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단독]향토기업 트렉스타, 경영난에 건물 매각까지
하영광
입력 : 2025.02.20 20:47
조회수 : 2618
0
0
<앵커>
한 때 아웃도어 신발 판매 아시아 1위에 올랐던 향토기업 트렉스타가 최근 경영난을 겪고 있는 사실이 KNN 취재결과 확인됐습니다.
임금체불로 법인 소유 건물까지 내놓았는데, 트렉스타는 신상품으로 위기를 극복하겠다는 입장입니다.
하영광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부산 남천동에 위치한 백억 원 상당 빌딩입니다.
지난해 10월 매물로 나왔지만 거래는 잘 되지않고 있습니다.
{부동산 관계자/(문의는 오는게 있어요?) "덩치가 커서 지금 조용한 편입니다. 지금은 대출이 안풀리니까 쉽게는 거래는 안되죠."}
이 건물은 한때 아웃도어 신발업체 가운데 아시아 1위를 기록했던 트렉스타의 소유입니다.
전년도에 비해 2024년 매출이 2백억 원 가량 떨어지는 등, 경영난이 이어지자 건물 매각에까지 나선 것입니다.
직원들의 임금도 체불되고 있습니다.
"트렉스타는 지난해 10월부터 임금 지급이 밀리기 시작해 현재 직원 140여명의 임금 6억 원 가량을 체불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최근 고용노동부에 1억5천만 원 규모 체불융자지원사업을 신청하기도 했습니다.
코로나 시기에 생산해둔 신발 재고가 아직 쌓여있는데다, 주 수출국인 유럽 경제가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침체되며 신규 수주가 급감한 것입니다.
여기에 군 납품 전투화 발주가 늦어진 원인도 있다며, 이 달 안에 체불을 해결할 수 있다는 입장입니다.
{권동칠/트렉스타 대표/"지금 남아있는 약간의 (체불)금액은 이번달 말 까지 저희들이 다 지급을 하려고 계획을 하고 있습니다."}
트렉스타는 또, 핸즈프리 기능을 갖춘 신상품을 출시에 큰 기대를 걸고 있습니다.
지역 대표기업 가운데 하나인 트렉스타가 경영난 위기를 기회로 만들어낼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KNN 하영광입니다.
한 때 아웃도어 신발 판매 아시아 1위에 올랐던 향토기업 트렉스타가 최근 경영난을 겪고 있는 사실이 KNN 취재결과 확인됐습니다.
임금체불로 법인 소유 건물까지 내놓았는데, 트렉스타는 신상품으로 위기를 극복하겠다는 입장입니다.
하영광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부산 남천동에 위치한 백억 원 상당 빌딩입니다.
지난해 10월 매물로 나왔지만 거래는 잘 되지않고 있습니다.
{부동산 관계자/(문의는 오는게 있어요?) "덩치가 커서 지금 조용한 편입니다. 지금은 대출이 안풀리니까 쉽게는 거래는 안되죠."}
이 건물은 한때 아웃도어 신발업체 가운데 아시아 1위를 기록했던 트렉스타의 소유입니다.
전년도에 비해 2024년 매출이 2백억 원 가량 떨어지는 등, 경영난이 이어지자 건물 매각에까지 나선 것입니다.
직원들의 임금도 체불되고 있습니다.
"트렉스타는 지난해 10월부터 임금 지급이 밀리기 시작해 현재 직원 140여명의 임금 6억 원 가량을 체불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최근 고용노동부에 1억5천만 원 규모 체불융자지원사업을 신청하기도 했습니다.
코로나 시기에 생산해둔 신발 재고가 아직 쌓여있는데다, 주 수출국인 유럽 경제가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침체되며 신규 수주가 급감한 것입니다.
여기에 군 납품 전투화 발주가 늦어진 원인도 있다며, 이 달 안에 체불을 해결할 수 있다는 입장입니다.
{권동칠/트렉스타 대표/"지금 남아있는 약간의 (체불)금액은 이번달 말 까지 저희들이 다 지급을 하려고 계획을 하고 있습니다."}
트렉스타는 또, 핸즈프리 기능을 갖춘 신상품을 출시에 큰 기대를 걸고 있습니다.
지역 대표기업 가운데 하나인 트렉스타가 경영난 위기를 기회로 만들어낼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KNN 하영광입니다.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하영광 기자
hi@knn.co.kr
많이 본 뉴스
주요뉴스
-
제주항공, 지상조업에서도 또 사망사고2025.02.21
-
[단독]부산역 승강장 꺼짐 현상, 지하차도 공사 탓?2025.02.21
-
오시리아 문화예술타운 2개 소송 승소2025.02.21
-
부산경남 프로축구, "올해는 다르다!"2025.02.21
-
반얀트리, 커지는 '엉터리 사용 승인' 의혹2025.02.20
-
[단독]부산 생태하천 30년, 실제 개선효과는 '미지수'2025.02.20
-
[단독]향토기업 트렉스타, 경영난에 건물 매각까지2025.02.20
-
벼 재배면적 감축에 뿔난 농심... 공무원도 반발2025.02.20
-
숙원사업 '경부선 지하화' 해결... 지역 기대감2025.02.19
-
4월 반얀트리 개장, 2월 사용 서두르다 참변2025.0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