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남해 죽방렴' 세계중요농업유산 등재 현장 실사
안형기
입력 : 2025.05.13 20:53
조회수 : 706
0
0
<앵커>
경남의 독특한 명물이죠, 남해 죽방렴이 세계중요농업유산 등재에 한발짝 더 다가섰습니다.
오늘(13), UN 실사단이 남해를 찾아 실제 죽방렴을 둘러보면서 그 역사적 의미와 가치를 직접 평가했습니다.
현장을 안형기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기자>
경남 남해 지족해협에 설치된 죽방렴입니다.
대나무로 엮어 만든 V자 모양의 구조물 안에 UN에서 나온 실사단이 직접 들어가봅니다.
어민과 함께 그물을 끌고 갓 잡은 멸치를 두 손으로 들어 올립니다.
UN 식량농업기구, FAO 실사단이 죽방렴의 세계중요농업유산 등재 여부를 심사하기 직접 남해를 찾았습니다.
빠른 조류를 타고 모여든 물고기를 잡는 죽방렴의 전통어업 방식을 직접 체험하며 보전가치를 확인했습니다.
{캐서린 터커/세계중요농업유산 과학자문위원회 부위원장/“죽방렴은 세계중요농업유산의 많은 가치를 가지고 있는 후보지라고 생각하고 있고, 다양한 방면에 흥미로운 요소를 가지고 있는..."}
실사단은 죽방렴의 어업방식 뿐 아니라 지속가능성도 함께 평가했습니다.
오백년넘게 죽방렴을 유지한 어민들의 삶과 이들이 해양생태계 보호에 어떻게 기여하는지에 초점을 맞췄습니다.
{장충남/남해군수/“전통적인 죽방렴 어업은 지속 가능한 어업이고 또 친환경적인 어업이기 때문에... 세계 농업유산으로 되는데 큰 의미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남해 죽방렴의 세계중요농업유산 등재 여부는 이번 실사 결과를 바탕으로 오는 7월 결정됩니다.
죽방렴이 세계중요농업유산으로 등재되면 그 역사적 배경과 문화유산적 가치가 전 세계적으로 인정받게 됩니다.
브랜드 가치가 오르는 만큼 남해군의 관광 등 지역경제 활성화에 다양한 파급효과도 기대됩니다.
현재 등재된 우리나라 세계 중요농업유산은 모두 7곳.
특히 이번에 남해 죽방렴이 등재에 성공하면 하동 전통차 농업과 섬진강 재첩잡이 손틀어업에 이어 도내 세 번째 세계중요농업유산이 될 예정입니다.
KNN 안형기입니다.
영상취재 안명환
경남의 독특한 명물이죠, 남해 죽방렴이 세계중요농업유산 등재에 한발짝 더 다가섰습니다.
오늘(13), UN 실사단이 남해를 찾아 실제 죽방렴을 둘러보면서 그 역사적 의미와 가치를 직접 평가했습니다.
현장을 안형기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기자>
경남 남해 지족해협에 설치된 죽방렴입니다.
대나무로 엮어 만든 V자 모양의 구조물 안에 UN에서 나온 실사단이 직접 들어가봅니다.
어민과 함께 그물을 끌고 갓 잡은 멸치를 두 손으로 들어 올립니다.
UN 식량농업기구, FAO 실사단이 죽방렴의 세계중요농업유산 등재 여부를 심사하기 직접 남해를 찾았습니다.
빠른 조류를 타고 모여든 물고기를 잡는 죽방렴의 전통어업 방식을 직접 체험하며 보전가치를 확인했습니다.
{캐서린 터커/세계중요농업유산 과학자문위원회 부위원장/“죽방렴은 세계중요농업유산의 많은 가치를 가지고 있는 후보지라고 생각하고 있고, 다양한 방면에 흥미로운 요소를 가지고 있는..."}
실사단은 죽방렴의 어업방식 뿐 아니라 지속가능성도 함께 평가했습니다.
오백년넘게 죽방렴을 유지한 어민들의 삶과 이들이 해양생태계 보호에 어떻게 기여하는지에 초점을 맞췄습니다.
{장충남/남해군수/“전통적인 죽방렴 어업은 지속 가능한 어업이고 또 친환경적인 어업이기 때문에... 세계 농업유산으로 되는데 큰 의미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남해 죽방렴의 세계중요농업유산 등재 여부는 이번 실사 결과를 바탕으로 오는 7월 결정됩니다.
죽방렴이 세계중요농업유산으로 등재되면 그 역사적 배경과 문화유산적 가치가 전 세계적으로 인정받게 됩니다.
브랜드 가치가 오르는 만큼 남해군의 관광 등 지역경제 활성화에 다양한 파급효과도 기대됩니다.
현재 등재된 우리나라 세계 중요농업유산은 모두 7곳.
특히 이번에 남해 죽방렴이 등재에 성공하면 하동 전통차 농업과 섬진강 재첩잡이 손틀어업에 이어 도내 세 번째 세계중요농업유산이 될 예정입니다.
KNN 안형기입니다.
영상취재 안명환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안형기 기자
ahk@knn.co.kr
많이 본 뉴스
주요뉴스
-
공공배달앱 예산 확대 경남은 한숨만2025.06.22
-
개장 첫 주말 피서객 몰린 해수욕장2025.06.22
-
<자랑스러운 부산경남>남해 산골짜기서 그린 '억겁의 미소'2025.06.22
-
장마철 국지성 돌발 폭우 위험, "침수 막아라"2025.06.21
-
<수유실 기획5> '수유실알리미' 들여다보니 오류투성이2025.06.21
-
공무원 사칭 사기 극성 예약 전화 겁날 정도2025.06.20
-
현대건설, 신공항은 포기하더니 지역 알짜 벡스코 3전시장 눈독2025.06.20
-
'핫플'로 떠오른 도심 복합문화공간2025.06.20
-
제철 맞은 갯장어 잡이 한창2025.06.19
-
마트가는데 한나절...농촌 식품 사막화 대책은?2025.06.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