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사회

금정산국립공원 지정 속도, 현실은 '동상이몽'

김건형 입력 : 2025.02.08 19:44
조회수 : 1458
<앵커>
전국 광역도시권 가운데 국립공원이 없는 곳은 부산이 유일합니다.

답보상태에 있던 금정산국립공원 지정이 최근 속도를 내기 시작했는데 부산,경남간 입장차가 변수입니다.

김건형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국가 생태축 가운데 하나인 낙동정맥 끝자락 금정산!


생태적 가치는 물론 1백여점의 문화자원은 기존 국립공원 23곳과 비교해도 2번째 수준입니다.

지난 2006년 시민사회에서 시작된 국립공원 지정 움직임은,

2019년 부산시가 환경부에 지정을 건의하면서 본격화됐습니다.

{강상인/금정산국립공원시민추진본부 상임대표/"전 국토(균형) 개발로 보더라도 동남권에도 국립공원이 있어야 되고, 산악형 도심형 국립공원은 북한산과 부산 (금정산뿐)입니다. 아주 이것이 중요합니다."}

80%에 달하는 사유지와 사찰 소유 부지가 걸림돌이었는데 최근 범어사가 협력을 약속하면서 탄력을 받았습니다.

보전가치가 낮은 지역들을 제외하는 구역 조정으로 일부 주민들의 반발도 누그러졌습니다.

부산시와 환경부는 지난해 12월 공원계획안에 대한 공청회와 주민설명회를 열고 주민공람까지 마치며 추진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부산시와 환경부 의지처럼 속도를 낼 수 있을지 아직 속단하긴 이릅니다.

현재 공원계획안을 보면 전체 면적의 20% 가량이 경남 양산시에 해당되는데 국립공원지정에 있어 부산과는 온도차가 뚜렷합니다."

양산시 역시 지난달(1월) 주민설명회를 열고 주민공람도 끝내긴 했습니다.

그럼에도 주민 의견수렴과 합의가 더 필요하다는 입장입니다.

이미 4곳의 국립공원이 있는 경남도는 보다 더 신중합니다.

광역취수원 문제 등 부산과 연계된 다른 현안들과 다함께 논의해봐야된다는 태도입니다.

지자체들은 이달(2월) 안에 공식의견을 환경부에 제출합니다.

{이동흡/부산시 공원도시과장/"양산시와 경남도에 대해서 우리 부산시도 그렇고 환경부도 주요 쟁점 요소에 대해서는 적극적으로 설명하고 협상을 진행할 계획으로 있습니다."}

올 상반기 안에 금정산국립공원 지정,고시까지 마친다는 환경부 계획이 순조롭게 진행될지 관심사입니다.

KNN 김건형입니다.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저작권자 © 부산경남대표방송 KN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