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유스호스텔인가 웨딩홀인가?
조진욱
입력 : 2024.06.10 20:51
조회수 : 4004
0
0
<앵커>
청소년들이 여행을 떠났을 때 이용하는 숙박시설이 바로 유스호스텔입니다.
국내 최대 규모 유스호스텔이 부산 도심 한가운데 들어섰는데, 실상을 봤더니 호텔과 다를 게 없었습니다.
주말엔 고급 웨딩홀 영업을 하면서 주객이 전도됐다는 지적입니다.
조진욱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2년 전부터 부산에서 운영중인 한 웨딩홀입니다.
560대 규모의 넓은 주차장과 층고 높은 5개 대형홀을 갖춰 부산 대표 고급 예식장으로 꼽힙니다.
지난해 열린 예식만 544건!
주말 기준으로 하루 5건 꼴인데, 올해는 더 많습니다.
{엄미영/웨딩플래너/ "호텔보다 컨디션으로 따지면 더 좋다는 분도 계시고, 신부님들의 로망에 어느 정도 충족되는 장소고, 도심안에 있고 외곽도 아니고, 식사 컨디션도 좋고 장소도 너무 예쁘고..."}
"자칫 예식장으로 오해할 수 있지만 이곳은 엄연히 청소년 수련시설인, 유스호스텔입니다.
집회시설로 마련된 곳에서 주말마다 결혼식이 열리는 건데, 청소년과 무관하지만 법적으로 문제없습니다."
객실수에 대한 기준이 없다보니 전체 시설의 15%만 객실일뿐, 절반은 주차장입니다.
"그마저도 객실 이용객 가운데 40%만 청소년으로, 60% 이상을 요구하는 유스호스텔 기준에 안 맞습니다."
용도상 자연녹지인 이곳은 관광시설인 호텔은 불가능하지만 청소년 시설인 유스호스텔은 지을 수 있습니다.
자연녹지는 법적으로 4층 이하 건물이지만, 관할 구청은 공익을 이유로 층수를 더 높여줬습니다.
공익을 내세웠지만, 본업인 유스호스텔보다 사실상 웨딩홀이 주가 되면서 주객이 전도됐다는 지적입니다.
{여성가족부 관계자/"웨딩업은 맞지 않다고 본다...."}
업체는 유스호스텔 인허가나 운영은 모두 법에 맞게 진행했고 웨딩홀 사용도 문제없단 입장입니다.
또 청소년 관련 기부만 1억 원 넘게 하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유스호스텔 대표/"웨딩업을 하면서 본업인 청소년사업 하는 게 지장있냐. 없습니다. 웨딩사업을 통해 발생된 수익을 환원을 많이하고 있다, 특히나 지역의 청소년들에게 쓰고 있다."}
법의 맹점을 노린 청소년 시설에 대한 제도 마련이 절실해보입니다.
KNN 조진욱입니다.
청소년들이 여행을 떠났을 때 이용하는 숙박시설이 바로 유스호스텔입니다.
국내 최대 규모 유스호스텔이 부산 도심 한가운데 들어섰는데, 실상을 봤더니 호텔과 다를 게 없었습니다.
주말엔 고급 웨딩홀 영업을 하면서 주객이 전도됐다는 지적입니다.
조진욱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2년 전부터 부산에서 운영중인 한 웨딩홀입니다.
560대 규모의 넓은 주차장과 층고 높은 5개 대형홀을 갖춰 부산 대표 고급 예식장으로 꼽힙니다.
지난해 열린 예식만 544건!
주말 기준으로 하루 5건 꼴인데, 올해는 더 많습니다.
{엄미영/웨딩플래너/ "호텔보다 컨디션으로 따지면 더 좋다는 분도 계시고, 신부님들의 로망에 어느 정도 충족되는 장소고, 도심안에 있고 외곽도 아니고, 식사 컨디션도 좋고 장소도 너무 예쁘고..."}
"자칫 예식장으로 오해할 수 있지만 이곳은 엄연히 청소년 수련시설인, 유스호스텔입니다.
집회시설로 마련된 곳에서 주말마다 결혼식이 열리는 건데, 청소년과 무관하지만 법적으로 문제없습니다."
객실수에 대한 기준이 없다보니 전체 시설의 15%만 객실일뿐, 절반은 주차장입니다.
"그마저도 객실 이용객 가운데 40%만 청소년으로, 60% 이상을 요구하는 유스호스텔 기준에 안 맞습니다."
용도상 자연녹지인 이곳은 관광시설인 호텔은 불가능하지만 청소년 시설인 유스호스텔은 지을 수 있습니다.
자연녹지는 법적으로 4층 이하 건물이지만, 관할 구청은 공익을 이유로 층수를 더 높여줬습니다.
공익을 내세웠지만, 본업인 유스호스텔보다 사실상 웨딩홀이 주가 되면서 주객이 전도됐다는 지적입니다.
{여성가족부 관계자/"웨딩업은 맞지 않다고 본다...."}
업체는 유스호스텔 인허가나 운영은 모두 법에 맞게 진행했고 웨딩홀 사용도 문제없단 입장입니다.
또 청소년 관련 기부만 1억 원 넘게 하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유스호스텔 대표/"웨딩업을 하면서 본업인 청소년사업 하는 게 지장있냐. 없습니다. 웨딩사업을 통해 발생된 수익을 환원을 많이하고 있다, 특히나 지역의 청소년들에게 쓰고 있다."}
법의 맹점을 노린 청소년 시설에 대한 제도 마련이 절실해보입니다.
KNN 조진욱입니다.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조진욱 기자
jojo@knn.co.kr
많이 본 뉴스
주요뉴스
-
대형 재난에도 지휘는 아날로그...첨단 지휘차량 '눈길'2025.09.23
-
수도권 일극체제 부추기는 '에너지 고속도로' 정책2025.09.23
-
하락세 멈춘 지역 아파트값...알짜 단지에 관심?2025.09.23
-
고리원전 2호기 수명연장 여부 '25일' 결정2025.09.22
-
고급리조트서 쏟아지는 오수...정부는 바다숲 조성?2025.09.22
-
거창 감악산 온통 보랏빛, 아스타 국화 만발2025.09.22
-
부산 바다 위 자전거 축제... '세븐브릿지 투어' 성황2025.09.21
-
<자랑스러운 부산경남>100년 전통 진주 실크... 산업 다변화로 재도약2025.09.21
-
수확 앞두고 탄저병 확산, 단감 농가 한숨만2025.09.20
-
공공기관 중심 재사용컵 도입, 시민 목소리 커져2025.09.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