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사회

대기업 의존도는 높은데... 경남 상생 모델 찾아야

주우진 입력 : 2025.04.23 20:54
조회수 : 169
<앵커>
경남은 제조업 중심의 산업 구조상 대기업 의존도가 매우 높은데요

하지만 반대로 한화 등 경남에 자리잡은 대기업들의 지역기여는 턱없이 낮은게 현실입니다.

인구 소멸에 급변하는 국제 정세, 또 기술 혁신 요구 등 위기 극복을 위해 이제 경남도가 직접 나서 대기업과 경남형 상생모델을 만들기로 했습니다.

주우진 기자입니다.

<기자>
인구 1700명으로 소멸위기에 처했던 강원 평창군 계촌마을은 축제 하나로 수만명이 찾는 관광지가 됐습니다.

폐교 위기 속 창단한 시골 초등학교 오케스트라에 현대차그룹이 후원하면서, 클래식 특화마을로 변신했습니다.

서울시가 최초로 조성한 일반산단인 마곡산단은 도시 계획단계부터 LG그룹과 협업해 성공한 사례로 꼽힙니다.

정주여건 개선 등 서울시의 지원과 기업 투자가 어우러져, 연구 인력 중심의 신산업 생태계를 만들어냈습니다.

인구 소멸과 국제 정세 급변 등 복합적인 위기 속에 지역과 대기업의 상생이 가장 절실한 곳이 바로 경남입니다

전체 기업수의 0.1%이면서 매출의 35.5%를 차지할 정도로 지역 경제의 대기업 의존도가 높기 때문입니다.

{배은송/경남연구원 연구위원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인력 수급의 애로, 국제 정세 변화 등 이러한 문제들은 기업의 경영 애로사항으로 발생될 수 있고 이는 지역에는 도시사회문제로 연결되는 문제가 됩니다."}

경남도와 도내 지자체 5곳, 대기업 14곳 등 23곳이 경남 경제라운드테이블이란 이름으로 한자리에 앉았습니다.

민관 협력을 위한 공식 소통기구로, 경남형 상생모델을 찾기로 했습니다.

{박완수/경남도지사 "서로 같이 노력하면 기업도 발전하고 지역도 발전하는 서로 윈윈하는 계기가 되지 않겠나 하는 생각을 합니다."}

우선, 전통시장 이용 장려 등 기업들의 기존 사회공헌 활동을 확대하는 것부터 시작한다는 계획입니다.

{김동철/두산에너빌리티 부사장 "저희 회사 직원들이 이 지역 주민들로 구성이 돼 있기 때문에 이 지역사회가 저희한테는 굉장히 소중하고 중요한 지역입니다. 그래서 기업과 같이 상생할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어야 하기 때문에 기업이 사회공헌에 대한 부분들을 소홀히 할 수없는..."}

기업 애로 해소 등 행정적인 지원 약속 아래, 대기업들이 지역 상생을 위한 과감한 기여에 나설지 주목됩니다.
KNN 주우진 입니다.

영상취재 안명환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저작권자 © 부산경남대표방송 KN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