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지리산 지켰다'...열흘 만에 산청*하동 산불 종료선언
김상진
입력 : 2025.03.30 17:56
조회수 : 832
0
0
<앵커>
4명이 숨지는 등, 14명의 사상자가 나고 2천명이 넘는 이재민을 발생시킨 산청*하동 산불이 발화 열흘 만에 마침내 주불이 잡혔습니다.
이에 맞춰, 경남도는 산불로 타격을 입은 주민들과 희생자 유족*부상자에 대한 지원계획을 발표했습니다.
김상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산림당국은 30일 낮 1시를 기해 경남 산청과 하동 산불의 주불이 잡혔다고 선언했습니다.
발화 열흘 만입니다.
{임상섭/산림청장 "13시부로 산청과 하동 지역의 주불이 진화되었다는 말씀을 드립니다.총 213시간이 걸렸습니다"}
역대 두번째로 길었던 산불은 막대한 피해를 남겼습니다.
창녕군 소속 산불진화대원과 공무원 등 4명이 숨지고, 10명이 중경상을 입었으며 발생한 이재민은 무려 2천 100여명에 이릅니다.
그래도 1호 국립공원인 지리산 천왕봉을 산불로부터 지켰습니다.
경북지역 산불이 잡히면서 가용 가능한 모든 진화인력과 장비를 총동원할 수 있었기 때문입니다.
주불진화에 맞춰 경남도는 긴급 지원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우선 피해가 컸던 산청 시천면*삼장면,하동 옥종면 주민 한사람당 30만원 씩 재난지원금을 지급합니다.
유족들과 부상자들에 대한 행정과 장례지원계획도 내놨습니다.
{박완수/경남도지사"특히 희생된 분들이 순직으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공무원 연금공단과도 협의를 해나가겠습니다"}
생계유지가 어려워진 가구에 대해서는 정부의 긴급복지 지원과 경남 희망지원금을 통해 생계비, 주거비 등을 지원하며,
100억원 규모의 경영안전자금과 469억원 규모의 지역사랑상품권 발행도 발표했습니다.
박완수 지사는 또 민간헬기 이착륙절차 간소화, 국립 남부권산불방지센터 설립 등, 산불대응 과정에서 드러난 문제점에 대한 제도개선도 촉구했습니다.
KNN 김상진입니다.
영상편집 정은희
4명이 숨지는 등, 14명의 사상자가 나고 2천명이 넘는 이재민을 발생시킨 산청*하동 산불이 발화 열흘 만에 마침내 주불이 잡혔습니다.
이에 맞춰, 경남도는 산불로 타격을 입은 주민들과 희생자 유족*부상자에 대한 지원계획을 발표했습니다.
김상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산림당국은 30일 낮 1시를 기해 경남 산청과 하동 산불의 주불이 잡혔다고 선언했습니다.
발화 열흘 만입니다.
{임상섭/산림청장 "13시부로 산청과 하동 지역의 주불이 진화되었다는 말씀을 드립니다.총 213시간이 걸렸습니다"}
역대 두번째로 길었던 산불은 막대한 피해를 남겼습니다.
창녕군 소속 산불진화대원과 공무원 등 4명이 숨지고, 10명이 중경상을 입었으며 발생한 이재민은 무려 2천 100여명에 이릅니다.
그래도 1호 국립공원인 지리산 천왕봉을 산불로부터 지켰습니다.
경북지역 산불이 잡히면서 가용 가능한 모든 진화인력과 장비를 총동원할 수 있었기 때문입니다.
주불진화에 맞춰 경남도는 긴급 지원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우선 피해가 컸던 산청 시천면*삼장면,하동 옥종면 주민 한사람당 30만원 씩 재난지원금을 지급합니다.
유족들과 부상자들에 대한 행정과 장례지원계획도 내놨습니다.
{박완수/경남도지사"특히 희생된 분들이 순직으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공무원 연금공단과도 협의를 해나가겠습니다"}
생계유지가 어려워진 가구에 대해서는 정부의 긴급복지 지원과 경남 희망지원금을 통해 생계비, 주거비 등을 지원하며,
100억원 규모의 경영안전자금과 469억원 규모의 지역사랑상품권 발행도 발표했습니다.
박완수 지사는 또 민간헬기 이착륙절차 간소화, 국립 남부권산불방지센터 설립 등, 산불대응 과정에서 드러난 문제점에 대한 제도개선도 촉구했습니다.
KNN 김상진입니다.
영상편집 정은희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김상진 기자
newstar@knn.co.kr
많이 본 뉴스
주요뉴스
-
일부 수해마을 주민 아픔딛고 다시 일상으로2025.08.15
-
금정산국립공원 지정..산청 산사태가 변수?2025.08.15
-
중견기업 도약 원하지만 혜택 축소가 발목2025.08.15
-
부산*경남에서도 제80주년 광복절 기념식 거행2025.08.15
-
광복 80년 만에 졸업장 받는 독립운동가들2025.08.14
-
부산 홈플러스 매장 2곳 동시에 사라진다2025.08.14
-
창녕갈릭버거 재출시, 경남 특산물 활용 제품 열풍2025.08.14
-
고수온 집단폐사 우려에 치어 방류2025.08.14
-
잦은 오보에 시민 '허탈'..갈수록 기상예보 안 맞는 이유는?2025.08.13
-
'동굴에서 피서' 외국인 몰리는 이색 관광2025.08.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