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내년부터 부산도 3~5세 전면 무상보육*교육
김건형
입력 : 2025.11.10 20:49
조회수 : 239
0
0
<앵커>
아이 낳고 키우기 좋은 환경을 만드는게 부산경남의 최대 과제가 되고 있습니다.
경남에 이어 부산의 3세부터 5세까지 유아들도 내년부터 전면 무상보육, 무상교육의 혜택을 받게 됩니다.
김건형 기자입니다.
<기자>
초저출산 시대!
유아 보육과 교육에 대한 정부와 지자체 지원은 계속 늘고 있습니다.
오는 2027년 3~5세 유아의 무상보육*교육 전면확대가 교육부 방침입니다.
올해 일찌감치 무상보육을 시작한 경남에 이어, 부산도 내년부터 3-5세 무상보육에 들어갑니다.
부산시는 내년부터 3세 이상 유아에 대한 어린이집 필요경비 전면 지원책을 발표했습니다.
{박형준/부산시장/"보육에 대한 부모의 부담을 없애는 것이 굉장히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내년부터) 실질적인 무상보육을 완성하게 됐다 이렇게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이미 전액 무상으로 지원되는 보육료 외 부모가 부담하던 특성화 비용까지 지원하는 겁니다.
올해보다 월 지원액이 4만원 더 늘어납니다.
{박기남/부산시 어린이집연합회 회장/"(특성화비 지원이 되면) 교재 같은 것을 직접 무상으로 공급을 받아서 선생님과 (아이들이) 상호작용 하는 부분이기 때문에 굉장히 (보육의 질이) 업(UP)이 될 것이다, 저는 확신합니다."}
사립유치원을 다니는 3세 이상 유아들도 전면 무상교육 혜택을 받습니다.
부산시교육청 역시 표준유아교육비 수준에 맞춰 무상교육비를 추가 지원합니다.
추가 소요 예산은 부산시 238억 원, 부산시교육청 259억 원 가량인데 부산시의회도 협조를 약속했습니다.
{안성민/부산시의회 의장/"아동들에 관련된 문제는 저희들이 우리 상임위 예결위하고도 의논을 해 가지고 끊임없는 협조를 하도록 하겠습니다."}
부산의 무상보육,교육 전면실시는 특,광역시 가운데에선 울산에 이어 2번째, 광역단체 전체로 보면 경남 등에 이어 4번째입니다.
KNN 김건형입니다.
영상취재 오원석
영상편집 김민지
아이 낳고 키우기 좋은 환경을 만드는게 부산경남의 최대 과제가 되고 있습니다.
경남에 이어 부산의 3세부터 5세까지 유아들도 내년부터 전면 무상보육, 무상교육의 혜택을 받게 됩니다.
김건형 기자입니다.
<기자>
초저출산 시대!
유아 보육과 교육에 대한 정부와 지자체 지원은 계속 늘고 있습니다.
오는 2027년 3~5세 유아의 무상보육*교육 전면확대가 교육부 방침입니다.
올해 일찌감치 무상보육을 시작한 경남에 이어, 부산도 내년부터 3-5세 무상보육에 들어갑니다.
부산시는 내년부터 3세 이상 유아에 대한 어린이집 필요경비 전면 지원책을 발표했습니다.
{박형준/부산시장/"보육에 대한 부모의 부담을 없애는 것이 굉장히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내년부터) 실질적인 무상보육을 완성하게 됐다 이렇게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이미 전액 무상으로 지원되는 보육료 외 부모가 부담하던 특성화 비용까지 지원하는 겁니다.
올해보다 월 지원액이 4만원 더 늘어납니다.
{박기남/부산시 어린이집연합회 회장/"(특성화비 지원이 되면) 교재 같은 것을 직접 무상으로 공급을 받아서 선생님과 (아이들이) 상호작용 하는 부분이기 때문에 굉장히 (보육의 질이) 업(UP)이 될 것이다, 저는 확신합니다."}
사립유치원을 다니는 3세 이상 유아들도 전면 무상교육 혜택을 받습니다.
부산시교육청 역시 표준유아교육비 수준에 맞춰 무상교육비를 추가 지원합니다.
추가 소요 예산은 부산시 238억 원, 부산시교육청 259억 원 가량인데 부산시의회도 협조를 약속했습니다.
{안성민/부산시의회 의장/"아동들에 관련된 문제는 저희들이 우리 상임위 예결위하고도 의논을 해 가지고 끊임없는 협조를 하도록 하겠습니다."}
부산의 무상보육,교육 전면실시는 특,광역시 가운데에선 울산에 이어 2번째, 광역단체 전체로 보면 경남 등에 이어 4번째입니다.
KNN 김건형입니다.
영상취재 오원석
영상편집 김민지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김건형 기자
kgh@knn.co.kr
많이 본 뉴스
주요뉴스
-
'보복에 보복' 조폭 도심 흉기난동... 46명 검거2025.11.10
-
양식장 청소하다가 질식 사고... 작업자 3명 사망2025.11.10
-
'마스가'에 잘 나가던 HJ중공업, 울산붕괴 사고에 발목2025.11.10
-
연기 속에서도 선명... 소방대원 시야 확보 기술 개발2025.11.10
-
300만 넘보는 부산 외국인 관광객... '바가지 상술'도 기승2025.11.07
-
김해, 크루즈 관광도시로 변신 박차2025.11.08
-
<자랑스러운 부산경남 더 자랑스럽게>미래 에너지 중심 경남, 두산에너빌리티가 이끈다2025.11.09
-
양식장 저수조에서 작업자 3명 숨진채 발견2025.11.10
-
무르익은 가을, 수확과 축제의 계절2025.11.08
-
김해 장미농장서 불..인명피해 없어2025.11.08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