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유스호스텔인가 웨딩홀인가?
조진욱
입력 : 2024.06.10 20:51
조회수 : 3576
0
0
<앵커>
청소년들이 여행을 떠났을 때 이용하는 숙박시설이 바로 유스호스텔입니다.
국내 최대 규모 유스호스텔이 부산 도심 한가운데 들어섰는데, 실상을 봤더니 호텔과 다를 게 없었습니다.
주말엔 고급 웨딩홀 영업을 하면서 주객이 전도됐다는 지적입니다.
조진욱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2년 전부터 부산에서 운영중인 한 웨딩홀입니다.
560대 규모의 넓은 주차장과 층고 높은 5개 대형홀을 갖춰 부산 대표 고급 예식장으로 꼽힙니다.
지난해 열린 예식만 544건!
주말 기준으로 하루 5건 꼴인데, 올해는 더 많습니다.
{엄미영/웨딩플래너/ "호텔보다 컨디션으로 따지면 더 좋다는 분도 계시고, 신부님들의 로망에 어느 정도 충족되는 장소고, 도심안에 있고 외곽도 아니고, 식사 컨디션도 좋고 장소도 너무 예쁘고..."}
"자칫 예식장으로 오해할 수 있지만 이곳은 엄연히 청소년 수련시설인, 유스호스텔입니다.
집회시설로 마련된 곳에서 주말마다 결혼식이 열리는 건데, 청소년과 무관하지만 법적으로 문제없습니다."
객실수에 대한 기준이 없다보니 전체 시설의 15%만 객실일뿐, 절반은 주차장입니다.
"그마저도 객실 이용객 가운데 40%만 청소년으로, 60% 이상을 요구하는 유스호스텔 기준에 안 맞습니다."
용도상 자연녹지인 이곳은 관광시설인 호텔은 불가능하지만 청소년 시설인 유스호스텔은 지을 수 있습니다.
자연녹지는 법적으로 4층 이하 건물이지만, 관할 구청은 공익을 이유로 층수를 더 높여줬습니다.
공익을 내세웠지만, 본업인 유스호스텔보다 사실상 웨딩홀이 주가 되면서 주객이 전도됐다는 지적입니다.
{여성가족부 관계자/"웨딩업은 맞지 않다고 본다...."}
업체는 유스호스텔 인허가나 운영은 모두 법에 맞게 진행했고 웨딩홀 사용도 문제없단 입장입니다.
또 청소년 관련 기부만 1억 원 넘게 하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유스호스텔 대표/"웨딩업을 하면서 본업인 청소년사업 하는 게 지장있냐. 없습니다. 웨딩사업을 통해 발생된 수익을 환원을 많이하고 있다, 특히나 지역의 청소년들에게 쓰고 있다."}
법의 맹점을 노린 청소년 시설에 대한 제도 마련이 절실해보입니다.
KNN 조진욱입니다.
청소년들이 여행을 떠났을 때 이용하는 숙박시설이 바로 유스호스텔입니다.
국내 최대 규모 유스호스텔이 부산 도심 한가운데 들어섰는데, 실상을 봤더니 호텔과 다를 게 없었습니다.
주말엔 고급 웨딩홀 영업을 하면서 주객이 전도됐다는 지적입니다.
조진욱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2년 전부터 부산에서 운영중인 한 웨딩홀입니다.
560대 규모의 넓은 주차장과 층고 높은 5개 대형홀을 갖춰 부산 대표 고급 예식장으로 꼽힙니다.
지난해 열린 예식만 544건!
주말 기준으로 하루 5건 꼴인데, 올해는 더 많습니다.
{엄미영/웨딩플래너/ "호텔보다 컨디션으로 따지면 더 좋다는 분도 계시고, 신부님들의 로망에 어느 정도 충족되는 장소고, 도심안에 있고 외곽도 아니고, 식사 컨디션도 좋고 장소도 너무 예쁘고..."}
"자칫 예식장으로 오해할 수 있지만 이곳은 엄연히 청소년 수련시설인, 유스호스텔입니다.
집회시설로 마련된 곳에서 주말마다 결혼식이 열리는 건데, 청소년과 무관하지만 법적으로 문제없습니다."
객실수에 대한 기준이 없다보니 전체 시설의 15%만 객실일뿐, 절반은 주차장입니다.
"그마저도 객실 이용객 가운데 40%만 청소년으로, 60% 이상을 요구하는 유스호스텔 기준에 안 맞습니다."
용도상 자연녹지인 이곳은 관광시설인 호텔은 불가능하지만 청소년 시설인 유스호스텔은 지을 수 있습니다.
자연녹지는 법적으로 4층 이하 건물이지만, 관할 구청은 공익을 이유로 층수를 더 높여줬습니다.
공익을 내세웠지만, 본업인 유스호스텔보다 사실상 웨딩홀이 주가 되면서 주객이 전도됐다는 지적입니다.
{여성가족부 관계자/"웨딩업은 맞지 않다고 본다...."}
업체는 유스호스텔 인허가나 운영은 모두 법에 맞게 진행했고 웨딩홀 사용도 문제없단 입장입니다.
또 청소년 관련 기부만 1억 원 넘게 하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유스호스텔 대표/"웨딩업을 하면서 본업인 청소년사업 하는 게 지장있냐. 없습니다. 웨딩사업을 통해 발생된 수익을 환원을 많이하고 있다, 특히나 지역의 청소년들에게 쓰고 있다."}
법의 맹점을 노린 청소년 시설에 대한 제도 마련이 절실해보입니다.
KNN 조진욱입니다.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조진욱 기자
jojo@knn.co.kr
많이 본 뉴스
주요뉴스
-
교육부, 무단 결석 의대생 제적 절차 돌입2025.05.02
-
제64회 경남도민체육대회 개막2025.05.02
-
제28회 하동야생차문화축제 개막2025.05.02
-
통영 지역경기 살리기 행사, 지역상권에 오히려 독?2025.05.02
-
황매산 철쭉제 개막, 다음주 절정 예상2025.05.02
-
수입 축산물 2천톤 국내산 둔갑, 납품업자 3명 구속2025.05.02
-
[현장]날개 단 롯데 자이언츠..주변 상권도 '후끈'2025.05.02
-
시의회 "시민들과 함께 행동할 것" 현대건설 규탄2025.05.01
-
성탄절 여고생 살해 10대 소년법 최고형 선고2025.05.01
-
상생 의지 헛구호 경남 대기업 문화예술 투자 무관심2025.0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