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기사모아보기

주우진기자
 주우진 기자
""

정치권 BNK금융 회장 인선 개입 '흔들기' 멈춰야

<앵커> 여권이 차기 회장 선임 절차를 본격화한 BNK금융을 상대로 정치 공세를 쏟아내고 있습니다. 정권이 교체될때마다 정치권의 BNK흔들기가 반복돼왔는데, 지역 금융 장악 시도를 멈추라는 요구가 커지고 있습니다. 주우진 기자입니다. <기자> 내년 차기 회장을 선임하는 BNK금융은 지난달부터 임원후보추천위원회를 가동하며 관련 절차를 밟고 있습니다. 그런데 후보 접수 뒤 1차 후보군 압축이 시작되자 기다렸다는 듯 여권과 금융당국이 BNK금융을 흔들고 있습니다. 금융 감독기구 수장인 금융감독원장이 이례적으로 선임 절차에 문제를 제기하며 강경 발언을 한 게 시작입니다. {이찬진/금융감독원장 "지주의 회장이 되시면 일종의 이사회들을 자기사람으로 해가지고 일종의 참호를 구축하시는 분들이 좀 보입니다."} PK민주당 국회의원들은 BNK금융 부산은행이 도이치모터스에 특혜 대출한 의혹이 있다며 공세를 퍼부었습니다. 연임에 도전하는 빈대인 BNK회장이 친 국민의힘 성향으로 의심된다며 정치색까지 입혀 사퇴를 압박하고 있습니다. {김정호/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윤석열 정권과의 권력형 유착 의혹으로 공정성과 투명성을 생명으로 하는 금융기관의 본질을 근본부터 흔드는 중대한 사건입니다.} 하지만 문제의 대출은 빈 회장 취임 전의 일이고 논란이 될만한 빈 회장의 정치 행보도 확인되지 않고 있습니다. 금융감독원장이 제기한 선임 과정 하자 의혹도, 금융감독원 가이드라인을 따르고 있다는 게 BNK측 입장입니다. 신한과 우리금융도 같은 방식으로 회장 선임을 진행하고 있는데, BNK만 문제삼는 것도 납득하기 어렵습니다. {윤한홍/국회 정무위원장 "워낙 이찬진 금감원장이 실세라고 소문이 나 있어서 한 마디 하면 직원들이 오버해서 움직일 수 있어요. 민간 금융기관 CEO나 임원 선임에 관여 안 하는게 맞다고 봅니다.} 이번 BNK회장 선임과 관련한 정치권의 공격은 지난 2022년 윤석열 정권 출범 직후와 판박이입니다. 당시에도 국민의힘 의원들의 파상 공세로 김지완 BNK회장이 임기를 다 채우지 못하고 사퇴해야 했습니다. 민간 금융회사의 인사에 개입할 아무런 권한이 없는데도, 정치권이 반복적으로 외압을 행사하고 있는 겁니다. {박인호/부산경제살리기시민연대 상임대표 "외부에서의 압력이라던지 간섭은 바람직하지 못하고 시대에도 뒤떨어지는 것이다라는 생각이 듭니다. 이런 것은 부산시민을 무시하는 것 아닌가 이런 생각이 듭니다."} 과도한 인사 개입 우려가 커지면서 민간 금융기업의 자율성을 요구하는 지역의 목소리가 커질 것으로 보입니다. KNN 주우진입니다. 영상편집:김민지
2025.11.01

조선업 중심지 경남, APEC 성과로 경제 수혜 기대

<앵커> APEC 정상회의의 가시적인 성과가 하나 둘 나오면서 조선업의 중심지인 경남 경제에 수혜가 기대되고 있습니다. 한미관세 협상 타결과 핵추진 잠수함 건조 승인에 이어 캐나다와 국방 협력 파트너쉽도 체결됐는데요. 한화오션이 캐나다 정부의 60조 규모 잠수함 사업에 한발 더 다가섰습니다. 주우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에이펙 정상회의 참석차 방한한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가 한화오션 거제사업장을 시찰했습니다. 캐나다 정부가 추진하는 60조 규모 잠수함 발주 사업 최종 후보에 오른 한화오션의 역량을 직접 확인한 겁니다. 3천톤급 잠수함 12척이 걸린 이번 사업의 최종 사업자는 내년 또는 내후년 선정될 예정인데, 한화오션은 독일 기업과 최종 경쟁을 벌이고 있습니다. 에이펙 기간 수주 총력전을 예고했던정부는 김민석 국무총리가 현장을 동행하며 생산 능력 등을 홍보했습니다. 정부는 또 캐나다와의 정상회담 뒤 국방 협력 파트너쉽을 체결하며 수주전에 힘을 보탰습니다. {"캐나다는 대한민국에 있어서 단순한 우방국을 넘어서서 동맹에 준하는 핵심 우방국가다 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수주에 성공하면 단일 방산 수출 계약으로는 사상 최대 규모를 기록하게 되는데, 독일 등 소수 국가들이 독점해온 잠수함 수출 시장에서 우리의 기술력을 인정받게 된다는 의미도 큽니다." 에이펙 기간 한미 관세협상이 타결되고 핵추진 잠수함 건조도 승인받으면서, 경남의 주력 산업인 조선업이 직접적인 수혜를 누리게 됐습니다. {김맹숙/경남도 주력산업과장 "필요하다면 마스카 프로젝트 추진을 위한 특별법 제정도 지속적으로 건의해서 지역 경제 활성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합니다."} 경남도는 조선 산업의 중심지로서 에이펙 정상회의로 얻게된 도약의 기회를 반드시 살리겠다는 각오입니다. KNN 주우진 입니다. 영상취재 안명환 영상편집 김범준
2025.10.30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