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300만 넘보는 부산 외국인 관광객... '바가지 상술'도 기승
옥민지
입력 : 2025.11.07 20:46
조회수 : 158
1
0
<앵커>
애니메이션 '케이팝 데몬 헌터스'가 전 세계적인 신드롬을 일으키면서, 부산과 경남을 찾는 관광객들도 크게 늘었습니다.
그런데 눈쌀 찌푸리게하는 관광객 대상 바가지 영업이 기승을 부려 관광도시 부산의 이름에 오점이 되고 있습니다.
옥민지 기자가 현장을 다녀왔습니다.
<기자>
외국인 관광객들이 많이 찾는 케이팝 굿즈 매장.
직접 방문해 응원봉의 가격을 물어봤습니다.
{이거 얼마예요? (팔만 구천 원이요.) 왜 이렇게 비싸요?(여기는 매장이니까 인터넷판매보다는 비싸요.)"}
온라인 굿즈샵에 같은 제품을 검색해봤더니, 판매가는 4만 구천 원.
두 배에 달하는 가격 차이가 납니다.
유통 마진을 감안해도 과도합니다.
다른 상점도 상황은 비슷했습니다.
{제일 싼게 7만 구천 원..}
"케이팝에 열광하는 외국인 관광객들이 늘어나면서 외국인들이 주로 찾는 관광지 곳곳에는 케이팝 굿즈를 파는 상점들이 생겨나고 있는데요.
대부분 온라인 가격보다 높은 가격을 책정하고 있습니다."
가격비교 하기가 쉬운 한국팬들은 상술에 잘 넘어가지 않지만,
{박윤빈/부산시 영도구/"아니요 저기는 너무 비싸가지고 안사요. 온라인에서만 사고...}
국내팬에 비해 정보가 부족한 해외팬들은 바가지 요금에 취약할 수 밖에 없습니다.
{로시오, 라이아/스페인 관광객/" 외국인들이 (굿즈 가격을) 잘 모르니까, 매장에서 온라인 상점보다 더 비싸게 팔아도 우리가 계속 살 거라고 생각하는 것 같아요.}
앞서 지난 2022년, 2030 부산세계박람회 유치 기원 BTS 콘서트가 열렸을 당시에도 인근 호텔 숙박료가 최대 50만 원에 이르며 팬들을 노린 바가지 요금 논란이 불거졌었습니다.
올해 부산의 연간 외국인 관광객 수가 최초로 300만 명을 돌파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바가지 논란이 관광 열기에 찬물을 끼얹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옵니다.
{최규환/동아대학교 관광경영학과 교수/"케이팝 관련해서 여러가지 굿즈 기념품이 나와있는데, 공식 가격을 조사해서 홈페이지 같은 걸 통해서 공지를 해주면 관광객들이 와서 보고 확인할 수 있으니까 적어도 턱없이 비싼 굿즈를 모르고 사는 그런 폐해는 없을 것이라고 생각을 합니다.}
역대급 관광 훈풍을 놓치지 않으려면, 바가지 요금 문제를 해결할 대책 마련이 시급해보입니다.
KNN 옥민지입니다.
영상취재 황태철
영상편집 박서아
애니메이션 '케이팝 데몬 헌터스'가 전 세계적인 신드롬을 일으키면서, 부산과 경남을 찾는 관광객들도 크게 늘었습니다.
그런데 눈쌀 찌푸리게하는 관광객 대상 바가지 영업이 기승을 부려 관광도시 부산의 이름에 오점이 되고 있습니다.
옥민지 기자가 현장을 다녀왔습니다.
<기자>
외국인 관광객들이 많이 찾는 케이팝 굿즈 매장.
직접 방문해 응원봉의 가격을 물어봤습니다.
{이거 얼마예요? (팔만 구천 원이요.) 왜 이렇게 비싸요?(여기는 매장이니까 인터넷판매보다는 비싸요.)"}
온라인 굿즈샵에 같은 제품을 검색해봤더니, 판매가는 4만 구천 원.
두 배에 달하는 가격 차이가 납니다.
유통 마진을 감안해도 과도합니다.
다른 상점도 상황은 비슷했습니다.
{제일 싼게 7만 구천 원..}
"케이팝에 열광하는 외국인 관광객들이 늘어나면서 외국인들이 주로 찾는 관광지 곳곳에는 케이팝 굿즈를 파는 상점들이 생겨나고 있는데요.
대부분 온라인 가격보다 높은 가격을 책정하고 있습니다."
가격비교 하기가 쉬운 한국팬들은 상술에 잘 넘어가지 않지만,
{박윤빈/부산시 영도구/"아니요 저기는 너무 비싸가지고 안사요. 온라인에서만 사고...}
국내팬에 비해 정보가 부족한 해외팬들은 바가지 요금에 취약할 수 밖에 없습니다.
{로시오, 라이아/스페인 관광객/" 외국인들이 (굿즈 가격을) 잘 모르니까, 매장에서 온라인 상점보다 더 비싸게 팔아도 우리가 계속 살 거라고 생각하는 것 같아요.}
앞서 지난 2022년, 2030 부산세계박람회 유치 기원 BTS 콘서트가 열렸을 당시에도 인근 호텔 숙박료가 최대 50만 원에 이르며 팬들을 노린 바가지 요금 논란이 불거졌었습니다.
올해 부산의 연간 외국인 관광객 수가 최초로 300만 명을 돌파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바가지 논란이 관광 열기에 찬물을 끼얹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옵니다.
{최규환/동아대학교 관광경영학과 교수/"케이팝 관련해서 여러가지 굿즈 기념품이 나와있는데, 공식 가격을 조사해서 홈페이지 같은 걸 통해서 공지를 해주면 관광객들이 와서 보고 확인할 수 있으니까 적어도 턱없이 비싼 굿즈를 모르고 사는 그런 폐해는 없을 것이라고 생각을 합니다.}
역대급 관광 훈풍을 놓치지 않으려면, 바가지 요금 문제를 해결할 대책 마련이 시급해보입니다.
KNN 옥민지입니다.
영상취재 황태철
영상편집 박서아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옥민지 기자
ok@knn.co.kr
많이 본 뉴스
주요뉴스
-
부산 도심 메운 중장비 150여대... 무슨 일?2025.11.07
-
300만 넘보는 부산 외국인 관광객... '바가지 상술'도 기승2025.11.07
-
"아구라면?"... 지역특산물 '이색 라면축제' 눈길2025.11.07
-
수능 D-6, 부산*경남의 응시원서 접수 결과 특징은?2025.11.07
-
직원 총기 사망 한달넘게 지났지만....여전히 눈*귀 닫은 SNT모티브2025.11.06
-
부산시의회 행정감사, 엉터리 폐아스콘 관리실태 질타2025.11.06
-
"일몰 보며 낙동강 위를 달려요"..노을투어 인기2025.11.06
-
정치공방에 법률안 계류?..위태로운 대형선망2025.11.06
-
'하도급 갑질 의혹' 현대위아 공정위 조사2025.11.05
-
<속>오시리아 오수 유출은 '인재'...'도시공사' 질타 쏟아져2025.11.05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