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경제브리핑]HJ중공업 2천억원 유상증자
김동환
입력 : 2025.09.15 10:27
조회수 : 456
0
0
<앵커>
HJ중공업이 재무구조 개선을 위해 2천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추진합니다.
BNK부산은행이 조선업계 경쟁력 강화를 위해 SB선보와 업무협약을 맺었습니다.
한 주 동안의 경제 소식을 김동환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HJ중공업이 2천억원 규모의 제3자 배정 유상증자를 추진한다고 지난 12일 공시했습니다.
HJ중공업은 재무구조 개선과 글로벌 수주 확대 등 중장기 사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자금조달을 위한 결정이라 밝혔습니다.
제3자 배정 대상은 최대주주인 에코프라임마린퍼시픽입니다.
미 해군 함정 정비협약 체결을 위해 미 해군과 협의를 하고 있는 HJ중공업은 유지*보수*정비, 이른바 함정 MRO 시장 진출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BNK부산은행이 조선기자재업체인 SB선보와 동반성장 상생금융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습니다.
협약에 따라 부산은행은 SB선보에 협력사 특화 여신상품과 매출채권 조기 정산, 급여통장 우대금리, 외국인 근로자 대상 외환 송금*환전 우대 등을 제공하기로 했습니다.
SB선보는 부산은행 임직원 대상 산업현장 연수를 제공 등과 부산은행과의 거래 확대 등에 노력하기로 했습니다.
글로벌 해운 경기의 불확실성에 대비해 해양진흥공사가 국적선사를 위한 위기대응펀드를 기존 1조원에서 2조원 규모로 확대 개편했습니다.
해진공은 국적선사 부실 예방을 선제적 구조조정을 지원하고, 부실 발생 선사에는 사후적 구조조정을 지원해 국적 선대의 해외 유출을 막고 경영 내실을 강화할 계획입니다.
국적선사 구조개선을 위한 해운산업 위기대응펀드는 지난 2023년 설립됐습니다.
KNN 김동환입니다.
HJ중공업이 재무구조 개선을 위해 2천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추진합니다.
BNK부산은행이 조선업계 경쟁력 강화를 위해 SB선보와 업무협약을 맺었습니다.
한 주 동안의 경제 소식을 김동환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HJ중공업이 2천억원 규모의 제3자 배정 유상증자를 추진한다고 지난 12일 공시했습니다.
HJ중공업은 재무구조 개선과 글로벌 수주 확대 등 중장기 사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자금조달을 위한 결정이라 밝혔습니다.
제3자 배정 대상은 최대주주인 에코프라임마린퍼시픽입니다.
미 해군 함정 정비협약 체결을 위해 미 해군과 협의를 하고 있는 HJ중공업은 유지*보수*정비, 이른바 함정 MRO 시장 진출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BNK부산은행이 조선기자재업체인 SB선보와 동반성장 상생금융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습니다.
협약에 따라 부산은행은 SB선보에 협력사 특화 여신상품과 매출채권 조기 정산, 급여통장 우대금리, 외국인 근로자 대상 외환 송금*환전 우대 등을 제공하기로 했습니다.
SB선보는 부산은행 임직원 대상 산업현장 연수를 제공 등과 부산은행과의 거래 확대 등에 노력하기로 했습니다.
글로벌 해운 경기의 불확실성에 대비해 해양진흥공사가 국적선사를 위한 위기대응펀드를 기존 1조원에서 2조원 규모로 확대 개편했습니다.
해진공은 국적선사 부실 예방을 선제적 구조조정을 지원하고, 부실 발생 선사에는 사후적 구조조정을 지원해 국적 선대의 해외 유출을 막고 경영 내실을 강화할 계획입니다.
국적선사 구조개선을 위한 해운산업 위기대응펀드는 지난 2023년 설립됐습니다.
KNN 김동환입니다.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김동환 기자
onair@knn.co.kr
많이 본 뉴스
주요뉴스
-
잇따르는 흉기 난동에 테러 협박까지 일상 불안2025.09.14
-
자랑스러운부산경남 - 30년 맞은 ‘영화도시 상징’ 부산국제영화제2025.09.14
-
부산 만덕1터널 부근 차량사고 5명 부상2025.09.14
-
경남 연안 적조 주춤 어류 폐사도 감소2025.09.14
-
감독 벤치를 골대로..열악한 유소년 축구 대회2025.09.13
-
[현장]수십억 들인 조성사업...방치된 건물들2025.09.13
-
경남 의령 철강 제조공장서 60대 근로자 사망2025.09.13
-
'백산 안희제' CGV명동 GV 개최2025.09.13
-
공공기여협상제, 시민위한 방향으로 전면 재검토 필요2025.09.12
-
섬주민 뱃삯 지원 사업 부실 세금 새나2025.09.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