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글로벌허브1.> 부산글로벌허브도시특별법, 과연 무엇인가?
표중규
입력 : 2024.03.14 19:27
조회수 : 3274
0
0
<앵커>
부산의 새로운 도약을 위해 추진하는 글로벌 허브도시 특별법은 올초 발의까지 마치고 현실화를 위해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KNN은 글로벌 허브도시 특별법이 담고 있는 의미와 달라질 부산을 조망해보는 연중 기획뉴스를 마련했습니다.
오늘은 첫번째 순서로, 부산 글로벌허브도시 특별법이 어떻게 시작됐고 현재 진행상황은 어떤지, 그리고 담긴 내용은 무엇인지부터 살펴보겠습니다.
표중규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부산을 글로벌 허브도시로 만든다는 비전은 윤석열 대통령이 처음 제시했습니다.
엑스포 유치에 실패한지 일주일만에 부산을 수도권에 대응할 또 하나의 축으로 키우겠다고 선언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부산의 글로벌 허브 도시화, 우리 남부권의 거점 도시화라는 것은 대한민국 발전을 위해서 가장 중요한 반드시 해야 되는 일이라는 점을 다시 한 번 말씀을 드리고...}
이런 청사진은 부산시와 충분한 공감대와 정책적 고려 위에 그려졌습니다.
다음날 곧바로 부산시가 구체적인 추진 계획을 내놨고 일주일만에 TF가 구성되는 등 속도전이 시작됐습니다.
{박형준/부산시장(지난해 12월 7일)/부산이 글로벌 허브 도시로 되기 위해서 어제 특별법을 제정하기로 대통령께서 약속을 했습니다. 그 특별법은 정말 부산이 싱가포르나 홍콩처럼 사람, 돈, 기업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그런 제도적인 여건을 만들어주는 겁니다.}
한달 보름만에 발의된 특별법에서 부산 글로벌 허브도시는 물류, 금융,디지털 첨단산업 등 3개 기둥으로 구상됐습니다.
산업은행 이전과 가덕신공항 건설, 문현금융단지와 블록체인특구, 양자컴퓨터와 데이터센터 등 다양한 강점에 특별법으로 날개를 달겠다는 것입니다
이렇게 지역에 초점을 맞춘 특별법은 2006년 제정된 제주를 비롯해 전북도와 강원도가 특별자치도 출범과 함께 먼저 마련했습니다.
하지만 부산은 같은 경우가 아니다보니 특별법 제정까지 좀 더 넘어야할 산이 많은게 사실입니다.
반면 필요한 특별법의 형태나 규제특례, 특구와 단지 등을 벤치마킹해 한층 빨리 발전시킬수 있는건 장점입니다.
특히 국제자유도시를 내세운 제주특별법이 지역에 변신을 불러온, 가장 모범적인 모델로 보고 있습니다.
{이승우/부산시 글로벌허브도시추진단장/제주가 처음 제정을 했고 또 제정된 기간도 가장 길기 때문에 제주가 했던 시행착오들이나 잘했던 부분들을 잘 살펴보고 부산은 좀 더 효율적으로 빠르게 관련 제도들을 정착시키는게 필요할 것 같습니다.}
실제 제주에서 경제적 발전은 물론 전체 산업구조의 근본적인 변화까지 가져오면서 부산에서도 특별법이 불러올 변화에 대한 기대는 큽니다.
{심재운/부산상공회의소 경제정책본부장/글로벌 국제물류도시로서, 금융중심지로서 부산의 경쟁력과 위상을 강화할 수 있고 첨단산업 또 디지털산업을 육성하는 계기가 될 뿐 아니라 기존 산업들의 고부가 가치화를 앞당길 수 있는 전략적 자산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
1월 국회발의로 첫 발을 내딛은 부산 글로벌허브도시 특별법, 앞으로 수도권과 나란히, 대한민국 또 하나의 축으로 부산이 우뚝 서기 위한 필요조건이자 충분조건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KNN 표중규입니다.
부산의 새로운 도약을 위해 추진하는 글로벌 허브도시 특별법은 올초 발의까지 마치고 현실화를 위해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KNN은 글로벌 허브도시 특별법이 담고 있는 의미와 달라질 부산을 조망해보는 연중 기획뉴스를 마련했습니다.
오늘은 첫번째 순서로, 부산 글로벌허브도시 특별법이 어떻게 시작됐고 현재 진행상황은 어떤지, 그리고 담긴 내용은 무엇인지부터 살펴보겠습니다.
표중규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부산을 글로벌 허브도시로 만든다는 비전은 윤석열 대통령이 처음 제시했습니다.
엑스포 유치에 실패한지 일주일만에 부산을 수도권에 대응할 또 하나의 축으로 키우겠다고 선언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부산의 글로벌 허브 도시화, 우리 남부권의 거점 도시화라는 것은 대한민국 발전을 위해서 가장 중요한 반드시 해야 되는 일이라는 점을 다시 한 번 말씀을 드리고...}
이런 청사진은 부산시와 충분한 공감대와 정책적 고려 위에 그려졌습니다.
다음날 곧바로 부산시가 구체적인 추진 계획을 내놨고 일주일만에 TF가 구성되는 등 속도전이 시작됐습니다.
{박형준/부산시장(지난해 12월 7일)/부산이 글로벌 허브 도시로 되기 위해서 어제 특별법을 제정하기로 대통령께서 약속을 했습니다. 그 특별법은 정말 부산이 싱가포르나 홍콩처럼 사람, 돈, 기업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그런 제도적인 여건을 만들어주는 겁니다.}
한달 보름만에 발의된 특별법에서 부산 글로벌 허브도시는 물류, 금융,디지털 첨단산업 등 3개 기둥으로 구상됐습니다.
산업은행 이전과 가덕신공항 건설, 문현금융단지와 블록체인특구, 양자컴퓨터와 데이터센터 등 다양한 강점에 특별법으로 날개를 달겠다는 것입니다
이렇게 지역에 초점을 맞춘 특별법은 2006년 제정된 제주를 비롯해 전북도와 강원도가 특별자치도 출범과 함께 먼저 마련했습니다.
하지만 부산은 같은 경우가 아니다보니 특별법 제정까지 좀 더 넘어야할 산이 많은게 사실입니다.
반면 필요한 특별법의 형태나 규제특례, 특구와 단지 등을 벤치마킹해 한층 빨리 발전시킬수 있는건 장점입니다.
특히 국제자유도시를 내세운 제주특별법이 지역에 변신을 불러온, 가장 모범적인 모델로 보고 있습니다.
{이승우/부산시 글로벌허브도시추진단장/제주가 처음 제정을 했고 또 제정된 기간도 가장 길기 때문에 제주가 했던 시행착오들이나 잘했던 부분들을 잘 살펴보고 부산은 좀 더 효율적으로 빠르게 관련 제도들을 정착시키는게 필요할 것 같습니다.}
실제 제주에서 경제적 발전은 물론 전체 산업구조의 근본적인 변화까지 가져오면서 부산에서도 특별법이 불러올 변화에 대한 기대는 큽니다.
{심재운/부산상공회의소 경제정책본부장/글로벌 국제물류도시로서, 금융중심지로서 부산의 경쟁력과 위상을 강화할 수 있고 첨단산업 또 디지털산업을 육성하는 계기가 될 뿐 아니라 기존 산업들의 고부가 가치화를 앞당길 수 있는 전략적 자산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
1월 국회발의로 첫 발을 내딛은 부산 글로벌허브도시 특별법, 앞으로 수도권과 나란히, 대한민국 또 하나의 축으로 부산이 우뚝 서기 위한 필요조건이자 충분조건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KNN 표중규입니다.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표중규 기자
pyowill@knn.co.kr
많이 본 뉴스
주요뉴스
-
경찰, 우순경 사건 43년만에 공식 사과2025.04.26
-
창원NC파크 루버 철거시작...재개장은 언제?2025.04.26
-
2025 남해 마시고런 마라톤대회*사랑나눔 걷기대회2025.04.26
-
BNK경남은행 가족 문화 페스티벌 성황2025.04.26
-
공장서 1t 금형 넘어져 외국인 근로자 사망2025.04.26
-
[단독]땅꺼짐 직전까지 '이상없다'2025.04.25
-
'책임 미루기' 대처에 부산시정 흔들2025.04.25
-
흔들리는 지역 거점항공 중장거리 노선 주춤2025.04.25
-
"산불로 힘든 산청에 '착한 여행' 오세요"2025.04.25
-
경남 첫 차 수확 시작, 전망은 기대반 우려반2025.04.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