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사회

[주간시정] 국감 계기로 부산시 공무원 갈등 등

표중규 입력 : 2024.10.30 07:42
조회수 : 1000
<앵커>
한주동안 부산시정의 이모저모를 살펴보는 주간시정 순서입니다.

오늘은 표중규 기자 나와있습니다.

지난주까지 국감이었죠. 그런데 이번 국감을 계기로 시청 공무원들의 정무직들에 대한 불만이 공개적으로 터져나왔다면서요?}

네 국감을 치르면서 자료요청이 쏟아지는거야 어제오늘일이 아닙니다만 그 과정에서 어공들 그러니까 정무라인에 대한 불만이 표출돼 나왔습니다. 쌓이다 쌓이다 터져나왔다는 해석도 있습니다.

이번 국감에서 국회에서 부산시에 요구한 자료가 5백건, 6백건이다 아니다 그 이상이다 라는 말이 나올 정도다보니 부산시 공무원들 부담이 이만저만이 아니었습니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정무적으로 조율해서 사전에 해결할 수 있는 자료까지 무차별 요구했다는 불만이 터져나왔는데 이 과정에서 정무직들이 제 역할을 했는지에 대한 문제제기가 노조게시판을 통해 공개적으로 제기됐습니다.

노조게시판에서는 정무라인 간부들은 뭐하는 사람이냐, 전임 시장때 정무라인보다 더하면 더했지 덜하지는 않다는 날선 표현까지 나왔는데요.

특히 올초 워스트 공무원으로 3회 연속 지목받은 공무원을 정무직으로 임명하는 과정에서 정무라인 일부가 아예 부산시청 공무원 조직과 등을 돌린거 아니냐는 목소리도 나왔습니다.

실제로 최근 부산시 안에서 노조에 가입이 안 되는 5급 이상 공무원들이나 산하기관 관계자들에게 일부 정무라인이 과도한 비판을 쏟아낸다는 이야기가 공공연히 나돌기도 했습니다.

공무원 시험을 통해 공직사회를 지탱하는 99%의 늘공, 즉 늘 공무원인 부산시 공무원조직이
정무직으로 대변되는 어공, 어쩌다 공무원들과 서로 힘을 합쳐도 모자랄판에 이렇게 갈등을 빚는게 민선8기 부산 시정에 과연 도움이 될지, 부담이 될지 우려를 낳는게 사실입니다.

{앵커:네 노조에 가입된 직원들은 하위직의 고충을 토로할데라도 있다지만 5급부터는 그야말로 하소연할데도, 최소한의 울타리도 없다는 이야기까지 나온다고 하는데요.

이제 민선8기 하반기 성과를 내야할시긴인만큼 앞으로 좀 더 화학적으로 잘 결합할 수 있는, 그런 부산시 공직사회의 모습 기대해보겠습니다.

다음 소식은 부산 비스텝 원장과 RISE 센터장 임명이네요. 이번주 월요일 동시에 임명됐다면서요?}

네 이전에도 이 두 기관의 수장이 어떤 인물이 오는가가 부산 지역 대학의 미래와 기업 연구개발의 성과를 좌우하게 될거라고 말씀드렸는데 이번에 모두 부산지역 인사들로 결정이 났습니다.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습니다.

비스텝 원장은 김영부 동명대 교수가 임명됐습니다. 김원장은 지난해까지 부산테크노파크에서 지산학협력센터장 등 단장급을 맡고 있다가 올해 동명대로 돌아갔었는데, 이번에 비스텝 원장으로 임명되면서 1년만에 R&D계의 수장으로 돌아왔습니다.

비스텝 산하에 설립될 RISE센터장에는 30여년동안 부산대 기계공학부 교수를 역임한 이준현 명예교수가 임명됐는데요, RISE센터가 내년부터 부산지역 대학 예산을 집행하는 곳인만큼, 지역대학과 과학기술계에서 오래 활동했고 R&D에 폭넓은 경험과 네트워크을 가진 적합한 인사라는 평을 받고 있습니다.

부산시에서 비스텝 원장과 RISE 센터장을 전국 차원에서의 경쟁력을 갖춘 수도권쪽 인사, 대학총장급을 데려오느냐 아니면 부산에서 오랜 경험과 인맥을 갖춘 지역인사를 임명하느냐가에 따라 앞으로의 정책방향이 상당히 달라질 수 밖에 없기때문에 이 두 기관장에 대한 관심이 상당히 높았는데요.

특히 이번 김영부 비스텝 원장의 경우 비스텝과 어떻게보면 경쟁관계에 있던 테크노파크의 단장급이 승진이동하는 모양새가 되면서 비스텝 안팎에서는 논란이 좀 일었던게 사실입니다

또 RISE 센터의 경우 막판까지 수도권의 대학총장급을 끌어오겠다고 부산시가 공언했던만큼,그런 입장이 단순히 연막이었던건지 아니면 실제 비스텝 산하에 있는 센터장이라는 위상때문에 정책적인 혼선이 생긴건지를 놓고 여러가지 뒷말이 나오는것도 사실입니다

하지만 이런 상황과는 별개로 김영부 원장은 취임직전 통화에서 앞으로 비스텝에서 일을 열심히 잘해보겠다는 포부를 밝혔고, 이준현 센터장 역시 다른 시도보다 출발이 늦은만큼 지역대학을 살리기 위해 근본적인 체질부터 개선해보겠다며 의욕을 보였습니다

지역대학의 위기, 지역 R&D의 위축을 단숨에 풀 명약을 내놓기는 힘들겠지만 적어도 부산시, 그리고 지역기관이나 대학, 전문가들과 튼튼한 연결고리를 갖고 있는 지역인사들인만큼 부산에 맞는 해법은 금방 제시하지 않을까 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습니다.

{앵커:네 부산시가 밝혔던것처럼 수도권 인사면 수도권과 경쟁하는 정책을, 부산시 인사면 부산의 경쟁력을 높이는 정책을 쓸거라는 예상이 많았습니다.

이제 두 명 다 부산에 특화된 전문가들로 임명된만큼 앞으로 부산시가 생각하는 교육정책, 연구개발정책을 함께 잘 만들어가길 기대해보겠습니다.

오늘 순서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표중규 기자와 함께 했습니다.}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저작권자 © 부산경남대표방송 KN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