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건강365] 자궁 양성 질환, 대세는 '이 수술?'
강기성
입력 : 2023.05.26 10:33
조회수 : 943
0
0
<앵커>
여성 건강을 위협하는 자궁 양성 질환, 근종 외에도 다양합니다.
일찍 진단하기만 하면 자궁과 난소를 그대로 보존한 채 수술할 수 있는데요.
특히 요즘은 '이 수술'로 더 정확하고 안전하게 치료할 수 있습니다. 건강365입니다. }
여성들의 자궁 건강, 같이 점검해 보시죠. 생리통이 심해졌다거나 전에 없던 부정출혈, 빈혈이 생겼다면 부인과 검사가 필요합니다.
================================
<출연자>
(남경일 좋은문화병원 산부인과 과장 /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미국 부인과 내시경학회 정회원 )
{자궁근종, 자궁선근증, 난소 종양이 대표적인 질환입니다.
자궁 근육 세포가 증식하여 종양으로 변하는 것이 근종이고요.
자궁 근육층에서 내막 조직이 증식하여 자궁이 두꺼워진 것이 자궁선근증입니다.
난소 종양은 난소 일부가 액체나 고체 성분으로 변하는 것을 말합니다. }
이런 질환이 왜 생기는지는 정확하게 밝혀진 게 없지만 가족력이나 여성호르몬이 손꼽힙니다.
일단은 초음파 검사로 간단히 알아볼 수 있습니다.
================================
<출연자>
{수퍼:Q.수술은 어떻게 결정하게 되나요? }
{수퍼: 이러한 질환들이 증상을 일으키거나 경과 관찰 과정에서 그 크기가 계속해서 커질 경우 나이, 크기, 위치 등을 고려해서 치료 방법을 결정하게 되는데 가능하면 자궁과 난소를 보존하면서 종양만 제거하는 수술법을 적용하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
================================
이런 자궁 질환들은 당장 생명을 위협하진 않습니다.
그렇다고 그냥 두면 증상이 더 심해지고, 임신을 원하는 여성에게는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
<출연자>
{수퍼:Q.자궁 양성 질환, '이 수술'로 더 정확하게? }
{수퍼: 로봇 수술기를 이용하면 일반 복강경 수술보다 열 배 확대된 3D 시야에서 사람 손보다 더욱 정밀한 기구를 이용해서 첨단 보조 기구를 동원해 정확한 수술이 가능하게 됩니다.
로봇 수술기도 많은 발전을 해 왔는데 가장 최근에 개발된 것이 바로 4세대 로봇 수술기입니다. }
이런 장점 때문에 4세대 로봇 수술의 치료 범위도 더 넓어지고 있는데요. 대신 의료진이 로봇 수술에 대한 임상 경험이 많아야 좋은 결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 회복 기간이 빠르고 최소 침습법을 통한 수술이 보다 쉬워집니다.
간혹 질환이 있는지 모르고 계시다가 진행이 너무 많이 되어 병원을 찾을 경우 적용할 수 있는 수술법에 한계가 있어 개복을 하거나 자궁, 난소를 제거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자궁 질환은 자궁을 그대로 보존하는 한 언제든지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수술을 했다면 6개월에 한번 추적 검사를 해서 합병증과 재발 가능성에 대비해야 합니다.
건강365였습니다.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강기성 기자
0987666@knn.co.kr
많이 본 뉴스
주요뉴스
-
양산도시철도 7년 만에 시운전 돌입, 운영사 선정은?2025.05.08
-
현직 경찰이 거액 보이스피싱 조직에 가담, 1명 구속2025.05.08
-
6명 숨진 '반얀트리 참사'...드러난 인허가 비리2025.05.08
-
<단독> 하루 행사에 1억 3천만 원...수상한 수의계약2025.05.07
-
<현장> '제2의 잼버리 사태' 황금연휴 망친 민폐 라면축제2025.05.07
-
현대건설 배짱...나쁜 선례 만드는데 손놓은 부산시2025.05.07
-
부산도시철도망 계획안 공개..또 희망고문?2025.05.07
-
NC파크 올해 재개장 물건너가 지역경제 타격2025.05.07
-
관광 회복 기대했지만...지역별 온도차에 '아쉬움'2025.05.06
-
공공기여 약속 29층이 25층으로...슬그머니 축소?2025.05.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