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화마입은 900년된 은행나무에서 싹트는 희망
이태훈
입력 : 2025.06.27 17:45
조회수 : 1989
0
0
<앵커>
화려한 은행잎을 자랑하는 이 나무, 나이가 무려 900년이나 된 하동 두양리 은행나무입니다.
석 달 전 경남 산청하동 산불로 불에 탔는데요.
나무가 다시 살아날 수 있을지 걱정이 컸는데, 다행히 여러 노력 끝에 새 잎을 틔우며 생명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이태훈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지난 3월 산청하동 산불 당시 하동 두양리 은행나무의 모습입니다.
높이 27m 둘레 9m의 거대한 은행나무가 폭격을 맞은 듯 가지 곳곳이 불에 타고 부러졌습니다.
산불이 나고 석 달이 지난 지금, 나뭇 가지 곳곳에서는 어느새 새잎이 싹트기 시작했습니다.
불에 탄 가지 등을 잘라내고 영양주사를 집중적으로 놓았던 게 큰 도움이
됐습니다.
{이진호/경남 하동군 두양리/"저희들이 치유를 받는 것 같아요. 자연이 스스로 회복되는 걸 보면서 저희 마음도 트라우마가 점점 가시는 것 같고..."}
보시는 것처럼 시커멓게 불에 탄 흔적들 사이로 새잎이 자라고 있는데, 나무가 죽지 않고 살아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화려한 옛 모습은 잃어버렸지만 나무가 지켜온 역사와 문화는 여전히 남아있습니다.
{최세현/지리산초록걸음 대표/"경남도 문화재로 지정이 되어 있는데 천연기념물로 지정을 해서 좀 더 체계적으로 관리를 해주었으면 좋겠습니다."}
앞으로 2~3년은 나무 상태를 더 지켜봐야 하는 만큼, 하동군도 계속해서 생육관리를 해나갈 계획입니다.
{김철응/나무의사/원래 나무는 잎의 양이 많아야지 생육 상태가 좋아지기 때문에 영양공급을 조금 더해서..."}
주민들은 천년 가까이 버텨온 은행나무가 화마의 아픔을 딛고 다시 천년을 이어나가기를 바라고 있습니다.
knn이태훈입니다.
영상취재 안명환
영상편집 김범준
화려한 은행잎을 자랑하는 이 나무, 나이가 무려 900년이나 된 하동 두양리 은행나무입니다.
석 달 전 경남 산청하동 산불로 불에 탔는데요.
나무가 다시 살아날 수 있을지 걱정이 컸는데, 다행히 여러 노력 끝에 새 잎을 틔우며 생명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이태훈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지난 3월 산청하동 산불 당시 하동 두양리 은행나무의 모습입니다.
높이 27m 둘레 9m의 거대한 은행나무가 폭격을 맞은 듯 가지 곳곳이 불에 타고 부러졌습니다.
산불이 나고 석 달이 지난 지금, 나뭇 가지 곳곳에서는 어느새 새잎이 싹트기 시작했습니다.
불에 탄 가지 등을 잘라내고 영양주사를 집중적으로 놓았던 게 큰 도움이
됐습니다.
{이진호/경남 하동군 두양리/"저희들이 치유를 받는 것 같아요. 자연이 스스로 회복되는 걸 보면서 저희 마음도 트라우마가 점점 가시는 것 같고..."}
보시는 것처럼 시커멓게 불에 탄 흔적들 사이로 새잎이 자라고 있는데, 나무가 죽지 않고 살아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화려한 옛 모습은 잃어버렸지만 나무가 지켜온 역사와 문화는 여전히 남아있습니다.
{최세현/지리산초록걸음 대표/"경남도 문화재로 지정이 되어 있는데 천연기념물로 지정을 해서 좀 더 체계적으로 관리를 해주었으면 좋겠습니다."}
앞으로 2~3년은 나무 상태를 더 지켜봐야 하는 만큼, 하동군도 계속해서 생육관리를 해나갈 계획입니다.
{김철응/나무의사/원래 나무는 잎의 양이 많아야지 생육 상태가 좋아지기 때문에 영양공급을 조금 더해서..."}
주민들은 천년 가까이 버텨온 은행나무가 화마의 아픔을 딛고 다시 천년을 이어나가기를 바라고 있습니다.
knn이태훈입니다.
영상취재 안명환
영상편집 김범준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이태훈 기자
lth4101@knn.co.kr
많이 본 뉴스
주요뉴스
-
[단독]수상한 수의계약...'정치편향 유튜버' 일감 몰아주기?2025.09.10
-
[단독]부산교육청 신임 감사관, 알고 보니 전직 거래처 사장2025.09.10
-
190억 의원회관 한달만에 또 공사 '비효율 극치'2025.09.10
-
가덕신공항건설공단, '공기 111개월 제안' 후폭풍 거세2025.09.10
-
포스코이앤씨, 이번에는 민원 외면하고 공사강행2025.09.09
-
부산 학생 수, 전국에서 제일 빨리 줄었다2025.09.09
-
포스코, HMM 새주인 후보 부상... 부산 이전 영향은?2025.09.09
-
부산 블록체인 정책 상징 'B-패스', '무용지물' 전락2025.09.09
-
"담배꽁초 버리다 덜미"...도주극 지명수배자 검거2025.09.08
-
부산구치소 20대 재소자 숨져... "집단 폭행 의심"2025.09.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