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금정산국립공원 지정..산청 산사태가 변수?
김건형
입력 : 2025.08.15 18:03
조회수 : 149
0
0
[앵커]
부산,경남의 명산인 금정산의 국립공원 지정이 당초 전망보다 늦어지고 있는데요,
최근엔 경남 산청의 대규모 산사태가 또 하나의 변수로 떠올랐습니다.
어찌된 사정인지 김건형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지난 2006년 시민사회에서 처음 시작된 금정산국립공원 지정 운동은,
2019년 부산시의 대정부 공식 건의로 본격화됐습니다.
지난해 범어사와 경남 양산시까지 동참하면서 급물살을 탔고,
올 초만 해도 상반기 내 지정까지 기대됐습니다.
"지자체들의 의견제출 지연과 조기대선 등의 여파로 상반기 지정이 불발되면서 이젠 목표가 연내 지정으로 바뀌었습니다.
하지만 중앙부처간 협의가 예상보다 늦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옵니다."
"당장 앞에 둔 절차는 산림청 중앙산지관리위원회와 국토교통부의 중앙도시계획위원회 심의입니다.
두 위원회를 거치면 마지막으로 환경부 국립공원위원회가 지정,고시하게 됩니다."
{이동흡/부산시 도시공원과장/"통상 한 달에 한 번씩 (중앙산지관리)위원회가 열리고 있기 때문에 저희가 보완(결정)이 나오면 바로 다음 달에 (재상정)할 수 있도록 준비에 만전을 기하고 있습니다."}
돌발변수는 큰 인명피해가 난 산청 산사태입니다.
이번 사고로 정부의 기존 산림정책 기조에 근본적인 의문이 제기됐습니다.
{제33회 국무회의(7월 29일)/"임도를 내거나 벌목을 하고 새로 나무를 심는 이 사업을 계속 해야되는건지 예산낭비가 아닐까하는 걱정도 되고.."}
전례없는 대통령의 지시로 치열한 논의가 촉발된 상황,
새 정부의 산림정책 기조 변화에 따라 산림청장 교체를 시작으로 산림당국 전반이 크게 요동칠 상황입니다.
{김동필/부산대 조경학과 교수/"중앙산지관리위원회가 원만하게 이루어질지 또는 이 뒤에 어떤 시스템들이 원만하게 잘 굴러갈지는 조금 더 두고 봐야 될 것 같습니다."}
이달이나 늦어도 다음달 중앙산지위원회에서 금정산국립공원 추진 안건이 통과돼야 연내 지정,고시가 가능할 전망입니다.
KNN 김건형입니다.
영상취재 황태철
부산,경남의 명산인 금정산의 국립공원 지정이 당초 전망보다 늦어지고 있는데요,
최근엔 경남 산청의 대규모 산사태가 또 하나의 변수로 떠올랐습니다.
어찌된 사정인지 김건형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지난 2006년 시민사회에서 처음 시작된 금정산국립공원 지정 운동은,
2019년 부산시의 대정부 공식 건의로 본격화됐습니다.
지난해 범어사와 경남 양산시까지 동참하면서 급물살을 탔고,
올 초만 해도 상반기 내 지정까지 기대됐습니다.
"지자체들의 의견제출 지연과 조기대선 등의 여파로 상반기 지정이 불발되면서 이젠 목표가 연내 지정으로 바뀌었습니다.
하지만 중앙부처간 협의가 예상보다 늦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옵니다."
"당장 앞에 둔 절차는 산림청 중앙산지관리위원회와 국토교통부의 중앙도시계획위원회 심의입니다.
두 위원회를 거치면 마지막으로 환경부 국립공원위원회가 지정,고시하게 됩니다."
{이동흡/부산시 도시공원과장/"통상 한 달에 한 번씩 (중앙산지관리)위원회가 열리고 있기 때문에 저희가 보완(결정)이 나오면 바로 다음 달에 (재상정)할 수 있도록 준비에 만전을 기하고 있습니다."}
돌발변수는 큰 인명피해가 난 산청 산사태입니다.
이번 사고로 정부의 기존 산림정책 기조에 근본적인 의문이 제기됐습니다.
{제33회 국무회의(7월 29일)/"임도를 내거나 벌목을 하고 새로 나무를 심는 이 사업을 계속 해야되는건지 예산낭비가 아닐까하는 걱정도 되고.."}
전례없는 대통령의 지시로 치열한 논의가 촉발된 상황,
새 정부의 산림정책 기조 변화에 따라 산림청장 교체를 시작으로 산림당국 전반이 크게 요동칠 상황입니다.
{김동필/부산대 조경학과 교수/"중앙산지관리위원회가 원만하게 이루어질지 또는 이 뒤에 어떤 시스템들이 원만하게 잘 굴러갈지는 조금 더 두고 봐야 될 것 같습니다."}
이달이나 늦어도 다음달 중앙산지위원회에서 금정산국립공원 추진 안건이 통과돼야 연내 지정,고시가 가능할 전망입니다.
KNN 김건형입니다.
영상취재 황태철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김건형 기자
kgh@knn.co.kr
많이 본 뉴스
주요뉴스
-
일부 수해마을 주민 아픔딛고 다시 일상으로2025.08.15
-
금정산국립공원 지정..산청 산사태가 변수?2025.08.15
-
중견기업 도약 원하지만 혜택 축소가 발목2025.08.15
-
부산*경남에서도 제80주년 광복절 기념식 거행2025.08.15
-
광복 80년 만에 졸업장 받는 독립운동가들2025.08.14
-
부산 홈플러스 매장 2곳 동시에 사라진다2025.08.14
-
창녕갈릭버거 재출시, 경남 특산물 활용 제품 열풍2025.08.14
-
고수온 집단폐사 우려에 치어 방류2025.08.14
-
잦은 오보에 시민 '허탈'..갈수록 기상예보 안 맞는 이유는?2025.08.13
-
'동굴에서 피서' 외국인 몰리는 이색 관광2025.08.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