07 20:48
조회수 : 253
1
0
<앵커>
경남 밀양시에 단 하나 밖에 없던 응급실이 문을 닫았습니다.
시민들은 인구 10만이 깨지니 응급실마저 사라지는거냐며 분노와 아쉬움을 감추지 못하는데 밀양시나 의료계로서도 딱히 해결책이 없습니다.
밀양 현지의 답답한 분위기를 안형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경남 밀양시의 한 종합병원입니다.
밀려드는 환자로 언제나 정신없었던 응급실 문이 굳게 닫혀있습니다.
올해 응급실만 20억 원 가까이 적자가 예상되는 상황에서, 결국 이달초 응급실 운영을 중단했습니다.
"밀양시에 지정된 응급의료기관은 이 병원 단 한 곳뿐입니다. 하지만 이 병원의 응급실이 문을 닫으면서, 시민과 환자들은 긴급상황에서도 인근 지자체로 한시간 넘게 이동해야하는 상황입니다."
1분이 급박한 상황에서 양산이나 창원,아니면 부산까지 가야할 판입니다.
운영중단을 모르고 새벽부터 응급실을 찾았던 환자는 분통을 터트립니다.
{남경덕/밀양시 초동면/"119를 부르니까 밀양에는 응급실이 없다고 하더라고요. 왜 응급실이 없나요? 그럼 우리 같은 사람은 어찌 사나요?"}
특히 아이를 키우는 시민은 불안이 더합니다.
가뜩이나 아이들이 줄면서 육아인프라도 부족한데 이제 아플때 병원 데려가기도 힘들어지는데 한숨만 나옵니다.
{정하나/밀양시 삼문동/"거의 한 시간 차를 타고 입원실이 있는 병원을 찾아가야 되기 때문에, 많이 불편할 것 같아요. 아이를 키우기에는 여기서..."}
하지만 병원으로서도 이제는 답이 없는게 현실입니다.
응급실을 운영하는데 꼭 필요한 의사만 5명인데 지난달까지는 3명으로 어떻게든 버텼습니다.
하지만 이달부터 한꺼번에 3명이 모두 그만두면서 운영할 방도가 없습니다.
{김명진/응급실 운영이 중단된 병원 관계자/"연간 15억의 적자가 발생했는데, 의사 몸값이 너무 올라서... 재정적인 지원이 필요할 수밖에 없는데 병원의 운영으로는 한계가 있으니..."}
밀양시로서도 당장 더 할 수 있는 방안이 없습니다.
올해 응급실 운영기관 지원에만 7억 3천만원을 지원하는데 도내에서 가장 많은 수준입니다.
하지만 이 정도로도 의사가 오지를 않으니 더 이상 손 쓸 도리가 없습니다.
{안재환/밀양시 보건소 감염병관리과 의약담당/"도내에서 (보조금을) 가장 많이 지원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의사 인건비가 많이 소요되기 때문에... 의사를 구하는 게 제일 어렵다...}
인구 10만이 붕괴되며 위기감이 높아진 밀양시, 이제 하나뿐인 응급실마저 문을 닫으면서 기초적인 의료 안전망까지 흔들리는 도시가 어떻게 인구를 지켜낼 수 있을지 지자체와 시민들 모두 고민이 깊어지고 있습니다.
KNN 안형기입니다.
영상취재 박영준
경남 밀양시에 단 하나 밖에 없던 응급실이 문을 닫았습니다.
시민들은 인구 10만이 깨지니 응급실마저 사라지는거냐며 분노와 아쉬움을 감추지 못하는데 밀양시나 의료계로서도 딱히 해결책이 없습니다.
밀양 현지의 답답한 분위기를 안형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경남 밀양시의 한 종합병원입니다.
밀려드는 환자로 언제나 정신없었던 응급실 문이 굳게 닫혀있습니다.
올해 응급실만 20억 원 가까이 적자가 예상되는 상황에서, 결국 이달초 응급실 운영을 중단했습니다.
"밀양시에 지정된 응급의료기관은 이 병원 단 한 곳뿐입니다. 하지만 이 병원의 응급실이 문을 닫으면서, 시민과 환자들은 긴급상황에서도 인근 지자체로 한시간 넘게 이동해야하는 상황입니다."
1분이 급박한 상황에서 양산이나 창원,아니면 부산까지 가야할 판입니다.
운영중단을 모르고 새벽부터 응급실을 찾았던 환자는 분통을 터트립니다.
{남경덕/밀양시 초동면/"119를 부르니까 밀양에는 응급실이 없다고 하더라고요. 왜 응급실이 없나요? 그럼 우리 같은 사람은 어찌 사나요?"}
특히 아이를 키우는 시민은 불안이 더합니다.
가뜩이나 아이들이 줄면서 육아인프라도 부족한데 이제 아플때 병원 데려가기도 힘들어지는데 한숨만 나옵니다.
{정하나/밀양시 삼문동/"거의 한 시간 차를 타고 입원실이 있는 병원을 찾아가야 되기 때문에, 많이 불편할 것 같아요. 아이를 키우기에는 여기서..."}
하지만 병원으로서도 이제는 답이 없는게 현실입니다.
응급실을 운영하는데 꼭 필요한 의사만 5명인데 지난달까지는 3명으로 어떻게든 버텼습니다.
하지만 이달부터 한꺼번에 3명이 모두 그만두면서 운영할 방도가 없습니다.
{김명진/응급실 운영이 중단된 병원 관계자/"연간 15억의 적자가 발생했는데, 의사 몸값이 너무 올라서... 재정적인 지원이 필요할 수밖에 없는데 병원의 운영으로는 한계가 있으니..."}
밀양시로서도 당장 더 할 수 있는 방안이 없습니다.
올해 응급실 운영기관 지원에만 7억 3천만원을 지원하는데 도내에서 가장 많은 수준입니다.
하지만 이 정도로도 의사가 오지를 않으니 더 이상 손 쓸 도리가 없습니다.
{안재환/밀양시 보건소 감염병관리과 의약담당/"도내에서 (보조금을) 가장 많이 지원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의사 인건비가 많이 소요되기 때문에... 의사를 구하는 게 제일 어렵다...}
인구 10만이 붕괴되며 위기감이 높아진 밀양시, 이제 하나뿐인 응급실마저 문을 닫으면서 기초적인 의료 안전망까지 흔들리는 도시가 어떻게 인구를 지켜낼 수 있을지 지자체와 시민들 모두 고민이 깊어지고 있습니다.
KNN 안형기입니다.
영상취재 박영준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안형기 기자
ahk@knn.co.kr
많이 본 뉴스
주요뉴스
-
아파트 엘리베이터에서 전동휠체어 추락, 1명 사망2025.08.07
-
폭염 속 '극한 출동' 소방관... 순식간에 '땀범벅'2025.08.07
-
고리원전 4호기도 가동중단... "전력대란 없다"2025.08.07
-
인구 10만 무너진 '밀양'... 마지막 응급실 '중단'2025.08.07
-
'생숙' 용도변경, 주차장 설치 기준 이견에 중단2025.08.06
-
폭염*폭우 반복 '물가 폭탄'... 수박*채소류 '금값'2025.08.06
-
농협 마트에선 소비쿠폰 못 써...농촌 주민 불편2025.08.06
-
경남도정 -NC의 승리? 연고지 저울질에 쓴 입맛2025.08.07
-
인천공항 지연율 심각..'항공 일극주의' 폐해2025.08.05
-
'개교 2년' 학교 증축 현장에서 노동자 추락사2025.08.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