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교육부 장관 "해양대*부경대 통합 환영"
조진욱
입력 : 2023.12.06 20:51
조회수 : 1343
0
0
<앵커>
수년째 이야기만 나오던 국립 부경대와 한국해양대의 통합이 최근 급물살을 탔다는 소식 계속해서 전해드리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관련 부처인 교육부와 부산시도 두 국립대학의 통합을 적극 환영하는 것으로 KNN 취재결과 확인됐습니다.
조진욱 기자입니다.
<기자>
국립 한국해양대와 국립 부경대는 통합의 필요성을 공감하고, 현재 내부 구성원들을 설득하는 작업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관할 부처인 교육부도 두 국립대 통합 추진을 환영했습니다.
이주호 교육부 장관은 부산대와 부산교대 사례를 볼 때, 국립대 2호 통합인 부경대와 해양대 통합도 긍정적이란 반응입니다.
특히 글로컬 대학에 선정돼 천문학적 예산을 받으면, 이른바 '해양 카이스트' 탄생도 가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주호/교육부장관/ "부경대나 해양대가 통합을 시도하고 있단 이야길 들었습니다. 글로컬 대학을 통해 많은 혁신이 일어나고 대학들이 노력하는 것을 굉장히 바람직하다고 생각하고, 교육부도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지원하겠습니다."}
해양수도 부산시로서도 두 대학의 통합은 중요한 과제입니다.
세계적으로 경쟁력 있는 해양특화 대학의 탄생이 수도권 일극주의의 해결책으로 꼽히다 보니, 부산시도 조력자로 적극 나설 것으로 기대됩니다.
{남정은/부산시 청년산학국장/ "수산분야와 해사분야에 굉장히 강점이 있는 대학이기 때문에 부산지역의 해양수산분야에 굉장한 산업계의 발전이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부산시도) 충분히 지원하고 협업하겠습니다."}
다만 두 대학 내부에서 절차를 놓고 일부 반대 여론도 감지되면서 이들을 달래는 작업도 중요합니다.
두 대학에 이어 관련 부처도 환영의 뜻을 보이면서 통합엔 더욱 속도가 붙을 것으로 보입니다.
KNN 조진욱입니다.
수년째 이야기만 나오던 국립 부경대와 한국해양대의 통합이 최근 급물살을 탔다는 소식 계속해서 전해드리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관련 부처인 교육부와 부산시도 두 국립대학의 통합을 적극 환영하는 것으로 KNN 취재결과 확인됐습니다.
조진욱 기자입니다.
<기자>
국립 한국해양대와 국립 부경대는 통합의 필요성을 공감하고, 현재 내부 구성원들을 설득하는 작업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관할 부처인 교육부도 두 국립대 통합 추진을 환영했습니다.
이주호 교육부 장관은 부산대와 부산교대 사례를 볼 때, 국립대 2호 통합인 부경대와 해양대 통합도 긍정적이란 반응입니다.
특히 글로컬 대학에 선정돼 천문학적 예산을 받으면, 이른바 '해양 카이스트' 탄생도 가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주호/교육부장관/ "부경대나 해양대가 통합을 시도하고 있단 이야길 들었습니다. 글로컬 대학을 통해 많은 혁신이 일어나고 대학들이 노력하는 것을 굉장히 바람직하다고 생각하고, 교육부도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지원하겠습니다."}
해양수도 부산시로서도 두 대학의 통합은 중요한 과제입니다.
세계적으로 경쟁력 있는 해양특화 대학의 탄생이 수도권 일극주의의 해결책으로 꼽히다 보니, 부산시도 조력자로 적극 나설 것으로 기대됩니다.
{남정은/부산시 청년산학국장/ "수산분야와 해사분야에 굉장히 강점이 있는 대학이기 때문에 부산지역의 해양수산분야에 굉장한 산업계의 발전이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부산시도) 충분히 지원하고 협업하겠습니다."}
다만 두 대학 내부에서 절차를 놓고 일부 반대 여론도 감지되면서 이들을 달래는 작업도 중요합니다.
두 대학에 이어 관련 부처도 환영의 뜻을 보이면서 통합엔 더욱 속도가 붙을 것으로 보입니다.
KNN 조진욱입니다.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조진욱 기자
jojo@knn.co.kr
많이 본 뉴스
주요뉴스
-
주한미해군사령관 '부산시 명예시민' 선정2025.05.09
-
양산도시철도 7년 만에 시운전 돌입, 운영사 선정은?2025.05.08
-
현직 경찰이 거액 보이스피싱 조직에 가담, 1명 구속2025.05.08
-
6명 숨진 '반얀트리 참사'...드러난 인허가 비리2025.05.08
-
<단독> 하루 행사에 1억 3천만 원...수상한 수의계약2025.05.07
-
<현장> '제2의 잼버리 사태' 황금연휴 망친 민폐 라면축제2025.05.07
-
현대건설 배짱...나쁜 선례 만드는데 손놓은 부산시2025.05.07
-
부산도시철도망 계획안 공개..또 희망고문?2025.05.07
-
NC파크 올해 재개장 물건너가 지역경제 타격2025.05.07
-
관광 회복 기대했지만...지역별 온도차에 '아쉬움'2025.05.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