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대규모 택지개발지구 두차례나 공사중지, 왜?
최한솔
입력 : 2021.05.05 18:53
조회수 : 252
0
0
{앵커:
여의도 면적의 대규모 택지개발 현장에 대해 두번씩이나 공사 중지 명령이 내려졌습니다.
어찐된 일인지 최한솔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양산사송지구의 포크레인이 또 다시 멈췄습니다.
낙동강유역환경청에서 공사 중단 명령을 내린 것입니다.
지난해 8월에 이은 두 번째 중단으로대규모 택지 개발에선 유례가 없는 일입니다.
멸종위기종이 무더기로 발견됐는데 제대로된 보호 조치가 없다는 판단 때문입니다.
{김치훈/낙동강유역환경청 환경평가과 팀장/'서식지 보호대책과 정밀조사 이것들을 포함한
이행조치가 나갔고 그 지시상황을 향후 주기적으로 점검할 계획입니다.'}
보다 못한 환경단체들이 멸종위기종 고리도롱뇽 구조에 나섰습니다.
흙탕물 곳곳이 고리도룡뇽 유생들인데, 그대로 뒀으면 포크레인에 짓눌릴 뻔한 상황.
현재 이와 같이 공사현장 내 11 곳에서 6백여 개체가 구조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본격적으로 공사가 중단되면 가장 먼저 구조작업이 시급합니다.
{최대현/부산환경회의 회원/'작은 유생들이 너무나 많습니다. 그래서 조금이라도 빨리
옮겨져야 될 것 같습니다.'}
공사가 중단된 현장에 환경단체들이 나서 멸종위기종을 구출하는 것 또한 전례 없습니다.
그만큼 환경영향평가라는 제도가 그간 얼마나 주먹구구식이었는지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가 되고 있습니다.
KNN 최한솔입니다.
여의도 면적의 대규모 택지개발 현장에 대해 두번씩이나 공사 중지 명령이 내려졌습니다.
어찐된 일인지 최한솔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양산사송지구의 포크레인이 또 다시 멈췄습니다.
낙동강유역환경청에서 공사 중단 명령을 내린 것입니다.
지난해 8월에 이은 두 번째 중단으로대규모 택지 개발에선 유례가 없는 일입니다.
멸종위기종이 무더기로 발견됐는데 제대로된 보호 조치가 없다는 판단 때문입니다.
{김치훈/낙동강유역환경청 환경평가과 팀장/'서식지 보호대책과 정밀조사 이것들을 포함한
이행조치가 나갔고 그 지시상황을 향후 주기적으로 점검할 계획입니다.'}
보다 못한 환경단체들이 멸종위기종 고리도롱뇽 구조에 나섰습니다.
흙탕물 곳곳이 고리도룡뇽 유생들인데, 그대로 뒀으면 포크레인에 짓눌릴 뻔한 상황.
현재 이와 같이 공사현장 내 11 곳에서 6백여 개체가 구조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본격적으로 공사가 중단되면 가장 먼저 구조작업이 시급합니다.
{최대현/부산환경회의 회원/'작은 유생들이 너무나 많습니다. 그래서 조금이라도 빨리
옮겨져야 될 것 같습니다.'}
공사가 중단된 현장에 환경단체들이 나서 멸종위기종을 구출하는 것 또한 전례 없습니다.
그만큼 환경영향평가라는 제도가 그간 얼마나 주먹구구식이었는지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가 되고 있습니다.
KNN 최한솔입니다.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최한솔 기자
choi@knn.co.kr
많이 본 뉴스
주요뉴스
-
정명훈, 247년 역사 라 스칼라 극장 음악감독 내정2025.05.13
-
'남해 죽방렴' 세계중요농업유산 등재 현장 실사2025.05.13
-
농번기 틈타 대낮 농촌 빈집털이 기승2025.05.13
-
대선 승부처 부산경남... 후보들 줄줄이 PK 방문2025.05.13
-
21대 대선 7명 출사표, 부울경 맞춤공약 발표2025.05.12
-
연봉 3억 6천만 원도 외면 '농촌 의료 난 심각'2025.05.12
-
'마약 공포' 부산항 컨테이너선 코카인 700㎏ 적발2025.05.12
-
[지역을 지키는 청년들]미식도시 부산에서 '미쉐린 스타' 꿈꾼다2025.05.12
-
도의회, 예산 부당 지출 수사 중에 또 국외 연수2025.05.10
-
<현장> '전국 최대규모 재개발' 22년째 지지부진, 인근 주택*학교까지 안전위협2025.0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