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문화
아시아 최대 영화 축제, 부산국제영화제 개막
김건형
입력 : 2024.10.02 20:50
조회수 : 997
0
0
<앵커>
부산국제영화제가 오늘(2) 개막을 시작으로 열흘간의 일정에 들어갔습니다.
지난해 내홍을 딛고 안정을 되찾은 영화제의 성공적인 재기에 관심이 쏠립니다.
김건형 기자입니다.
<기자>
선선한 가을바람과 함께 부산에 또 다시 영화의 바다가 열렸습니다.
유명 배우들과 감독들의 레드카펫 등장이 제29회 부산국제영화제의 시작을 알립니다.
올해 초 새 집행부 출범 이후 처음 열리는 영화제!
정부 예산 절반 삭감과 영화산업 침체라는 두 악재를 뚫고 내용은 더 알차졌습니다.
5개 극장 26개 상영관에서 63개국 270여편의 작품이 선보입니다.
{박도신/부산국제영화제 집행위원장 직무대행/"(아직) 집행위원장이 공석이잖아요. 그런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외형적으로 봤을 때도 "정상적으로 진행이 된다" 이제 그렇게 보여주기 위해서 최선을 다했습니다."}
개막작은 넷플릭스가 만든 사극영화 '전,란'입니다.
박찬욱 감독이 제작, 각본을 맡고 김상만 감독이 메가폰을 잡았습니다.
부산국제영화제가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영화를 개막작으로 삼은 건 처음입니다.
{강동원/개막작 '전,란' 주연/"부산영화제 개막작으로 해서 이렇게 또 오랜만에 영화제를 찾게 돼서 너무 행복합니다."}
유명 영화인들을 직접 만날 수 있는 다채로운 행사도 여전히 풍성하게 열립니다.
"이 곳 영화의전당에서만 이번 주말까지 모두 서른번에 가까운 오픈토크와 야외무대인사 등이 계속 이어집니다."
해운대가 아닌 부산 곳곳에서도 잠시나마 영화제를 즐길 수 있습니다.
다대포 꿈의 낙조분수 등 다양한 개성을 품은 시내 8곳에서 영화를 상영하는 '동네방네비프'가 4년째 동네방네를 영화로 이어갑니다.
KNN 김건형입니다.
부산국제영화제가 오늘(2) 개막을 시작으로 열흘간의 일정에 들어갔습니다.
지난해 내홍을 딛고 안정을 되찾은 영화제의 성공적인 재기에 관심이 쏠립니다.
김건형 기자입니다.
<기자>
선선한 가을바람과 함께 부산에 또 다시 영화의 바다가 열렸습니다.
유명 배우들과 감독들의 레드카펫 등장이 제29회 부산국제영화제의 시작을 알립니다.
올해 초 새 집행부 출범 이후 처음 열리는 영화제!
정부 예산 절반 삭감과 영화산업 침체라는 두 악재를 뚫고 내용은 더 알차졌습니다.
5개 극장 26개 상영관에서 63개국 270여편의 작품이 선보입니다.
{박도신/부산국제영화제 집행위원장 직무대행/"(아직) 집행위원장이 공석이잖아요. 그런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외형적으로 봤을 때도 "정상적으로 진행이 된다" 이제 그렇게 보여주기 위해서 최선을 다했습니다."}
개막작은 넷플릭스가 만든 사극영화 '전,란'입니다.
박찬욱 감독이 제작, 각본을 맡고 김상만 감독이 메가폰을 잡았습니다.
부산국제영화제가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영화를 개막작으로 삼은 건 처음입니다.
{강동원/개막작 '전,란' 주연/"부산영화제 개막작으로 해서 이렇게 또 오랜만에 영화제를 찾게 돼서 너무 행복합니다."}
유명 영화인들을 직접 만날 수 있는 다채로운 행사도 여전히 풍성하게 열립니다.
"이 곳 영화의전당에서만 이번 주말까지 모두 서른번에 가까운 오픈토크와 야외무대인사 등이 계속 이어집니다."
해운대가 아닌 부산 곳곳에서도 잠시나마 영화제를 즐길 수 있습니다.
다대포 꿈의 낙조분수 등 다양한 개성을 품은 시내 8곳에서 영화를 상영하는 '동네방네비프'가 4년째 동네방네를 영화로 이어갑니다.
KNN 김건형입니다.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김건형 기자
kgh@knn.co.kr
많이 본 뉴스
주요뉴스
-
관광 회복 기대했지만...지역별 온도차에 '아쉬움'2025.05.06
-
공공기여 약속 29층이 25층으로...슬그머니 축소?2025.05.06
-
'공정성 논란' 섬 특성화사업, 사업 차질 우려2025.05.06
-
"민간개발 이익 환원은 해당지역에 우선" 조례 제정2025.05.06
-
부처님 오신 날 봉축법요식... 어린이 날 행사도2025.05.05
-
차량정비소 화재...1,500만원 재산 피해2025.05.05
-
훔친 오토바이 몰고 무면허로 고속도로 달린 20대 벌금형2025.05.05
-
경남 양산 병원서 불, 환자 등 11명 '연기흡입'2025.05.04
-
부족한 장애인 바우처 시간, 서울살이 아들도 병간호 동참2025.05.04
-
석가탄신일 앞둔 부산*경남 사찰 인파 등 분주2025.05.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