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기후산업국제박람회, 정례화 필요
표중규
입력 : 2023.05.26 20:54
조회수 : 1440
0
0
<앵커>
부산에서 열리고 있는 기후산업국제박람회는 대규모 행사들이 하나로 합쳐지면서 그 중량감이 남다릅니다.
기후위기를 최전선에서 맞고있는 부산인만큼 지스타처럼, 아예 부산 맞춤형으로 열어야한다는 목소리까지 나옵니다
표중규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허리케인 카트리나로 직격탄을 맞았던 미국 뉴올리언스,
올해 홍수로 공항까지 잠겼던 뉴질랜드의 오클랜드.
기후위기를 뼈저리게 겪은 전세계 8개 도시들이 아픈 경험을 허심탄회하게 털어놓습니다.
{웨인 브라운/뉴질랜드 오클랜드 시장/지난해 내가 시장에 당선된지 석달만인 1월, 홍수로 인해 4,000채의 주택과 인프라가 침수되어 시민들의 삶에게 심각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의견을 나눈 도시들은 협약을 맺고 앞으로 공동 대응까지 선언했습니다.
뉴욕타임즈는 '기술로 기후위기를 극복할 수 있나?'라는 프로그램을 진행했고 기업들은 탄소중립과 ESG 경영에 대해 전문가들과 의견을 나눴습니다.
이번 기후산업국제박람회는 기후관련 신기술과 신제품 외에 이런 다양한 정책적,학술적,경영적 내용들이 다 함께 다뤄지는데요. 기존에 각자 열리던 4개의 대규모 행사가 합쳐지면서 그 범위와 규모가 그만큼 더 확대됐습니다.
이번 박람회의 부산 개최가 기획된건 2030 엑스포 유치전에 기후도시 부산을 알리기 위해서입니다.
실제로 부산이야말로 지구온난화로 슈퍼태풍 등 재난을 온몸으로 겪는 도시이기도 합니다.
때문에 게임도시 부산을 표방하며 뿌리내린 지스타처럼, 기후도시 부산이 박람회 개최지로 자리잡아야한다는
목소리도 나옵니다.
{박형준/부산시장/미국의 CES와 견줄 수 있는 그런 행사로 발전할 수 있습니다. 그린 테크놀로지(녹색기술)의 모든 것을 보여줄 수 있는 이런 박람회를 부산에서 계속 개최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2030 엑스포 부산 유치를 위해 시작된 기후산업국제박람회가 부산을 알릴 또하나의 대표적인 MICE 행사로 자리잡을지 기대됩니다.
KNN 표중규입니다.
부산에서 열리고 있는 기후산업국제박람회는 대규모 행사들이 하나로 합쳐지면서 그 중량감이 남다릅니다.
기후위기를 최전선에서 맞고있는 부산인만큼 지스타처럼, 아예 부산 맞춤형으로 열어야한다는 목소리까지 나옵니다
표중규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허리케인 카트리나로 직격탄을 맞았던 미국 뉴올리언스,
올해 홍수로 공항까지 잠겼던 뉴질랜드의 오클랜드.
기후위기를 뼈저리게 겪은 전세계 8개 도시들이 아픈 경험을 허심탄회하게 털어놓습니다.
{웨인 브라운/뉴질랜드 오클랜드 시장/지난해 내가 시장에 당선된지 석달만인 1월, 홍수로 인해 4,000채의 주택과 인프라가 침수되어 시민들의 삶에게 심각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의견을 나눈 도시들은 협약을 맺고 앞으로 공동 대응까지 선언했습니다.
뉴욕타임즈는 '기술로 기후위기를 극복할 수 있나?'라는 프로그램을 진행했고 기업들은 탄소중립과 ESG 경영에 대해 전문가들과 의견을 나눴습니다.
이번 기후산업국제박람회는 기후관련 신기술과 신제품 외에 이런 다양한 정책적,학술적,경영적 내용들이 다 함께 다뤄지는데요. 기존에 각자 열리던 4개의 대규모 행사가 합쳐지면서 그 범위와 규모가 그만큼 더 확대됐습니다.
이번 박람회의 부산 개최가 기획된건 2030 엑스포 유치전에 기후도시 부산을 알리기 위해서입니다.
실제로 부산이야말로 지구온난화로 슈퍼태풍 등 재난을 온몸으로 겪는 도시이기도 합니다.
때문에 게임도시 부산을 표방하며 뿌리내린 지스타처럼, 기후도시 부산이 박람회 개최지로 자리잡아야한다는
목소리도 나옵니다.
{박형준/부산시장/미국의 CES와 견줄 수 있는 그런 행사로 발전할 수 있습니다. 그린 테크놀로지(녹색기술)의 모든 것을 보여줄 수 있는 이런 박람회를 부산에서 계속 개최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2030 엑스포 부산 유치를 위해 시작된 기후산업국제박람회가 부산을 알릴 또하나의 대표적인 MICE 행사로 자리잡을지 기대됩니다.
KNN 표중규입니다.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표중규 기자
pyowill@knn.co.kr
많이 본 뉴스
주요뉴스
-
'쇼플렉스' 사업 본궤도... 세계적 투자사 집결2025.08.18
-
'나무 3그루'가 살렸다... 산사태서 집 지킨 생명의 벽2025.08.18
-
초고령도시 부산, 폐원 어린이집 '노인 일자리 공간'으로2025.08.18
-
딸기 모종 떠내려가도 보험 '제외'... 농민들 분통2025.08.18
-
<자랑스러운 부산경남> K-방산 메카 부산경남2025.08.17
-
노후 아파트 화재 예방 나선 소방...문제는 예산2025.08.16
-
웅동1지구 골프장 새출발 난항 우려2025.08.16
-
일부 수해마을 주민 아픔딛고 다시 일상으로2025.08.15
-
금정산국립공원 지정..산청 산사태가 변수?2025.08.15
-
중견기업 도약 원하지만 혜택 축소가 발목2025.08.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