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밭농사 기계화율 높여라...농촌 인력난 해소할까
정기형
입력 : 2023.07.13 19:32
조회수 : 668
0
0
<앵커>
인구 감소와 고령화로 농촌의 인력난이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습니다.
그나마 논농사는 대부분 농기계로 대체가 가능하지만 밭농사는 그렇지 못해왔는데요.
밭작물 기계화가 농촌 인력난 해소에 큰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
정기형기자입니다.
<기자>
마늘파종기가 밭고랑을 지나갑니다.
기계가 지나가면서 생긴 홈에는 마늘이 하나씩 심겨집니다.
더 간단한 파종기도 있습니다.
물과 비료를 주는 과정을 포함해 수확과 마늘쪽 분리까지 모두 기계로 가능합니다.
인구 감소와 고령화가 심각한 농촌에서 기계화는 노동 부담을 줄이는데 큰 도움이 됩니다.
{이원길/마늘 양파 재배 농민/고령화로 인력도 부족한데 외국인 노동자가 들어오긴 하지만 외국인 노동자도 우리가 원하는만큼 수급하기도 어려운 상태고...}
양파 재배의 전 과정도 기계화가 가능해 졌습니다.
하지만 특히 밭작물 재배는 인력에 대부분 의존하고 있습니다.
논농사의 기계화율은 거의 100& 수준입니다.
하지만 밭작물의 경우 약 63% 수준에 그치고 있습니다.
정부와 농촌 지자체들은 밭작물 기계화 노력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조재호/농촌진흥청장/기계화 연시회나 새로운 농작업법 그리고 새로운 농기계를 개발해서 2026년까지 (밭농사 기계화율을) 77%까지 끌어올리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경남에서 많이 재배되는 마늘과 양파의 기계화율을 높이는 것이 정부의 우선과제입니다.
기계화 농업에 맞춰 달라지는 농사법도 연구*개발해 확산시키고 있습니다.
{이정환/합천군농업기술센터 원예팀장/기계 파종에 맞는 물 관리, 비료 관리, 제초 관리 농법이 필요합니다. 그에 따른 교육을 강화해서 기계화율을 높이도록 하겠으며...}
또 지자체들은 농민들에게 농기계를 빌려주는 임대사업도 확산하고 있습니다.
KNN 정기형입니다.
인구 감소와 고령화로 농촌의 인력난이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습니다.
그나마 논농사는 대부분 농기계로 대체가 가능하지만 밭농사는 그렇지 못해왔는데요.
밭작물 기계화가 농촌 인력난 해소에 큰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
정기형기자입니다.
<기자>
마늘파종기가 밭고랑을 지나갑니다.
기계가 지나가면서 생긴 홈에는 마늘이 하나씩 심겨집니다.
더 간단한 파종기도 있습니다.
물과 비료를 주는 과정을 포함해 수확과 마늘쪽 분리까지 모두 기계로 가능합니다.
인구 감소와 고령화가 심각한 농촌에서 기계화는 노동 부담을 줄이는데 큰 도움이 됩니다.
{이원길/마늘 양파 재배 농민/고령화로 인력도 부족한데 외국인 노동자가 들어오긴 하지만 외국인 노동자도 우리가 원하는만큼 수급하기도 어려운 상태고...}
양파 재배의 전 과정도 기계화가 가능해 졌습니다.
하지만 특히 밭작물 재배는 인력에 대부분 의존하고 있습니다.
논농사의 기계화율은 거의 100& 수준입니다.
하지만 밭작물의 경우 약 63% 수준에 그치고 있습니다.
정부와 농촌 지자체들은 밭작물 기계화 노력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조재호/농촌진흥청장/기계화 연시회나 새로운 농작업법 그리고 새로운 농기계를 개발해서 2026년까지 (밭농사 기계화율을) 77%까지 끌어올리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경남에서 많이 재배되는 마늘과 양파의 기계화율을 높이는 것이 정부의 우선과제입니다.
기계화 농업에 맞춰 달라지는 농사법도 연구*개발해 확산시키고 있습니다.
{이정환/합천군농업기술센터 원예팀장/기계 파종에 맞는 물 관리, 비료 관리, 제초 관리 농법이 필요합니다. 그에 따른 교육을 강화해서 기계화율을 높이도록 하겠으며...}
또 지자체들은 농민들에게 농기계를 빌려주는 임대사업도 확산하고 있습니다.
KNN 정기형입니다.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정기형 기자
ki@knn.co.kr
많이 본 뉴스
주요뉴스
-
'남해 죽방렴' 세계중요농업유산 등재 현장 실사2025.05.13
-
정명훈, 247년 역사 라 스칼라 극장 음악감독 내정2025.05.13
-
가덕신공항 조기개항 무산 위기, 대선 쟁점으로2025.05.13
-
정가표정-대선 공식 선거 운동 시작, 양당 분위기 대조2025.05.14
-
대선 승부처 부산경남... 후보들 줄줄이 PK 방문2025.05.13
-
21대 대선 7명 출사표, 부울경 맞춤공약 발표2025.05.12
-
연봉 3억 6천만 원도 외면 '농촌 의료 난 심각'2025.05.12
-
'마약 공포' 부산항 컨테이너선 코카인 700㎏ 적발2025.05.12
-
[지역을 지키는 청년들]미식도시 부산에서 '미쉐린 스타' 꿈꾼다2025.05.12
-
도의회, 예산 부당 지출 수사 중에 또 국외 연수2025.0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