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건사고
산청 실종자 1명 시신 발견... 복구는 엄두도 못내
이태훈
입력 : 2025.07.23 20:43
조회수 : 326
0
0
앵커]
폭우로 피해가 큰 경남 산청군에서는 실종자 시신 한 구가 추가로 발견되면서 사망자가 13명으로 늘었습니다.
남은 실종자 1명의 수색이 바쁜 가운데 일부에서는 피해가 워낙 커 아예 마을을 포기하기까지 하고 있습니다.
이태훈 기자가 현장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경남 산청군 경호강 휴게소 인근 실종자 수색 현장입니다.
아침부터 중장비가 동원돼 수색 작업이 이뤄집니다.
오전 11시 반 쯤 실종자 시신 한 구가 발견됐습니다.
인근 암자에서 실종된 80대 스님이었습니다.
원래 저 나무 인근에 암자가 있었던 곳이지만 산사태로 전부 쓸려 내려가면서 지금은 흔적조차 찾을 수 없습니다.
토사가 암자를 덮친 뒤, 바로 옆 도로를 지나 휴게소까지 쏟아진 것입니다.
남은 실종자 1명에 대해서도 수색 작업은 계속 이뤄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복구현장은 상황이 다릅니다.
산청군 생비량면 상능마을은 아예 심각한 산사태 피해로 마을의 절반이 사라졌습니다.
경사면에 있던 집들이 토사와 함께 쓸려 내려간 것입니다.
{김광연/경남 산청군 상능마을 이장/"딱. 딱. 대나무 부러지는 소리가 나더라고요. 위험하니까 나오십시오. 대피방송을 한 번 더 하는데 뻥하더니 전봇대가 싹 다 넘어 갔어요."}
10여가구가 살고 있는 마을인데 다행히 인명피해는 없었습니다.
{선향월/경남 산청군 상능마을 주민/"발을 디디니까 밑이 안 닿여요. 같이 (쓸려) 내려갈 뻔 했는데 명이라고 살았잖아요."}
하지만 다시 원래 삶의 터전으로 돌아오기는 힘듭니다.
지진이 난 것처럼 땅이 갈라지고 무너지면서, 이주말곤 방법이 없습니다.
{안천원/경남 산청군의원/"주민들이 그날(19일) 밤에 4시간 반을 헤매다가 마을을 빠져 나왔어요. 분명한 것은 이주를 시켜야합니다."}
이런 가운데 폭우가 쏟아진 지난 19일에만 경남소방과 경찰에 만건이 넘는 신고가 접수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특히 알려진 산사태 발생 시간보다 1시간 정도 빠른 19일 오전 8시부터 신고가 빗발치면서, 재난 행정의 늑장 대응 논란은 더욱 거세질 전망입니다.
KNN 이태훈입니다.
영상취재 정창욱
폭우로 피해가 큰 경남 산청군에서는 실종자 시신 한 구가 추가로 발견되면서 사망자가 13명으로 늘었습니다.
남은 실종자 1명의 수색이 바쁜 가운데 일부에서는 피해가 워낙 커 아예 마을을 포기하기까지 하고 있습니다.
이태훈 기자가 현장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경남 산청군 경호강 휴게소 인근 실종자 수색 현장입니다.
아침부터 중장비가 동원돼 수색 작업이 이뤄집니다.
오전 11시 반 쯤 실종자 시신 한 구가 발견됐습니다.
인근 암자에서 실종된 80대 스님이었습니다.
원래 저 나무 인근에 암자가 있었던 곳이지만 산사태로 전부 쓸려 내려가면서 지금은 흔적조차 찾을 수 없습니다.
토사가 암자를 덮친 뒤, 바로 옆 도로를 지나 휴게소까지 쏟아진 것입니다.
남은 실종자 1명에 대해서도 수색 작업은 계속 이뤄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복구현장은 상황이 다릅니다.
산청군 생비량면 상능마을은 아예 심각한 산사태 피해로 마을의 절반이 사라졌습니다.
경사면에 있던 집들이 토사와 함께 쓸려 내려간 것입니다.
{김광연/경남 산청군 상능마을 이장/"딱. 딱. 대나무 부러지는 소리가 나더라고요. 위험하니까 나오십시오. 대피방송을 한 번 더 하는데 뻥하더니 전봇대가 싹 다 넘어 갔어요."}
10여가구가 살고 있는 마을인데 다행히 인명피해는 없었습니다.
{선향월/경남 산청군 상능마을 주민/"발을 디디니까 밑이 안 닿여요. 같이 (쓸려) 내려갈 뻔 했는데 명이라고 살았잖아요."}
하지만 다시 원래 삶의 터전으로 돌아오기는 힘듭니다.
지진이 난 것처럼 땅이 갈라지고 무너지면서, 이주말곤 방법이 없습니다.
{안천원/경남 산청군의원/"주민들이 그날(19일) 밤에 4시간 반을 헤매다가 마을을 빠져 나왔어요. 분명한 것은 이주를 시켜야합니다."}
이런 가운데 폭우가 쏟아진 지난 19일에만 경남소방과 경찰에 만건이 넘는 신고가 접수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특히 알려진 산사태 발생 시간보다 1시간 정도 빠른 19일 오전 8시부터 신고가 빗발치면서, 재난 행정의 늑장 대응 논란은 더욱 거세질 전망입니다.
KNN 이태훈입니다.
영상취재 정창욱
KNN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 전화
부산 051-850-9000
경남 055-283-0505
▷ 이메일 jebo@knn.co.kr
▷ knn 홈페이지/앱 접속, 시청자 제보 누르기
▷ 카카오톡 친구찾기 @knn

이태훈 기자
lth4101@knn.co.kr
많이 본 뉴스
주요뉴스
-
산청 실종자 1명 시신 발견... 복구는 엄두도 못내2025.07.23
-
'온 힘 다하는 자원봉사자' 폭염 속 묵묵히 '구슬땀'2025.07.23
-
소비쿠폰 선불카드에 기초생활수급자 '낙인'?2025.07.23
-
조개 폐사 반복되는 다대포의 여름... 이유는?2025.07.23
-
세계디자인 수도... 항저우 제치고 부산 선정2025.07.22
-
'해수남 살아나나?' 상승세 전환... 분양시장도 주목2025.07.22
-
배우자*연인 감시... 불법 감청 앱 수십억 챙겨2025.07.22
-
고령 운전자 교통사고 급증... 대책은 '브레이크'2025.07.22
-
나흘째 단전*단수... 폭염 속 더딘 복구에 한숨2025.07.22
-
'자녀 특혜의혹' 전직 부산 교육 수장 경찰 고발2025.07.21