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문화소외계층 위한 '문화누리카드' 사용률 저조
박명선
입력 : 2023.04.21 18:03
조회수 : 3366
0
0
<앵커>
저소득층에게 여가활동이 가능하도록 일정금액을 지원해주는 '문화누리카드'라는 것이 있습니다.
영화나 스포츠 관람, 책을 볼수있도록 1년에 11만원씩 선불카드로 지원하는데요.
제도 시행 10년째이지만, 아직도 모르는 사람이 많아 취지를 살리지 못하고 있습니다.
박명선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기초생활수급자 등에게 선불카드 형태로 11만원씩 지급되는 문화누리카드!
김 모씨는 가족 한명당 11만원씩 올해 33만원을 문화누리카드로 쓸수 있습니다.
하지만 가맹점 부족으로, 불편을 겪을 때가 많습니다.
{김 모씨/문화누리카드 이용자/"문화누리카드 사용이 되는 곳이 있고 안되는 곳이 있거든요. 많이 헷깔려 하시는 분들도 있어요. 저같은 경우 홈페이지에 사용처를 조회를 해보고 들어가거든요. 그런데 나이드신분들은 그렇게 하기가 힘드니까."}
지난해보다 예산이 늘어 올해 부산에서 사용가능한 문화누리카드는 23만여장!
그러나 재발급을 포함해 문화누리카드 발급률은 부산 78%, 경남 74%에 그치고 있습니다.
예산대비 이용률도 현재 16%에 불과합니다.
{백승환/문화누리카드 가맹점 대표/"11만원이면 부산의 다양한 관광지, 먹거리, 문화생활을 즐길수 있는데 가맹점들이 적극적으로 주민센터를 방문해서 함께 소통하는 자리나 찾아가는 서비스를 통해서 많은 개선이 이뤄져야한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지난해 부산의 문화누리카드 전체 이용률은 77%에 그쳤고, 나머지 23%는 지역에서 사용되지 않고 반납됐습니다.
올해 말까지 사용하지 않는 지원금은 모두 국고로 자동 전환됩니다.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의 63% 이상이 50대 이상 고령층인 것도 이용률이 낮은 한 원인입니다.
{김영숙/부산문화재단 생활문화본부 문화공유팀/"(지난해부터 예산이 더 늘었지만) 본인이 대상자인지 몰라서 아직 신청을 못한 부분이 있어서 그만큼 활용을 못한 부분이 있었습니다. 올해부터는 문화누리카드를 더 알리기 위해서 주민센터에 안내 배너를배부를 해서."}
지원금을 유인책 삼아 문화향유 기회를 늘리겠다는 취지인 문화누리카드!
문화누리카드 사용 확대를 위해서는 고령층과 거동이 불편한 대상자 맞춤형 사용처 확대 등 개선책 마련이 필요합니다. KNN 박명선입니다.
저소득층에게 여가활동이 가능하도록 일정금액을 지원해주는 '문화누리카드'라는 것이 있습니다.
영화나 스포츠 관람, 책을 볼수있도록 1년에 11만원씩 선불카드로 지원하는데요.
제도 시행 10년째이지만, 아직도 모르는 사람이 많아 취지를 살리지 못하고 있습니다.
박명선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기초생활수급자 등에게 선불카드 형태로 11만원씩 지급되는 문화누리카드!
김 모씨는 가족 한명당 11만원씩 올해 33만원을 문화누리카드로 쓸수 있습니다.
하지만 가맹점 부족으로, 불편을 겪을 때가 많습니다.
{김 모씨/문화누리카드 이용자/"문화누리카드 사용이 되는 곳이 있고 안되는 곳이 있거든요. 많이 헷깔려 하시는 분들도 있어요. 저같은 경우 홈페이지에 사용처를 조회를 해보고 들어가거든요. 그런데 나이드신분들은 그렇게 하기가 힘드니까."}
지난해보다 예산이 늘어 올해 부산에서 사용가능한 문화누리카드는 23만여장!
그러나 재발급을 포함해 문화누리카드 발급률은 부산 78%, 경남 74%에 그치고 있습니다.
예산대비 이용률도 현재 16%에 불과합니다.
{백승환/문화누리카드 가맹점 대표/"11만원이면 부산의 다양한 관광지, 먹거리, 문화생활을 즐길수 있는데 가맹점들이 적극적으로 주민센터를 방문해서 함께 소통하는 자리나 찾아가는 서비스를 통해서 많은 개선이 이뤄져야한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지난해 부산의 문화누리카드 전체 이용률은 77%에 그쳤고, 나머지 23%는 지역에서 사용되지 않고 반납됐습니다.
올해 말까지 사용하지 않는 지원금은 모두 국고로 자동 전환됩니다.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의 63% 이상이 50대 이상 고령층인 것도 이용률이 낮은 한 원인입니다.
{김영숙/부산문화재단 생활문화본부 문화공유팀/"(지난해부터 예산이 더 늘었지만) 본인이 대상자인지 몰라서 아직 신청을 못한 부분이 있어서 그만큼 활용을 못한 부분이 있었습니다. 올해부터는 문화누리카드를 더 알리기 위해서 주민센터에 안내 배너를배부를 해서."}
지원금을 유인책 삼아 문화향유 기회를 늘리겠다는 취지인 문화누리카드!
문화누리카드 사용 확대를 위해서는 고령층과 거동이 불편한 대상자 맞춤형 사용처 확대 등 개선책 마련이 필요합니다. KNN 박명선입니다.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박명선 기자
pms@knn.co.kr
많이 본 뉴스
주요뉴스
-
부산을 사랑하는 베트남..총영사관 생긴다2025.08.13
-
잦은 오보에 시민 '허탈'..갈수록 기상예보 안 맞는 이유는?2025.08.13
-
'동굴에서 피서' 외국인 몰리는 이색 관광2025.08.13
-
고령 촉탁자 고용관행이 사고불렀나?2025.08.13
-
사상하단선 또 땅꺼짐..불안해 살겠나2025.08.12
-
[르포]입추 지나고도 폭우폭염..농가 '시름'2025.08.12
-
부산 곳곳에 숨겨진 일제동굴... 다크투어리즘 박차2025.08.12
-
'임산부 수영금지’ 대학 스포츠센터 논란2025.08.12
-
찬탄, 반탄 갈라진 국민의힘 부울경 전당대회2025.08.12
-
조국 특별사면... 지방선거 '태풍의 눈' 되나2025.08.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