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조화 퇴출에도 수입산 공세... 화훼농가 한숨만
최한솔
입력 : 2025.10.03 20:16
조회수 : 126
0
0
<앵커>
명절 연휴를 앞두고 성묘객들 발길이 시작됐지만 화훼농가는 나아질 기미를 보이지 않습니다.
환경보호를 위해서라도 조화를 근절하자는 움직임에도, 수입산의 공세에 갈수록 입지가 좁아지고 있습니다.
최한솔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명절 연휴를 앞둔 창원의 한 공원묘원입니다.
이른 성묘를 다녀간 성묘객들이 꽂아둔 생화들이 곳곳에 보입니다.
경남은 3년 전부터 조화근절 캠페인이 활성화되면서 공원묘원마다 생화 비율이 확연히 높아졌습니다.
하지만 그 자리를 차지한 것은 국산이 아닌, 중국과 베트남 등지에서 밀려들어오는 값싼 수입산 꽃들입니다.
{공원묘원 인근 생화 상인/"수입이 많이 싸죠. (국내) 농가에서 나오면 보통 한 단이 2만원씩 나가는데 수입은 보통 한 1만6천원~1만7천원."}
창원의 이 국화농장도 3년 전까지는 한해 60만본씩 출하했지만 올해는 그 양이 3분의 1로 줄었습니다.
단계적인 관세 철폐로 해마다 수입산 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런 국화만 놓고 봤을 때, 지난해 중국과 베트남에서 2억송이의 국화가 수입됐습니다. 가격경쟁에서 밀리는 것은 물론 소비자들이 겉으로 봤을 때도 차이를 구별할 수 없습니다.
한 다발 기준 경매가가 9천원은 돼야적자를 면하는데 수입산은 이보다 훨씨 낮은 6천원에 가격이 형성됩니다.
여기에 길었던 폭염으로 꽃들 절반이 고사하면서 창원을 중심으로 70%의 국화 농가가 화훼농사를 접었습니다.
{전수익/국화농가 농민/"수지타산이 안 맞으니깐, 타작물로 전환을 하든지 그만큼 농가수도 줄어들고...화훼농가가 거의 다 전멸하지 않나 싶습니다. 그렇게 위기감을 느끼고 있는게 사실입니다."}
화훼농가가 줄이어 작목을 바꾸면 장기적으로 지역 화훼농업의 기반 자체가 흔들릴 수도 있는만큼, 화훼산업 고사를 막기 위한 실질적인 대책이 절실합니다. KNN 최한솔입니다.
영상취재 정창욱
명절 연휴를 앞두고 성묘객들 발길이 시작됐지만 화훼농가는 나아질 기미를 보이지 않습니다.
환경보호를 위해서라도 조화를 근절하자는 움직임에도, 수입산의 공세에 갈수록 입지가 좁아지고 있습니다.
최한솔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명절 연휴를 앞둔 창원의 한 공원묘원입니다.
이른 성묘를 다녀간 성묘객들이 꽂아둔 생화들이 곳곳에 보입니다.
경남은 3년 전부터 조화근절 캠페인이 활성화되면서 공원묘원마다 생화 비율이 확연히 높아졌습니다.
하지만 그 자리를 차지한 것은 국산이 아닌, 중국과 베트남 등지에서 밀려들어오는 값싼 수입산 꽃들입니다.
{공원묘원 인근 생화 상인/"수입이 많이 싸죠. (국내) 농가에서 나오면 보통 한 단이 2만원씩 나가는데 수입은 보통 한 1만6천원~1만7천원."}
창원의 이 국화농장도 3년 전까지는 한해 60만본씩 출하했지만 올해는 그 양이 3분의 1로 줄었습니다.
단계적인 관세 철폐로 해마다 수입산 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런 국화만 놓고 봤을 때, 지난해 중국과 베트남에서 2억송이의 국화가 수입됐습니다. 가격경쟁에서 밀리는 것은 물론 소비자들이 겉으로 봤을 때도 차이를 구별할 수 없습니다.
한 다발 기준 경매가가 9천원은 돼야적자를 면하는데 수입산은 이보다 훨씨 낮은 6천원에 가격이 형성됩니다.
여기에 길었던 폭염으로 꽃들 절반이 고사하면서 창원을 중심으로 70%의 국화 농가가 화훼농사를 접었습니다.
{전수익/국화농가 농민/"수지타산이 안 맞으니깐, 타작물로 전환을 하든지 그만큼 농가수도 줄어들고...화훼농가가 거의 다 전멸하지 않나 싶습니다. 그렇게 위기감을 느끼고 있는게 사실입니다."}
화훼농가가 줄이어 작목을 바꾸면 장기적으로 지역 화훼농업의 기반 자체가 흔들릴 수도 있는만큼, 화훼산업 고사를 막기 위한 실질적인 대책이 절실합니다. KNN 최한솔입니다.
영상취재 정창욱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최한솔 기자
choi@knn.co.kr
많이 본 뉴스
주요뉴스
-
역대급 황금연휴 시작... 부산역*공항 '인산인해'2025.10.03
-
조화 퇴출에도 수입산 공세... 화훼농가 한숨만2025.10.03
-
전공의 부족에 지역 공공의료 흔들2025.10.03
-
제106회 전국체전 공식채화식 열려2025.10.03
-
경주 APEC 개최에 부산 낙수 기대감2025.10.02
-
추석 대목 맞은 전통시장 ‘기대 반 우려 반’2025.10.02
-
"불황 속 도심 상권, 가성비 매장만 살아남았다"2025.10.02
-
퐁피두센터 분관 추진, 국민의힘 의원들도 '우려'2025.10.01
-
김해공항 자회사 파업...김해공항 운영 '빨간 불'2025.10.01
-
경찰 압수한 오토바이, 10대가 훔쳐 달아나2025.1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