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주말극장가] '트랩'
강유경
입력 : 2024.09.20 07:51
조회수 : 578
0
0
<앵커>
반전 스릴러 영화의 장인, M.나이트 샤말란 감독의 신작 '트랩'이 개봉했습니다. 식스센스급, 반전으로 흥행몰이에 성공할 수 있을지, 함께 만나보시죠.}
{ 서둘러, 빨리요!/잠깐만! 신발 끈 좀 묶고/아재 개그 할 시간 없어요, 가요!/미안!/드디어 입성!/ 레이디 레이븐}
10대 딸과 함께 인기 팝스타의 콘서트장을 찾은 자상한 아빠, '쿠퍼'
딸의 우상인 팝스타 레이디 레이븐의 콘서트를 신나게 즐기는데요.
잠시 밖을 나온 쿠퍼의 눈에 보이는 콘서트장 곳곳의 수상한 모습들.
{ 밖에 경찰차랑 저 카메라들 다 뭐죠?/말하면 안 되는데/'도살자' 알아요?/미친 연쇄 토막살인마?/FBI가 정보를 입수했는데 놈이 오늘 여기 온대요/그래서 함정을 판 거죠/}
그렇습니다! 3만 명의 팬이 함께한 이 콘서트장은 바로, 300명의 경찰에 둘러싸인 거대한 함정이었습니다.
{ 가정보안시스템/ 지하실/ 살려주세요!/아빠?/아빠?/아빠/미안, 라일리 뭐랬니?}
이들이 찾는 연쇄살인마는 바로, 쿠퍼, 자신 이었는데요.
수많은 관객과 경찰을 따돌리고 딸과 함께 무사히 이 덫에서 탈출할 수 있을지...
영화 '트랩'이었습니다.
2023년 7월, 첫 솔로 싱글 'Seven(세븐)' 발표 이후 전 세계 음악 차트 1위에 오르며 글로벌 팝스타로 거듭난 방탄소년단 정국. 'K-팝 솔로 최초','유일무이' 등 각종 수식어가 따라오는데요.
{ 저는 천재라고 생각 안 합니다 절대로/부족한 면이 너무 잘 보이니까/더 잘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도 있고}
아미에게 부끄럽지 않은, 자랑스러운 아티스트가 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고 성장해 가는
BTS 정국의 8개월 간의 활동기가 다큐멘터리 영화로 개봉했습니다.
{ BTS의 힘 없이/ 나 한 명으로/사람들한테 인정을 받을까?}
여전히 하고 싶은 것도, 보여줄 것도 많은 정국의 이야기,
영화, '정국:아이 엠 스틸'에서 만나보시죠.
{ 여러분은 지금, 어떤 사랑을 하고 계십니까? 인류의 영원한 난제, '사랑'이라는 수수께끼를 탐구하는 영화 한 편, 계속해서 만나보시죠.}
{ 사랑의 탐구/ 청소년 관람 불가/ 감독: 모니아 초크리/ 주연: 마갈리 레핀 블론도,피에르 이브 카디날 외}
{플라톤에 따르면 사랑은 본질적으로/욕망과 직결됩니다}
철학강사 '소피아'는 10년이 넘은 오래된 연인, '자비에'와 편안한 일상을 함께하는데요.
어느 날, 별장수리를 위해 인테리어 시공업자 '실뱅'을 만나, 자신과 모든 면에서 정반대인 그에게 걷잡을 수 없이 빠져듭니다.
{ 제 여자 친구요? 사냥과 낚시죠/자연이요/전 낭만주의자예요/사랑은 단순해야죠/괜찮아요?/네}
지적인 대화가 잘 통하는 안정적인 사랑! 설렘과 본능에 이끌린 불 같은 사랑!
정반대인 두 가지 형태의 사랑에 빠진 소피아를 통해
사랑이 도대체 무엇인지, 정답이 없는 문제의 답을 함께 탐구해 보시죠!
{ 아침저녁으로 불어오는 시원한 바람에, 로맨스 영화가 끌리는 계절이 찾아왔습니다. 더 많은 사랑 이야기를 극장에서 만나볼 수 있길 바라면서 저는 여기서 인사드릴게요. 지금까지 OOO였습니다.}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강유경 작가
merlot@knn.co.kr
많이 본 뉴스
주요뉴스
-
'노룩' 공항 감정평가, 사업 늦어지나2025.04.23
-
새마을금고 '불법 대출 리베이트'..3명 구속 송치2025.04.23
-
오시리아 관광단지, 부산도시공사 잇따른 부실 대응 논란2025.04.23
-
해사법원 본원*HMM 부산 유치 기대2025.04.23
-
대기업 의존도는 높은데... 경남 상생 모델 찾아야2025.04.23
-
관세장벽, 제조업계 가격경쟁력 우려2025.04.22
-
산청 산불 피해 복구 시작2025.04.22
-
사상~하단선 땅꺼짐 외에도 문제 더 드러나2025.04.22
-
사상하단선 2공구 땅꺼짐, 부실 시공*감독 탓2025.04.22
-
"기침에 고열까지" 소아청소년 B형 독감환자 급증 비상2025.04.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