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나노과학기술 숙제 해결, 혁신 기대
주우진
입력 : 2024.10.03 20:48
조회수 : 669
0
0
<앵커>
10억 분의 1미터 크기의 미세한 물질을 다루는 나노기술은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혁신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이 나노기술의 발전을 위한 핵심도구인 미세유리관을 정교하게 활용하는 해법이 국내에서 개발돼 주목받고 있습니다.
주우진 기자입니다.
<기자>
나노 3D 프린팅과 인공 수정, 세포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핵심 도구로 쓰이는 '미세유리관'입니다.
머리카락 굵기의 1/200 수준인 유리관의 끝단을, 더욱 얇게 만드는 기술 개발에 전 세계가 뛰어들고 있습니다.
초미세 세포 연구나 초고해상도 디스플레이 개발 등 나노과학 기술발전에 속도를 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문제는 끝단을 가늘게 만들수록, 대상 물체에 정교하게 닿는 것을 구현하는 게 쉽지 않다는 점입니다.
끝단이 깨지거나 대상 물체가 손상되지 않아야 하는데, 기존 광학현미경으로 확인하는데는 한계가 있습니다.
{표재연/한국전기연구원 스마트3D프린팅 연구팀 선임연구원 "관을 작게 만드는 기술 자체는 이미 10나노미터까지도 작게 만들 수 있습니다. 그런데 그 관이 너무 작기 때문에 현미경으로도 볼 수 없기 때문에 활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는 것이죠."}
한국전기연구원은 '빛'을 이용해 접촉 판별 문제를 해결했습니다.
유리관에 쏜 빛이 끝단에 모였다가 물체와 접촉하는 순간 물체로 이어져 끝단에서 사라지는 걸 확인했습니다.
{유찬빈/한국전기연구원 스마트3D프린팅 학생연구원 "빛을 유리미세관 후면에 조사하게 되면 빛이 유리미세관을 통과하게 되어 유리관 끝단에서 산란하게 됩니다. 이러한 산란은 다른 물체와 접촉하게 되면 사라지는 것으로 접촉을 특정할 수 있는 것입니다."}
간단해 보이지만, 빛과 물질의 상호작용에 대한 이해가 없으면 찾아낼 수 없는 성과입니다.
이번 연구결과는 나노미터급 초정밀 공정이 필요한 산업 분야 발전에 중요한 밑거름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KNN 주우진 입니다.
10억 분의 1미터 크기의 미세한 물질을 다루는 나노기술은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혁신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이 나노기술의 발전을 위한 핵심도구인 미세유리관을 정교하게 활용하는 해법이 국내에서 개발돼 주목받고 있습니다.
주우진 기자입니다.
<기자>
나노 3D 프린팅과 인공 수정, 세포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핵심 도구로 쓰이는 '미세유리관'입니다.
머리카락 굵기의 1/200 수준인 유리관의 끝단을, 더욱 얇게 만드는 기술 개발에 전 세계가 뛰어들고 있습니다.
초미세 세포 연구나 초고해상도 디스플레이 개발 등 나노과학 기술발전에 속도를 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문제는 끝단을 가늘게 만들수록, 대상 물체에 정교하게 닿는 것을 구현하는 게 쉽지 않다는 점입니다.
끝단이 깨지거나 대상 물체가 손상되지 않아야 하는데, 기존 광학현미경으로 확인하는데는 한계가 있습니다.
{표재연/한국전기연구원 스마트3D프린팅 연구팀 선임연구원 "관을 작게 만드는 기술 자체는 이미 10나노미터까지도 작게 만들 수 있습니다. 그런데 그 관이 너무 작기 때문에 현미경으로도 볼 수 없기 때문에 활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는 것이죠."}
한국전기연구원은 '빛'을 이용해 접촉 판별 문제를 해결했습니다.
유리관에 쏜 빛이 끝단에 모였다가 물체와 접촉하는 순간 물체로 이어져 끝단에서 사라지는 걸 확인했습니다.
{유찬빈/한국전기연구원 스마트3D프린팅 학생연구원 "빛을 유리미세관 후면에 조사하게 되면 빛이 유리미세관을 통과하게 되어 유리관 끝단에서 산란하게 됩니다. 이러한 산란은 다른 물체와 접촉하게 되면 사라지는 것으로 접촉을 특정할 수 있는 것입니다."}
간단해 보이지만, 빛과 물질의 상호작용에 대한 이해가 없으면 찾아낼 수 없는 성과입니다.
이번 연구결과는 나노미터급 초정밀 공정이 필요한 산업 분야 발전에 중요한 밑거름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KNN 주우진 입니다.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주우진 기자
wjjoo@knn.co.kr
많이 본 뉴스
주요뉴스
-
[단독]수상한 수의계약...'정치편향 유튜버' 일감 몰아주기?2025.09.10
-
[단독]부산교육청 신임 감사관, 알고 보니 전직 거래처 사장2025.09.10
-
190억 의원회관 한달만에 또 공사 '비효율 극치'2025.09.10
-
가덕신공항건설공단, '공기 111개월 제안' 후폭풍 거세2025.09.10
-
포스코이앤씨, 이번에는 민원 외면하고 공사강행2025.09.09
-
부산 학생 수, 전국에서 제일 빨리 줄었다2025.09.09
-
포스코, HMM 새주인 후보 부상... 부산 이전 영향은?2025.09.09
-
부산 블록체인 정책 상징 'B-패스', '무용지물' 전락2025.09.09
-
"담배꽁초 버리다 덜미"...도주극 지명수배자 검거2025.09.08
-
부산구치소 20대 재소자 숨져... "집단 폭행 의심"2025.09.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