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경제

분산에너지특구 경쟁치열, 부산의 전략은

김동환 입력 : 2025.02.23 19:29
조회수 : 324
<앵커>
전력 생산지에서 한전을 거치지 않고 직접 소비가 가능해지는 분산에너지 특구 선정 절차가 곧 시작될 전망입니다.

치열한 경쟁이 예상되는 가운데, 부산은 부산형 분산에너지특구 전략으로 본격적인 유치전에 나섰습니다.

김동환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부산 강서구의 연료전지발전소입니다.

연간 7만 8천 메가와트아워의 전력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1만 6천 가구에서 1년 동안 사용할 수 있는 양으로 명지신도시의 연간 전기 소비량의 80%를 담당할 수 있는 양입니다.

{이승훈/부산도시가스 명지집단에너지팀 과장/"타지역으로 전기를 송전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변전소라던지 추가적인 전력 케이블 건설이 필요없기 때문에 국가적인 예산을 절감하는 효과도 가지고 있습니다."}

전력 생산지역에서 바로 소비까지 이어지는 분산에너지의 대표적인 케이스입니다.

산업부의 분산에너지 특구 최종 가이드라인 발표가 초읽기에 들어갔습니다.

"분산에너지 특구 지정이 이번 상반기 안에 결정될 예정이어서 각 지자체들의 경쟁이 뜨겁습니다."

"산업부는 공급자원유치형과 전력수요유치형, 신산업활성화형으로 구분해 특구를 선정 할 계획입니다."

부산은 에코델타시티의 수소를 활용한 공급자원 유치형 모델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대우/부산시 미래에너지정책팀장/"전력효율과 지역 전력자립률을 높인다는 정부 정책 취지에 따라서 에코델타시티 입주 예정인 데이터센터의 대규모 신규 전력수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수요가 명확한 상태에서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공급원, 즉 발전소를 유치하겠다는 겁니다.

"부산은 신안 해상풍력단지를 내세운 전남도, 완주 수소특화산단과 연계 전략을 펼치는 전북도 등과 유치 경쟁이
치열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남호석/부산연구원 미래전략실 연구위원/"차후에 생길 인센티브에 대한 지자체의 요구라던지 그 외의 순차적으로 확대해 나갈수 있는 방안을 고민할 수 있기 때문에 모든 지자체들이 분산에너지특구 선정에 열을 올리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국내 첫 분산에너지 특구 선정을 위한 정부의 최종 가이드라인 발표를 앞두고 부산이 본격적인 유치전에 돌입했습니다.

KNN김동환입니다.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저작권자 © 부산경남대표방송 KN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