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콘서트홀부터 태양의 서커스까지...문화열기 이어갈까
조진욱
입력 : 2025.08.08 20:44
조회수 : 101
0
0
<앵커>
전세계적으로 인기 많은 공연인 태양의 서커스입니다.
지난해 부산 공연이 소위 대박나면서 올해는 아예 부산부터 공연을 여는데요.
하지만 민생 경기 침체로 몇몇 대형 공연을 제외하곤 힘든 게 현실입니다.
이런 가운데 정부가 오늘부터 100억 원 규모의 공연전시 할인 쿠폰을 푸는데요.
다시 활기가 돌지 주목됩니다.
조진욱 기자입니다.
<리포트>
세계적 피아니스트 조성진의 연주가 끝나자 박수갈채가 쏟아집니다.
지난 6월 개관한 부산클래식홀의 개관 공연입니다.
문을 연지도 어느덧 한 달 반. 10개 남짓의 공연 대부분이 꽉찰 정도입니다.
{박민정/클래식부산 대표/"앞으로 예정되어 있는 해외 오케스트라 시리즈도 현재 매진된 상태라서 정말 부산은 클래식 음악의 핫플레이스로 (자리매김했습니다.)"}
지난해 공연시장 티켓판매액 12위에 거듭날 정도로 큰 인기를 끌었던 태양의서커스는 올해는 아예 부산부터 공연을 시작합니다.
서커스 특성상 언어적 제약이 없다 보니 외국인 관광객들이 많은 부산 시장도 충분히 매력적이라는 판단입니다.
{김용관/마스트미디어 대표/"부산은 굉장히 큰 잠재력을 가진 매력적인 시장으로 봅니다. 많은 공연인프라와 공연장들이 설립되고 있기 때문에 부산의 공연 시장은 빠른 시간 내에 크게 성장하리라고 봅니다. "}
하지만 전반적인 경기 침체로 대형 공연을 제외하곤 여전히 고전을 면치 못하는 게 사실입니다.
"이런 가운데 정부가 민생회복 소비쿠폰과 숙박, 영화에 이어 공연전시 분야에도 100억 원 규모의 할인 쿠폰을 풀었습니다.
특히 비수도권 맞춤형 티켓도 있어서 부산경남 공연시장에 활기를 불어넣을 지 주목됩니다."
{설도권/드림씨어터 대표/"공연숫자는 많아졌지만 평균 총액이 줄어가는 느낌이 확연히 보여요. 소비주체들이 관심 더 많이 가질 수 있는 방법이 있다면 소비쿠폰이 도움이 됐으면 좋겠습니다."}
부산 공연시장은 지난해 대구를 제치고 수도권에 이어 두 번째 시장으로 성장했습니다.
이번 할인 쿠폰이 침체 위기 공연시장에 활력소가 될지 주목됩니다.
KNN 조진욱입니다.
영상취재 전재현
전세계적으로 인기 많은 공연인 태양의 서커스입니다.
지난해 부산 공연이 소위 대박나면서 올해는 아예 부산부터 공연을 여는데요.
하지만 민생 경기 침체로 몇몇 대형 공연을 제외하곤 힘든 게 현실입니다.
이런 가운데 정부가 오늘부터 100억 원 규모의 공연전시 할인 쿠폰을 푸는데요.
다시 활기가 돌지 주목됩니다.
조진욱 기자입니다.
<리포트>
세계적 피아니스트 조성진의 연주가 끝나자 박수갈채가 쏟아집니다.
지난 6월 개관한 부산클래식홀의 개관 공연입니다.
문을 연지도 어느덧 한 달 반. 10개 남짓의 공연 대부분이 꽉찰 정도입니다.
{박민정/클래식부산 대표/"앞으로 예정되어 있는 해외 오케스트라 시리즈도 현재 매진된 상태라서 정말 부산은 클래식 음악의 핫플레이스로 (자리매김했습니다.)"}
지난해 공연시장 티켓판매액 12위에 거듭날 정도로 큰 인기를 끌었던 태양의서커스는 올해는 아예 부산부터 공연을 시작합니다.
서커스 특성상 언어적 제약이 없다 보니 외국인 관광객들이 많은 부산 시장도 충분히 매력적이라는 판단입니다.
{김용관/마스트미디어 대표/"부산은 굉장히 큰 잠재력을 가진 매력적인 시장으로 봅니다. 많은 공연인프라와 공연장들이 설립되고 있기 때문에 부산의 공연 시장은 빠른 시간 내에 크게 성장하리라고 봅니다. "}
하지만 전반적인 경기 침체로 대형 공연을 제외하곤 여전히 고전을 면치 못하는 게 사실입니다.
"이런 가운데 정부가 민생회복 소비쿠폰과 숙박, 영화에 이어 공연전시 분야에도 100억 원 규모의 할인 쿠폰을 풀었습니다.
특히 비수도권 맞춤형 티켓도 있어서 부산경남 공연시장에 활기를 불어넣을 지 주목됩니다."
{설도권/드림씨어터 대표/"공연숫자는 많아졌지만 평균 총액이 줄어가는 느낌이 확연히 보여요. 소비주체들이 관심 더 많이 가질 수 있는 방법이 있다면 소비쿠폰이 도움이 됐으면 좋겠습니다."}
부산 공연시장은 지난해 대구를 제치고 수도권에 이어 두 번째 시장으로 성장했습니다.
이번 할인 쿠폰이 침체 위기 공연시장에 활력소가 될지 주목됩니다.
KNN 조진욱입니다.
영상취재 전재현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조진욱 기자
jojo@knn.co.kr
많이 본 뉴스
주요뉴스
-
해운대 해수욕장에서 드론 띄우던 중국인들 적발2025.08.08
-
콘서트홀부터 태양의 서커스까지...문화열기 이어갈까2025.08.08
-
남강댐 방류 어장 초토화, 어민들 남강댐 항의 방문2025.08.08
-
하이엔드 아파트 차별화 경쟁, 이유는?2025.08.08
-
아파트 엘리베이터에서 전동휠체어 추락, 1명 사망2025.08.07
-
인구 10만 무너진 '밀양'... 마지막 응급실 '중단'2025.08.07
-
폭염 속 '극한 출동' 소방관... 순식간에 '땀범벅'2025.08.07
-
고리원전 4호기도 가동중단... "전력대란 없다"2025.08.07
-
'생숙' 용도변경, 주차장 설치 기준 이견에 중단2025.08.06
-
폭염*폭우 반복 '물가 폭탄'... 수박*채소류 '금값'2025.08.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