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여전한 무더위' 폐장 해수욕장도 붐빌 지경...외국인 관광객 특수
이민재
입력 : 2025.09.07 19:02
조회수 : 427
0
0
<앵커>
30도 이상의 무더위가 여전히 이어지고 있는 올 여름, 부산 해수욕장 방문객은 역대급을 기록했습니다.
올 여름 부산바다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 외국인 관광객 급증이 영향을 준 건데요, 일회성 특수로 끝나지않게 하기위해 새로운 관광전략 마련이 절실하다는 지적입니다.
이민재 기자입니다.
<기자>
부산경남에서 유일하게 아직 개장중인 해운대해수욕장에 늦깎이 피서객들이 몰렸습니다.
이슬이 맺히기 시작한다는 백로가 무색하게 부산경남은 30도 이상 고온이 이어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올 여름 부산 바다의 특징은 외국인들을 유달리 많이 볼 수 있다는 점입니다.
{안드레스 사베스키*노에미 가리고스/스페인 관광객/"엄청나게 덥지만 바닷물이 시원해서 완벽합니다. 그리 덥게 느껴지지 않을 정도고, 해변에 가기엔 한 해 가운데서 가장 완벽한 시기입니다."}
{조재준/광안리해수욕장 피서객/"작년에도 왔을때도 외국인이 많았는데, 올해도 정말 많은 것 같아요. 어제가 오늘보다 많았어요. 어제는 토요일이고 하니까, 오늘은 일요일이라 사람이 줄긴했네요."}
실제로 올 7,8월 부산 해수욕장 방문객은 2117만명,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는데 외국인 관광객 증가의 영향이 컸습니다.
"올 한해 부산의 해수욕장을 둘러본 결과, 피서객의 상당수가 외국인 관광객이었습니다.
내국인들이 워터파크나 해외로 눈을 돌리는 동안 그 자리를 외국인 관광객들이 채운 것입니다."
인기 애니메이션 'K팝 데몬헌터스'를 비롯한 K문화 확산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됩니다.
상인들도 올 여름 외국인관광객 특수로 짭짤한 재미를 봤습니다.
{김성열/관광지 인근 상인/"관광객도 많을 뿐더러, 항상 많이 드시고 갑니다. 우리 장사하는 입장에선 너무 좋죠."}
하지만 질타를 받은 '해운대페스타' 등, 정작 부산 바다는 준비 부족을 여실히 드러냈습니다.
내국인 위주 전략에서 벗어나 외국인 관광객 증가라는 트렌드에 맞춘 새로운 접근이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오창호/영산대 관광컨벤션학과 교수/"중장기적으로는 체류시간을 보장받을 수있는 그런 유료관광 콘텐츠라든지 유료관광지가 지속적으로 개발돼야만, 부산 관광의 경쟁력을 높이는 시너지를 발휘할 수 있을 것입니다."}
한류확대에 힘입은 1회성 방문이 아닌, 외국인이 두번세번 찾고싶은 바다를 위한 관광정책 새 판짜기에 대한 요구가 높습니다.
KNN 이민재입니다.
영상취재 오원석
30도 이상의 무더위가 여전히 이어지고 있는 올 여름, 부산 해수욕장 방문객은 역대급을 기록했습니다.
올 여름 부산바다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 외국인 관광객 급증이 영향을 준 건데요, 일회성 특수로 끝나지않게 하기위해 새로운 관광전략 마련이 절실하다는 지적입니다.
이민재 기자입니다.
<기자>
부산경남에서 유일하게 아직 개장중인 해운대해수욕장에 늦깎이 피서객들이 몰렸습니다.
이슬이 맺히기 시작한다는 백로가 무색하게 부산경남은 30도 이상 고온이 이어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올 여름 부산 바다의 특징은 외국인들을 유달리 많이 볼 수 있다는 점입니다.
{안드레스 사베스키*노에미 가리고스/스페인 관광객/"엄청나게 덥지만 바닷물이 시원해서 완벽합니다. 그리 덥게 느껴지지 않을 정도고, 해변에 가기엔 한 해 가운데서 가장 완벽한 시기입니다."}
{조재준/광안리해수욕장 피서객/"작년에도 왔을때도 외국인이 많았는데, 올해도 정말 많은 것 같아요. 어제가 오늘보다 많았어요. 어제는 토요일이고 하니까, 오늘은 일요일이라 사람이 줄긴했네요."}
실제로 올 7,8월 부산 해수욕장 방문객은 2117만명,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는데 외국인 관광객 증가의 영향이 컸습니다.
"올 한해 부산의 해수욕장을 둘러본 결과, 피서객의 상당수가 외국인 관광객이었습니다.
내국인들이 워터파크나 해외로 눈을 돌리는 동안 그 자리를 외국인 관광객들이 채운 것입니다."
인기 애니메이션 'K팝 데몬헌터스'를 비롯한 K문화 확산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됩니다.
상인들도 올 여름 외국인관광객 특수로 짭짤한 재미를 봤습니다.
{김성열/관광지 인근 상인/"관광객도 많을 뿐더러, 항상 많이 드시고 갑니다. 우리 장사하는 입장에선 너무 좋죠."}
하지만 질타를 받은 '해운대페스타' 등, 정작 부산 바다는 준비 부족을 여실히 드러냈습니다.
내국인 위주 전략에서 벗어나 외국인 관광객 증가라는 트렌드에 맞춘 새로운 접근이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오창호/영산대 관광컨벤션학과 교수/"중장기적으로는 체류시간을 보장받을 수있는 그런 유료관광 콘텐츠라든지 유료관광지가 지속적으로 개발돼야만, 부산 관광의 경쟁력을 높이는 시너지를 발휘할 수 있을 것입니다."}
한류확대에 힘입은 1회성 방문이 아닌, 외국인이 두번세번 찾고싶은 바다를 위한 관광정책 새 판짜기에 대한 요구가 높습니다.
KNN 이민재입니다.
영상취재 오원석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이민재 기자
mash@knn.co.kr
많이 본 뉴스
주요뉴스
-
<자랑스런 부산경남 더 자랑스럽게> 나전칠기 본고장 통영2025.09.07
-
'굴착기 사망사고' 롯데건설 사과문 발표2025.09.07
-
'여전한 무더위' 폐장 해수욕장도 붐빌 지경...외국인 관광객 특수2025.09.07
-
남해안 적조 92만여 마리 폐사, 거제*통영으로 확산2025.09.06
-
[기획] 수도권 기업만 이익? 송전선로 건설 갈등2025.09.06
-
김해 롯데건설 공사장, 노동자 굴착기에 부딪혀 숨져2025.09.06
-
부산서 육군 53사단 사칭한 대리구매 사기 피해 발생2025.09.06
-
골프장 관리자로 위장 캐디로 일하던 전처 살해2025.09.05
-
여관 화재 투숙객 사망... 노후 숙박업소 '화재 취약'2025.09.05
-
'가락요금소' 출퇴근길 통행료 무료화된다2025.09.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