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여름 휴가철 해양 사고 2배 급증, 안전사고 '위험'
박명선
입력 : 2024.07.19 18:03
조회수 : 662
0
0
<앵커>
여름철 바다를 찾는 사람들이 늘면서 해마다 7,8월 휴가철이면 해양 안전사고도 급증하고 있습니다.
특히 수상레저 스포츠는 사고 위험이 높고 돌발상황에 대처하기도 쉽지않아 안전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박명선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지난 14일 경남 남해 해상에서 스쿠버다이빙을 하던 40대가 의식을 잃고 쓰러져 숨졌습니다.
지난 7일에는 경남 거제 해상에서 수상오토바이를 타던 50대 1명이 바다에 빠져 숨졌습니다.
또 레저용 카약을 타던 40대 남성이 바다에 빠져 긴급 구조되고, 고무보트를 타던 20대 2명이 표류하다가 구조됐습니다.
이처럼 최근 3년 동안 여름철 발생한 해양 사고는 경남 통영에서만 33건, 전체의 40%에 이릅니다.
특히 7월에 사망사고가 4건 발생했고 평소보다 해양사고는 2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전국적으로도 7월에서 9월 사이 발생한 해양 사고가 454건에 이릅니다.
{강황인/통영해경 안전관리계장/"익수자를 발견하면 구조 이후 숨을 쉴수없는 경우가 있습니다. 심장이 정지돼 있을때 깍지를 끼고 가슴 부위에 30번을 압박하는 방법으로 시행을 하고 꼭 먼저 119 신고를 해야합니다."}
여름 휴가철마다 사고가 잇따르면서 해경은 여름철 해양 사고를 예방하는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시민들을 대상으로 심폐소생술 등 응급처치, 구명조끼 착용법 등 안전체험 교육도 실시합니다.
{박은혜, 박성진/경남 통영/"평소 심폐소생술을 알고는 있었지만, 체험을 통해서 많은 시민들을 도울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오라희,추서율/제석초 2학년/"(심폐소생술은) 깍지를 껴서 누르는 것을 처음알아서 신기했고, 구명조끼가 아주 중요하다는것을 느꼈습니다."}
해경은 무엇보다도 여름철 물놀이에 나서는 피서객들이 구명조끼 착용 등 안전수칙을 반드시 지킬 것을 당부하고 있습니다.
KNN 박명선입니다.
여름철 바다를 찾는 사람들이 늘면서 해마다 7,8월 휴가철이면 해양 안전사고도 급증하고 있습니다.
특히 수상레저 스포츠는 사고 위험이 높고 돌발상황에 대처하기도 쉽지않아 안전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박명선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지난 14일 경남 남해 해상에서 스쿠버다이빙을 하던 40대가 의식을 잃고 쓰러져 숨졌습니다.
지난 7일에는 경남 거제 해상에서 수상오토바이를 타던 50대 1명이 바다에 빠져 숨졌습니다.
또 레저용 카약을 타던 40대 남성이 바다에 빠져 긴급 구조되고, 고무보트를 타던 20대 2명이 표류하다가 구조됐습니다.
이처럼 최근 3년 동안 여름철 발생한 해양 사고는 경남 통영에서만 33건, 전체의 40%에 이릅니다.
특히 7월에 사망사고가 4건 발생했고 평소보다 해양사고는 2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전국적으로도 7월에서 9월 사이 발생한 해양 사고가 454건에 이릅니다.
{강황인/통영해경 안전관리계장/"익수자를 발견하면 구조 이후 숨을 쉴수없는 경우가 있습니다. 심장이 정지돼 있을때 깍지를 끼고 가슴 부위에 30번을 압박하는 방법으로 시행을 하고 꼭 먼저 119 신고를 해야합니다."}
여름 휴가철마다 사고가 잇따르면서 해경은 여름철 해양 사고를 예방하는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시민들을 대상으로 심폐소생술 등 응급처치, 구명조끼 착용법 등 안전체험 교육도 실시합니다.
{박은혜, 박성진/경남 통영/"평소 심폐소생술을 알고는 있었지만, 체험을 통해서 많은 시민들을 도울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오라희,추서율/제석초 2학년/"(심폐소생술은) 깍지를 껴서 누르는 것을 처음알아서 신기했고, 구명조끼가 아주 중요하다는것을 느꼈습니다."}
해경은 무엇보다도 여름철 물놀이에 나서는 피서객들이 구명조끼 착용 등 안전수칙을 반드시 지킬 것을 당부하고 있습니다.
KNN 박명선입니다.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박명선 기자
pms@knn.co.kr
많이 본 뉴스
주요뉴스
-
'노룩' 공항 감정평가, 사업 늦어지나2025.04.23
-
새마을금고 '불법 대출 리베이트'..3명 구속 송치2025.04.23
-
오시리아 관광단지, 부산도시공사 잇따른 부실 대응 논란2025.04.23
-
해사법원 본원*HMM 부산 유치 기대2025.04.23
-
대기업 의존도는 높은데... 경남 상생 모델 찾아야2025.04.23
-
관세장벽, 제조업계 가격경쟁력 우려2025.04.22
-
산청 산불 피해 복구 시작2025.04.22
-
사상~하단선 땅꺼짐 외에도 문제 더 드러나2025.04.22
-
사상하단선 2공구 땅꺼짐, 부실 시공*감독 탓2025.04.22
-
"기침에 고열까지" 소아청소년 B형 독감환자 급증 비상2025.04.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