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취약계층도 아닌데...무료 경로식당 북적
주우진
입력 : 2025.02.12 20:50
조회수 : 180
0
0
<앵커>
경남도가 고령화 추세에 맞춰 무료 급식 확대 등 각종 노인 정책들을 경쟁적으로 내놓고 있습니다.
하지만 늘어나는 정책과 예산만큼 부실 집행의 우려도 커지고 있는데요, 반면 노인정책과 달리 청년정책은 속도가 좀처럼 나지 않아 걱정입니다.
주우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60세 이상 어르신들에게 무료 급식을 제공하는 곳입니다. 11시 30분부터 배식을 시작하는데 10분 전인 지금, 이미 어르신들로 빼곡합니다."
오전 9시부터 하나 둘 찾아와 대기하던 어르신들이 우르르 들어가고, 30분만에, 준비한 120인분이 동이 납니다.
{전복자/창원시 봉곡동 "네 만족해요 반찬도 잘 나오고, 다른데 비하면 반찬 잘 나오거든요"}
경남도는 취약계층 어르신의 끼니 걱정을 덜어주겠다며, 식사 지원에만 올해 270억 원의 예산을 편성했습니다.
양곡비 지원 2백억 원에다 복지관과 경로당의 무료 경로급식 예산도 늘려 식수 인원을 대폭 확대했습니다.
{김영선/경남도 복지여성국장 "경제적 어려움으로 끼니를 거르시는 어르신들이 한끼라도 든든하게 식사를 하실 수 있도록..."}
그런데 정작 꼭 필요한 저소득층 혜택이 아니라 공짜로 점심을 즐길 수 있는 서비스로 변질됐다는 게 문제입니다.
무료 경로급식소의 저소득층 지원이란 취지는 말뿐, 누구나 찾는 공짜 밥집으로 운영되는 곳이 많기 때문입니다.
{무료 급식 관계자 "돈이 크게(되게) 많지는 않아도 다 못 사는 사람 없습니다. 그런대로 살아요."}
급식 뿐 아니라 여가 등 각종 노인 복지 예산이 크게 늘어나면서, 이런 식으로 변질되는 사례가 적지 않습니다.
복지 정책이 노인층을 살리기는커녕 오히려 지역 상권에 피해를 주는 등 부작용을 더 키우기도 합니다.
{최영호/경남도의원 "공공시설을 지어서 피해를 주는지 안 주는지 이제는 우리가 고민을 할 때가 됐습니다. 시설도 워낙 많이 해줬기 때문에...복지시설이라고 해서 안에 헬스장 안 들어가는 곳이 없습니다. 그다음에 수영장이 생기면 목욕탕이 또 안됩니다."}
전방위로 확산되는 노인정책과는 반대로 미래세대인 청년층에 대한 행정력은 속도가 더딘 게 문제입니다.
올해 벌써 두달이 지나가지만 경남도는 각 실국별로 추진되는 청년 정책을 여태 취합조차 못했을 정도입니다.
폭은 넓지만 효과가 떨어지는 노인정책에 속도가 느려 제역할을 못한 청년정책까지, 후반기 체감 복지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경남도의 변신이 시급해보입니다.
KNN 주우진입니다.
경남도가 고령화 추세에 맞춰 무료 급식 확대 등 각종 노인 정책들을 경쟁적으로 내놓고 있습니다.
하지만 늘어나는 정책과 예산만큼 부실 집행의 우려도 커지고 있는데요, 반면 노인정책과 달리 청년정책은 속도가 좀처럼 나지 않아 걱정입니다.
주우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60세 이상 어르신들에게 무료 급식을 제공하는 곳입니다. 11시 30분부터 배식을 시작하는데 10분 전인 지금, 이미 어르신들로 빼곡합니다."
오전 9시부터 하나 둘 찾아와 대기하던 어르신들이 우르르 들어가고, 30분만에, 준비한 120인분이 동이 납니다.
{전복자/창원시 봉곡동 "네 만족해요 반찬도 잘 나오고, 다른데 비하면 반찬 잘 나오거든요"}
경남도는 취약계층 어르신의 끼니 걱정을 덜어주겠다며, 식사 지원에만 올해 270억 원의 예산을 편성했습니다.
양곡비 지원 2백억 원에다 복지관과 경로당의 무료 경로급식 예산도 늘려 식수 인원을 대폭 확대했습니다.
{김영선/경남도 복지여성국장 "경제적 어려움으로 끼니를 거르시는 어르신들이 한끼라도 든든하게 식사를 하실 수 있도록..."}
그런데 정작 꼭 필요한 저소득층 혜택이 아니라 공짜로 점심을 즐길 수 있는 서비스로 변질됐다는 게 문제입니다.
무료 경로급식소의 저소득층 지원이란 취지는 말뿐, 누구나 찾는 공짜 밥집으로 운영되는 곳이 많기 때문입니다.
{무료 급식 관계자 "돈이 크게(되게) 많지는 않아도 다 못 사는 사람 없습니다. 그런대로 살아요."}
급식 뿐 아니라 여가 등 각종 노인 복지 예산이 크게 늘어나면서, 이런 식으로 변질되는 사례가 적지 않습니다.
복지 정책이 노인층을 살리기는커녕 오히려 지역 상권에 피해를 주는 등 부작용을 더 키우기도 합니다.
{최영호/경남도의원 "공공시설을 지어서 피해를 주는지 안 주는지 이제는 우리가 고민을 할 때가 됐습니다. 시설도 워낙 많이 해줬기 때문에...복지시설이라고 해서 안에 헬스장 안 들어가는 곳이 없습니다. 그다음에 수영장이 생기면 목욕탕이 또 안됩니다."}
전방위로 확산되는 노인정책과는 반대로 미래세대인 청년층에 대한 행정력은 속도가 더딘 게 문제입니다.
올해 벌써 두달이 지나가지만 경남도는 각 실국별로 추진되는 청년 정책을 여태 취합조차 못했을 정도입니다.
폭은 넓지만 효과가 떨어지는 노인정책에 속도가 느려 제역할을 못한 청년정책까지, 후반기 체감 복지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경남도의 변신이 시급해보입니다.
KNN 주우진입니다.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https://v.knn.co.kr/reporter/2024/08/08/23482051-a844-42cf-a0b2-33cce6e5c3de.jpg)
주우진 기자
wjjoo@knn.co.kr
많이 본 뉴스
주요뉴스
-
취약계층도 아닌데...무료 경로식당 북적2025.02.12
-
30년 병원부지 개발사 바뀌면서 아파트로, 특혜 의혹2025.02.12
-
'화장장 알박기'..예약 시스템 보강 절실2025.02.12
-
[단독]"자리 없어 5일장인데.." '화장장 알박기' 얌체 성행2025.02.11
-
"믿는 도끼에 발등" 10년 넘게 믿은 종업원이 돈 빼돌려2025.02.12
-
샀다하면 10만원 훌쩍, 장보기 겁난다2025.02.11
-
[단독]오시리아 알짜 부지 법적 공방, 계약해지 절차 논란2025.02.11
-
PK 출신 대선 후보군 주목2025.02.11
-
세계적 건축가 합류..이기대예술공원 본격 추진2025.02.11
-
힐스테이트 창원센트럴 등 잇단 사고에 경남도 점검실시2025.0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