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문화
기후위기 주제 '하나뿐인 지구영상제' 성황리 폐막
박명선
입력 : 2023.09.06 08:09
조회수 : 578
0
0
<앵커>
국내 최초로 기후위기를 다룬 영화제인 '하나뿐인 지구영상제'가 올해 2회 행사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했습니다.
해가 갈수록 심각해지는 기후위기를 피부로 느끼면서 영화제에 대한 시민들의 관심도 높아졌습니다.
박명선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세계 최초로 기후위기를 다룬 영화제가 막을 내렸습니다.
폐막작으로 필리핀의 팔라완 숲을 지키기 위해 목숨까지 걸어야하는 투쟁기를 그린 다큐멘터리 '델리카토'가 상영됐습니다.
올해 첫 도입된 경쟁 부문에서 심사위원들은 본선에 오른 16개 작품 가운데 대상 작품을 폐막작으로 선정했습니다.
{칼 말라쿠나스/영화감독/"환경을 지키기 위해 우리 모두가 토론하고 실천하는 가치는 저희 영화 델리카토를 만든 모든 제작진과 다르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생생한 다큐멘터리 영상을 통해 관객들은 기후위기의 심각성을 공유했습니다.
{장영자/지구영상제 프로그래머/"그린피스 캠페인처럼 짧으면서도 임팩트 있는 작품 등 다양한 방식으로 관객들이 환경이슈에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노력한 작품이 많이 선정됐습니다."}
닷새동안 열린 이번 영상제는 전세계 저명한 환경영화와 다큐멘터리 52여 편을 한자리에서 만나볼수 있는 장이 됐습니다.
위기의식을 바탕으로 실천방향을 모색하는 다양한 행사도 열렸습니다.
친환경메이커를 한자리에서 만나볼 수 있는 그린라이프쇼 등 체험행사에는 가족단위 참가자들로 북적였고,
ESG 국제컨퍼런스에는 국내외 전문가들이 함께 기후위기시대 기업의 역할 등을 고민하기도 했습니다.
{장제국/자연의권리찾기 이사장 /"국제 컨퍼런스를 개최했는데 AI를 접목해서 기후변화를 어떻게 극복할 수 있을까에 대해 이야기를 했었는데 문제제기 뿐 아니라 대안도 찾아보는 시간이었습니다."}
기후위기에 민감한 해양도시 부산에서 하나뿐인 지구영상제가 성황리에 개최되면서, 기후 문제 극복 선도 도시로 새로운 발걸음을 내디뎠다는 평가입니다.
KNN 박명선입니다.
국내 최초로 기후위기를 다룬 영화제인 '하나뿐인 지구영상제'가 올해 2회 행사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했습니다.
해가 갈수록 심각해지는 기후위기를 피부로 느끼면서 영화제에 대한 시민들의 관심도 높아졌습니다.
박명선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세계 최초로 기후위기를 다룬 영화제가 막을 내렸습니다.
폐막작으로 필리핀의 팔라완 숲을 지키기 위해 목숨까지 걸어야하는 투쟁기를 그린 다큐멘터리 '델리카토'가 상영됐습니다.
올해 첫 도입된 경쟁 부문에서 심사위원들은 본선에 오른 16개 작품 가운데 대상 작품을 폐막작으로 선정했습니다.
{칼 말라쿠나스/영화감독/"환경을 지키기 위해 우리 모두가 토론하고 실천하는 가치는 저희 영화 델리카토를 만든 모든 제작진과 다르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생생한 다큐멘터리 영상을 통해 관객들은 기후위기의 심각성을 공유했습니다.
{장영자/지구영상제 프로그래머/"그린피스 캠페인처럼 짧으면서도 임팩트 있는 작품 등 다양한 방식으로 관객들이 환경이슈에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노력한 작품이 많이 선정됐습니다."}
닷새동안 열린 이번 영상제는 전세계 저명한 환경영화와 다큐멘터리 52여 편을 한자리에서 만나볼수 있는 장이 됐습니다.
위기의식을 바탕으로 실천방향을 모색하는 다양한 행사도 열렸습니다.
친환경메이커를 한자리에서 만나볼 수 있는 그린라이프쇼 등 체험행사에는 가족단위 참가자들로 북적였고,
ESG 국제컨퍼런스에는 국내외 전문가들이 함께 기후위기시대 기업의 역할 등을 고민하기도 했습니다.
{장제국/자연의권리찾기 이사장 /"국제 컨퍼런스를 개최했는데 AI를 접목해서 기후변화를 어떻게 극복할 수 있을까에 대해 이야기를 했었는데 문제제기 뿐 아니라 대안도 찾아보는 시간이었습니다."}
기후위기에 민감한 해양도시 부산에서 하나뿐인 지구영상제가 성황리에 개최되면서, 기후 문제 극복 선도 도시로 새로운 발걸음을 내디뎠다는 평가입니다.
KNN 박명선입니다.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박명선 기자
pms@knn.co.kr
많이 본 뉴스
주요뉴스
-
양산도시철도 7년 만에 시운전 돌입, 운영사 선정은?2025.05.08
-
현직 경찰이 거액 보이스피싱 조직에 가담, 1명 구속2025.05.08
-
6명 숨진 '반얀트리 참사'...드러난 인허가 비리2025.05.08
-
<단독> 하루 행사에 1억 3천만 원...수상한 수의계약2025.05.07
-
<현장> '제2의 잼버리 사태' 황금연휴 망친 민폐 라면축제2025.05.07
-
현대건설 배짱...나쁜 선례 만드는데 손놓은 부산시2025.05.07
-
부산도시철도망 계획안 공개..또 희망고문?2025.05.07
-
NC파크 올해 재개장 물건너가 지역경제 타격2025.05.07
-
관광 회복 기대했지만...지역별 온도차에 '아쉬움'2025.05.06
-
공공기여 약속 29층이 25층으로...슬그머니 축소?2025.05.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