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경제

해수부 이전 효과... 지역 금융권 '기회 잡는다'

김동환 입력 : 2025.08.19 20:51
조회수 : 152
<앵커>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이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이전 효과에 대한 지역 금융권의 기대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이주 정착 지원을 위한 직*간접적인 금융 프로그램 마련에도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김동환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부산으로 이전하는 해양수산부의 본관과 별관으로 쓰일 부산 동구의 빌딩입니다.

8백명이 넘는 직원들이 연내 이곳 부산으로 근무지를 옮길 예정입니다.

정부는 국무회의를 통해 해수부 부산 이전에 예비비 867억원을 투입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이처럼 해수부 부산 이전은 해수부 자금이 부산으로 오게 된다는 의미도 담습니다.

{원두환/부산대 경제학과 교수/"부산에 있는 지역 내 금융기관에서 자금을 가지고 지역 내 대출을 한다든지 보다 큰 사업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부산의 금융기관이 조금 더 적극적으로 역할을 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생각이 듭니다."}

BNK부산은행은 해수부 이전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실무 TF를 구성했습니다.

임직원 전용 금융상품과 BC카드 기능이 탑재된 모바일 사원증 발급 지원, KTX 교통비 할인과 부울경지역 소비 혜택 특화 카드 등의 방안을 구상하고 있습니다.

{노동현/BNK부산은행 전략기획부장/"무엇보다 중요한게 우리 직원들의 정주 환경 개선이라고 생각이 들어서 우리 해수부 직원들이 부산에서 정주하기 위해서 필요한 금융 지원 이런 부분들을 조금 적극적으로 지원하기 위해서 저희 내부적으로 많은 검토를 지금 진행하고 있습니다."}

해수부 이전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지역금융의 역할 확대에 대한 지역사회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해수부와 지역 금융 협업 등으로 해양 관련 투자사업 확대를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방안도 제시되고
있습니다.

{도한영/부산경실련 사무처장/"당연히 이제 지역금융 지방은행과의 거래를 주거래 은행으로 하기는 힘들다 하더라도 지방은행과의 거래량 거래를 실적들을 좀 확대할 필요가 있지 않나라고 보여지고요."}

한편 해수부 부산 이전에 이어 관련 공공기관의 추가 이전 방안 논의에도 속도가 붙으면서 지역 금융권의 기대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KNN김동환입니다.

영상취재 김태용
영상편집 정은희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저작권자 © 부산경남대표방송 KN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