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하동세계차엑스포, 한 달 대장정 마무리
정기형
입력 : 2023.06.02
조회수 : 1432
0
0
<앵커>
한 달 동안 펼쳐진 하동세계차엑스포가 대장정을 마무리하고 폐막했습니다.
지역의 차를 알리는 것을 넘어 문화를 키우고 산업을 성장시키는 계기가 됐다는 평가입니다.
정기형기자입니다.
<기자>
하동에서 만나는 차의 모든 것,
하동세계차엑스포가 한 달에 걸친 대장정을 마무리했습니다.
이번 엑스포는 차를 주제로 한 우리나라 최초의 정부 승인 국제행사였습니다.
엑스포는 차의 매력을 더 널리 알리는 계기가 됐습니다.
또 지역의 차 문화를 키우고 산업을 성장시키는 발판을 마련해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이종현/하동녹차연구소장/단순히 마시는 차였지만 마시는 차가 아니고 차에도 문화가 있고 역사가 있다는 것을 새롭게 아는 인식을 달리하는 계기가 되었다고 봅니다.}
엑스포 전체 관람객은 126만명으로 목표인 135만명에 조금 미치지 못했습니다.
"많은 외국인 관광객도 찾았는데요.
당초 6만명이 목표였는데 엑스포측은 7만명의 외국인이 다녀간 것으로 집계하고 있습니다."
엑스포 기간 동안 약 2천 1백만 달러의 수출 협약도 맺었습니다.
15억여원의 차생산농가 현장 판매 실적도 올렸습니다.
하지만 아쉬움과 과제도 함께 남겼습니다.
젊은 세대의 차에 대한 관심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더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차를 활용한 다양한 음료를 커피처럼 쉽게 접할 수 있는 상품 개발이 요구됩니다.
{박옥순/하동세계차엑스포 사무처장/향기와 빛깔을 다양하게 활용하여 소비자가 찾는 상품을 더 많이 개발하고 다양한 고객의 수요에 맞는 마케팅을 추진해 나가야...}
또 하동군은 엑스포를 계기로 천리다향길과 다원10경 같은 관광 콘텐츠를 계속 살려나가야 하는 과제도 얻었습니다.
KNN 정기형입니다.
한 달 동안 펼쳐진 하동세계차엑스포가 대장정을 마무리하고 폐막했습니다.
지역의 차를 알리는 것을 넘어 문화를 키우고 산업을 성장시키는 계기가 됐다는 평가입니다.
정기형기자입니다.
<기자>
하동에서 만나는 차의 모든 것,
하동세계차엑스포가 한 달에 걸친 대장정을 마무리했습니다.
이번 엑스포는 차를 주제로 한 우리나라 최초의 정부 승인 국제행사였습니다.
엑스포는 차의 매력을 더 널리 알리는 계기가 됐습니다.
또 지역의 차 문화를 키우고 산업을 성장시키는 발판을 마련해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이종현/하동녹차연구소장/단순히 마시는 차였지만 마시는 차가 아니고 차에도 문화가 있고 역사가 있다는 것을 새롭게 아는 인식을 달리하는 계기가 되었다고 봅니다.}
엑스포 전체 관람객은 126만명으로 목표인 135만명에 조금 미치지 못했습니다.
"많은 외국인 관광객도 찾았는데요.
당초 6만명이 목표였는데 엑스포측은 7만명의 외국인이 다녀간 것으로 집계하고 있습니다."
엑스포 기간 동안 약 2천 1백만 달러의 수출 협약도 맺었습니다.
15억여원의 차생산농가 현장 판매 실적도 올렸습니다.
하지만 아쉬움과 과제도 함께 남겼습니다.
젊은 세대의 차에 대한 관심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더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차를 활용한 다양한 음료를 커피처럼 쉽게 접할 수 있는 상품 개발이 요구됩니다.
{박옥순/하동세계차엑스포 사무처장/향기와 빛깔을 다양하게 활용하여 소비자가 찾는 상품을 더 많이 개발하고 다양한 고객의 수요에 맞는 마케팅을 추진해 나가야...}
또 하동군은 엑스포를 계기로 천리다향길과 다원10경 같은 관광 콘텐츠를 계속 살려나가야 하는 과제도 얻었습니다.
KNN 정기형입니다.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정기형 기자
ki@knn.co.kr
많이 본 뉴스
주요뉴스
-
신공항 연결 '차세대 급행철도' 급물살2023.09.25
-
사업비 2조 증액, 남부내륙철도 연기 되나?2023.09.25
-
돌아온 남자 농구, 'KCC 이지스' 입성2023.09.25
-
민주당 내홍 여파, 지역 현안 무더기 연기2023.09.25
-
해운대구 아파트 화재 일가족 3명 사상, 온천천 실종 여성 숨진 채 발견2023.09.23
-
내홍 딛고 정상화 시동, 부산국제영화제 예매 시작2023.09.23
-
추석 앞두고 임금 체불 급증, 노동자는 "하루하루가 고통"2023.09.23
-
부산시 주요 하천에 비상대피시설 확충2023.09.23
-
'상상 그 이상의 공룡 세계', 공룡엑스포 개막2023.09.22
-
'모바일 승차권' 졸속 추진, 감사 시급2023.09.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